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꿀벌, 어째서 감쪽같이 사라진 걸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벌의 수명에 영향을 줬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국농수산대학교 산업곤충전공 김혜경
교수
는 “날씨가 추운 겨울에 벌과 같은 변온동물은 불필요한 에너지 사용을 줄이기 위해 대사량을 낮추는데, 이 과정에서 벌의 수명은 약 4개월로 길어진다”고 말했어요. 이어 “반대로 날씨가 더워지면 ... ...
[3교시] 퀴디치 경기 일정을 짜라!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호시노 캐나다 퀘스트대학교 수학과
교수
와 가와라바야시 겐이치 일본 정보과학연구소
교수
는 일본의 프로야구에서 정규 시즌 동안 어떻게 경기 일정을 짜야 모든 팀의 이동 거리와 이동횟수를 가장 적게 만들 수 있는지를 계산했습니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그래프 문제로 바꿔서 생각했어요. ... ...
[특집] 모스큘라를 피하려면 모기 예보를 보라!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가져 주세요!” Q. 모기 예보를 하신다고요? 네. 제가 속한 이훈복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님 연구실은 동물의 생태를 연구하는 곳입니다. 저는 주로 모기를 연구하는데요. 2018년부터 저희 연구실과 서울시가 협력해 진행하는 모기 예보제의 실무를 맡았습니다. 매일 모기 개체 수를 예측해 모기 발생 ... ...
[그래프 뉴스] 인구 수 집계 이후 처음 인구 수 감소했다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21년 처음으로 인구 증감률이로 인구가 줄어든 것이지요. 조영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
는 “인구 감소는 생산하는 인구와 소비하는 인구가 동시에 준다는 뜻으로 경제 활동 줄어 시장이 축소될 수 있다”고 말했어요 ... ...
[수학체험실] 퍼즐로 이해하는 케플러의 추측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년 동안 많은 수학자가 이 문제에 도전한 끝에 1998년 토마스 헤일스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교수
가 대용량의 컴퓨터를 이용한 계산을 통해 케플러의 추측을 증명했다 ... ...
[수학 기자의 책장] 이렇게 재밌는 수학사는 처음!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저는 2022 필즈상을 받은 허준이 미국 프린 스턴대학교
교수
님(고등과학원 석학
교수
)이 가장 먼저 떠오르는데요. 생각 나는 사람이 없어도 걱정하지 마세요! 세상을 바꾼 수학자 12명의 이야기가 담긴 책 을 읽으면 되니깐요. 이 책이 특히 재밌는 이유는 수학사를 ... ...
[과학뉴스] 티라노사우루스는 3종이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단일종이었다는 반박 논문을 게재했다. 이융남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와 함께 이번 논쟁에 대해 살펴봤다.Q 티라노사우루스 종 논쟁으로 치열합니다. 고생물학은 멸종된 동물을 화석을 통해 연구하는 학문이에요. 문제는 화석만 가지고 종을 확인하기 어렵다는 거예요. 이런 상황에서 공룡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소설가 ‘부캐’로 성공한 연구자 '곽재식 작가'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독자의 좋은 마음을 끌어낼 수 있는 것이 소설이 해낼 수 있는 귀한 가치라는 생각에서다.
교수
이자 SF소설가이자 방송인으로 몸이 3개인 현대 괴물(?)의 삶을 사는 곽재식 작가. 그는 다양한 도전을 즐겨 왔다. 2016년에는 ‘140자 소설’이라는 아주 짧은 단편소설집을 냈다. 트위터에 부계정을 ... ...
[기획] 우리는 자폐를 모른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영역에 공통된 변이가 있다는 것을 찾았다.이번 연구의 공동 제 1 저자인 김일빈
교수
는 “지금까지는 유전체 서열을 전부 읽어내는 것이 오래 걸리고 비싸서 자폐와 관련된 비암호화 영역 연구가 별로 없었다”며 “유전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더 밝혀내야 할 게 많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
[DGIST@융복합파트너] 배터리의 한계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알고, 배터리 이상을 빨리 검진할 수 있을 거라 설명을 덧붙였다. 소개를 마치며 이
교수
가 조심스레 배터리 연구의 미래를 내다봤다.“배터리는 휴대용 기기의 심장과 같은 건데, 덴드라이트 문제는 물론이고 배터리를 검진하고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이 더 필요합니다. 아직 할 일이 많은 것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