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신창이 황다랑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가다랑어를 잡기 위한 장치인데, 축구장 70배에 달하는 거대한 그물이 다랑어를 종류에 구분하지 않고 잡아들여요.특히 가다랑어와 크기가 비슷한 황다랑어의 새끼(치어)들까지 잡아들여 문제가 된답니다. 심지어 이렇게 잡힌 치어들은 가다랑어 포획량에 들어가면 안 되기 때문에 죽은채로 다시 ... ...
- 현미경으로 들여다본 아주 작은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과학자들은 아주 작은 곤충이나 미생물, 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할 때 부위별로 쉽게 구분하기 위해 색을 입혀요. 그래서 실제보다 훨씬 화려하고 아름다운 작품으로 탄생하지요. 과학자들이 예술로 탄생시킨 조그마한 세상을 함께 감상해 볼까요?※ 지난 해 ‘니콘스몰월드 미세사진공모전’에서 ... ...
- [과학뉴스] ‘치맥 했구나?’ 식단 감시하는 목걸이 탄생과학동아 l2015년 04호
- 80~90%로 높은 편이다. 특히 고체와 액체는 87%, 뜨거운 음료와 상온의 음료를 90% 정확도로 구분할 수 있다.연구팀은 스마트폰을 이용해 사용자가 하루 목표 섭취량을 초과했거나 밤늦게 음식을 먹었을 때 알람이 울리는 ‘잔소리’ 프로그램도 만들었다. 사라프자데 교수는 “웨어센스를 이용하면 ... ...
- [Knowledge] ‘휘어진 시공간’은 어떻게 증명한 걸까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출발점이 된 아인슈타인의 유명한 사고실험이다. 그는 중력효과와 가속도효과를 구분할 수 없으므로 중력과 가속도는 같다고 생각했다(등가원리). 이런 좋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아인슈타인은 어떻게 중력을 이론으로 설명할지 한동안 전혀 감을 잡지 못했다. 중력을 나타내는 함수가 ... ...
- [과학뉴스] 혁신인 듯 혁신 아닌 애플워치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사용된 ‘포스터치(Force Touch)’ 기술은 가볍게 두드리는 것과 세게 두드리는 것을 구분해 터치에 다양성을 부여한다. 사용자환경(UI)에 대해서는 “세련됐다”는 긍정적인 의견만큼이나 “혁신이 없다” “조작이 까다롭다”는 부정적인 평가도 함께 나오고 있다. 정식 출시일은 4월 24일. 1차 ... ...
- [Hot Issue] 야동, 이제 웹하드엔 없어요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뽑으면 모든 음란물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사람으로 치면 DNA 염기서열에서 사람마다 구분되는 특정구간을 분석하는 것과 같다. 어느 구간인지는 밝힐 수 없다고 박 팀장은 말했다. 그걸 밝히면 엑스키퍼가 무력화되므로.[PC방 아니다. 지란지교소프트 직원들이 음란물을 모니터링하는 공간이다. ... ...
- [Knowledge] 절대공간은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있다. 즉 회전한다는 사실로부터 절대적인 참된 운동과 물체들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을 구분할 수 있으며, 절대공간이 실제로 존재함을 추론할 수 있다. 뉴턴은 절대적인 가속도가 절대공간의 존재를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절대공간은 진짜 있을까라이프니츠는 뉴턴의 논리에 제대로 ... ...
- [Life & Tech] EXO직캠 찍어볼까?과학동아 l2015년 03호
- ” 오, 관측경력 20년? 외계행성 찾는 작업이 실제로 가능한지, 외국 학자의 허풍인지 구분해줄 수 있을 것 같다. 바로 전화를 걸었다.DSLR로 외계행성 찍어볼까전화를 받은 이는 교사였다. 서울 풍문여고에서 천체관측반을 맡고 있는 조용현 과학교사. 그는 호기롭게 대답했다. “영상 봤는데요, ... ...
- [Knowledge]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계몽주의의 씨앗이 뿌려진 것이다. 더 나아가 사람들은 천상에도 없는 위아래의 구분이 이 곳엔 왜 아직 존재하냐는 의문을 던지기 시작했다. 모든 사람은 평등하고 자유롭다는 생각이 밀물처럼 퍼져 나갔다. 만약 뉴턴이 보편중력을 발견하지 못했다면, 우리는 어떤 세상을 살고 있을까 ... ...
- 보물을 찾아라! 두근두근 동굴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영구암대는 습도가 90%가 넘을 정도로 높아서 땅에서 사는 동물과 물속에서 사는 동물을 구분하는 것이 애매할 정도로 호흡 기관이 퇴화되기도 해요. 또 먹이가 부족하기 때문에 아주 먹은 먹이를 먹고도 오랫동안 살 수 있도록 적응했지요. 해외에서는 먼지벌레 종류가 2년 동안 먹이 없이 생존한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