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유경제 ‘프로포즈 공식’으로 거듭난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변화를 감지해 주차 상태를 지도에 표시해주는 센서를 개발했다. 다른 금속성 물체와 구분하기 위한 알고리듬도 내장했다.운전자는 센서가 보내오는 정보를 앱에서 확인하고 쉽고 저렴하게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다. 거주자는 평소에는 버려지는 공간에서 부수입을 얻는다. “주인도 가치를 잘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채 점점 가까워지면서 무한히 뻗어나간다.포물선 경로는 타원 경로와 쌍곡선 경로를 구분 짓는 경계선이다. 지구 탈출속도와 정확히 일치하는 속력으로 쏘아 올릴 경우 포물선 경로를 따라 우주선이 날아간다. 하지만 보통은 이보다 더 빠른 속력으로 쏘아 올리므로, 지구를 탈출하는 우주선의 ... ...
- '기쁨'과 '슬픔'은 정말 뇌 안에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김상희 고려대 뇌공학과 교수는 “그나마 이 다섯 감정은 활성화되는 뇌영역을 구분할 수 있는 편”이라며 “자랑스러움, 죄책감, 수치심, 질투, 연민 같은 정서는 훨씬 복잡해서 뇌영역과 관련성을 찾는 게 아주 어렵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모든 감정이 독립적으로 ... ...
- 수백 년 도자기 묵은때 화학으로 벗긴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옆에 이어질 조각을 찾을 수 있다고 합니다. 두께도 각기 다르기 때문에 두께 별로 구분해 두면 비슷한 조각을 찾기 쉽습니다. 바닥 부분은 거칠기 때문에 금세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조각을 찾으면, 접착제를 이용해 연결합니다.함 연구사는 “신중하게, 그리고 나중에 재보존처리할 때를 ... ...
- 볼넷을 사랑한 4번타자, 평가는?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이병규(이하 이병규, 등번호 7번)는 같은 팀에서 뛰는 큰 이병규(등번호 9번)와 구분하기 위해 팬들 사이에서 부르는 애칭이다. 이병규는 올해 팀의 4번 타자로 주로 출장하고 있지만 팀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득점권(주자가 한 명이라도 2루 이상에 있을 때)에서 주자를 불러들이는 능력이 ... ...
- [지식] 슬쩍 슬쩍 글 도둑 표절수학동아 l2015년 08호
- 판단하기는 어렵다. 법적으로는 아이디어와 표현 중 표현만 보호대상인데, 그 둘을 구분하기가 애매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소설에서 군대 간 남자친구를 기다리는 설정, 자식이 뒤바뀌는 설정 같은 아이디어는 저작권으로 보호하지 않는다. 하지만 인물의 감정 변화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래사회연구실장은 “2013년 구글이 유튜브에 있는 고양이 얼굴을 구분하는 데 중앙처리장치(CPU) 1만6000개가 필요했다”며 “인간 수준의 지능을 구현하려면 연산 시간이 상상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컴퓨터 성능이 곧 한계에 도달한다는 ... ...
- [터미네이터는 없다] INTRO 인공지능 유토피아 vs. 디스토피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인공지능 전성시대다. 구글 엔진은 유투브에서 고양이를 구분해냈고 애플 '시리'는 사람 주인과 '대화'를 한다. 어디 그뿐인가. 인공지능은 이제 작곡을 하고 시를 지으며, 기자와 의사의 자리까지 넘보고 있다. 이렇게 연일 터져 나오는 놀라운 연구 성과는 인공지능 유토피아에 대한 과도한 기대를 ... ...
- PART 4 의도는 없다, 그러나 인간을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그러나 이 실장은 “인공지능이 ‘대체’할 일자리와 ‘보조’할 일자리를 분명히 구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의학 지식을 학습하는 인공지능이 의사를 대체한다는 건 거짓말에 가깝습니다. 어디까지나 새로운 의학 지식을 빨리 습득하고 오진율을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보조자일 뿐이죠. ... ...
-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없다. 법곤충학 연구자도 드물고, 역사도 짧다. 이제 겨우 시체에 깃든 파리 유충의 종을 구분할 수 있는 수준이다(Inside 참조). 성장속도 정보가 필요한데, 똑같은 파리라도 다른 나라에서 연구한 자료는 우리나라에서 쓰기 힘들다. 기후대가 다르면 성장속도도 다르기 때문이다. 우리 땅에서 키운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