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슬기로운 세특 생활] 고려대 생명과학부에 입학한 건에 대하여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바꾸었다고 이상하게 보겠니?” 대학교 지도교수님이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또 다른 교수님은 “고등학생들이 교과세특 보고서 주제로 ‘크리스퍼 카스’ 유전자 가위 이야기를 많이 써오는데, 제대로 이해한 학생이 얼마나 될지 의문”이라고 말씀하셨고요. 두 분 말씀 모두 교과세특에서는 ... ...
- [특집] 100주년 어린이날 선언을 다시 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5월 5일은 기다리고 기다리던 어린이날! 특히 올해 어린이날은 여느 때보다 더 의미가 깊어요. 올해는 1922년 소파 방정환 선생이 어린이날을 만든 후 100주년이 되는 해거든요.어린이날은 어떻게, 왜 만들어졌을까요? 어린이들이 행복한 세상이 되려면 무엇이 달라져야 할까요? 이번 특집은 ...
- [특집] 노키즈존, 헬린이, 잼민이? 어린이는 지금도 차별받는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이유 없이 일반화한 것에 해당한다는 내용이지요. 숙명여자대학교 법학과의 홍성수 교수는 “노키즈존이라는 이름으로 어린이 차별이 허용된다면, 추후 장애인, 성 소수자 등 다양한 차별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서 “어린이를 쫓아내는 것이 쉬운 선택이지만, 좀 힘들더라도 모든 ... ...
- [가상 인터뷰] 세균은 장애물 있으면 더 빠르게 움직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그 덕에 더 빠르게 움직이는 거죠. 이 연구 결과를 무엇에 활용할 수 있을까?청 교수는 “위궤양에 걸린 사람의 위처럼 복잡한 환경에서 세균이 어떻게 이동하는지 이해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어요. 이어서 “이 연구로 세균에 의한 질병을 치료하는 데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며, 세균의 ... ...
- [특집] 끝나지 않은 모기와의 전쟁! 가을 모기 모스큘라를 퇴치하라!수학동아 l2022년 09호
- 가을 모기 ‘모스큘라’가 나타났어요! 사람의 피를 쪽쪽 빨아먹는 건 기본이고, 사람에게 감염병까지 옮긴다는 무시무시한 소문이 돌고 있지요. 모스큘라에 대해 샅샅이 알아보고 효과적인 방법을 총동원해 모스큘라를 잡아 보자고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끝나지 않은 모 ... ...
- [특집] 모기 트랩을 설치하자!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있다”고 전했어요. 전염병을 연구하는 수학자! 안녕하세요. 데이비드 그린할 교수입니다. 영국 스트래스클라이드대학교 수리통계학부에서 수학과 통계학을 이용해 C형 간염, 에이즈, 뎅기열과 같은 감염병의 전파와 통제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2016년부터 박사후연구원 2명과 함께 ... ...
- [가상 인터뷰] 세포 실험, 이제 컴퓨터로도 할 수 있다!수학동아 l2022년 09호
- 모자이크 패턴을 만들었어요. 실제 저로 실험했을 때와 같은 결과였지요. 스바드렌카 교수는 “생물학과 수학이 기초과학 및 의학 연구에 중요한 발견을 하기 위해 협력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답니다 ... ...
- [킹앤유] 사물함에 깜짝 선물 숨기기 대소동!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실험장치 대신에 칠판과 책상이 있답니다. 수학과답죠? 이곳에서 수학 이론을 공부하고 교수님께서 주신 수학 문제를 풀다 보니 벌써 방학이 끝나버렸네요. 하하. 하지만 연구실에서만 시간을 보낸 건 아니에요. 소모임을 만들어서 친구들과 맛있는 것도 먹고 책을 같이 읽은 후 토론도 했답니다. ... ...
- [취미코딩] 게임하는 인간을 이해하는 곳, e스포츠 연구실을 가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설명이 끝나자 참가자들의 질문이 이어졌습니다. 많은 질문과 답변이 오간 뒤, 이 교수는 “코딩이나 통계 실력보단 과학적사고 능력과 글을 잘 쓰는 것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연구에 중요할 것”이라고 덧붙이며 이날 견학을 마쳤습니다 ... ...
- [시사기획] 기후위기에 잠긴 도시 ① 서울 한복판 ‘아포칼립스’ 빗물터널은 도시를 홍수에서 구원할까과학동아 l2022년 09호
- 하천이 마르는 현상, 열대야 등의 원인 모두 불투수율이 늘어난 탓으로 꼽힌다.한 교수는 “빗물저류시설을 만드는 것 뿐 아니라, 빗물을 모아둘 작은 저수조를 여럿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고 짚었다. 이 경우 대규모 토목공사가 필요하지 않다는 이점도 생긴다. 이어 “개발을 하더라도 빗물이 잘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