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우리는 자폐를 모른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영역에 공통된 변이가 있다는 것을 찾았다.이번 연구의 공동 제 1 저자인 김일빈
교수
는 “지금까지는 유전체 서열을 전부 읽어내는 것이 오래 걸리고 비싸서 자폐와 관련된 비암호화 영역 연구가 별로 없었다”며 “유전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더 밝혀내야 할 게 많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
유전자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긴 비암호화 RNA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아직 밝혀야 할 것은 많지만, 활용 범위가 넓은 만큼 잠재적인 중요성은 높습니다. 남
교수
는 “긴 비암호화 RNA의 기능은 전체 염기서열 중에서도 일부가 결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이들을 모두 밝히고, 응용할 수 있다면 유전자치료제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도구로 활용할 수 ... ...
[기획] 80억 마리가 사라졌다?! 꿀벌 대실종 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위잉~! 위잉~!”봄을 맞아 요란한 소리를 내며 날아 다녀야할 벌들이 보이지 않습니다. 올해 초 전국 양봉 농가에서 키우던 벌 약 83억 마리가 사라졌기 때문이지요. 도대체 벌들은 왜 사라진 걸까요? 사라진 벌을 찾기 위해서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 ... ...
[기획] 꿀벌, 어째서 감쪽같이 사라진 걸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벌의 수명에 영향을 줬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국농수산대학교 산업곤충전공 김혜경
교수
는 “날씨가 추운 겨울에 벌과 같은 변온동물은 불필요한 에너지 사용을 줄이기 위해 대사량을 낮추는데, 이 과정에서 벌의 수명은 약 4개월로 길어진다”고 말했어요. 이어 “반대로 날씨가 더워지면 ... ...
[몬스터를 잡아라!] 방어와 공격을 한 번에! 뺄셈·5 변신 몬스터!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9호
+놀이북 2쪽과 함께 보세요! 뺄셈 변신 몬스터의 이마에서 김이 나요. 게임이 잘 풀리지 않아서 화가 났나봐요. 숫자 5 안에 숨은 5 변신 몬스터는 눈을 감고 쉬고 있네요. 변신한 몬스터들을 잡으러 함께 떠나볼까요? 뺄셈한 결과가 5가 되는 두 수를 찾는 게임이에요. 먼저 게임판에 1부터 10까지의 ... ...
[화보] 미션! 예술 작품에 숨겨진 수학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랭포드 수열로, 3과 3 사이에 3개의 수가 있고, 2와 2사이에는 2개의 수가 있지요. 라이먼
교수
는 7가지 색으로 n이 7인 랭포드 수열을 표현했어요. 왼쪽 가장 위에 있는 원을 예로 들어보면 주황색이 2에 해당해요. 두 주황색 원 사이에 노란색 원과 초록색 원이 하나씩 있으니까요. 정답 : 5 미국의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1화. 우리 학교를 소개합니다!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또 다른 옥스퍼드대 소속 유명한 수학자이자 2020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로저 펜로즈
교수
님이 발견한 펜로즈 타일을 기념하는 장식이 바닥을 꾸미고 있습니다. 20대의 전부를 보냈던 옥스퍼드대 저는 2008년부터 2019년까지 수학과 전공으로 학사, 석사, 박사과정까지 무려 11년을 이런 좋은 곳에서 ... ...
세계적인 수학자! 김민형
교수
와 수다 떨자! 동대문 수학 클럽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대한 설명을 들은 기자와 독자 3명은 그 자리에서 클럽에 가입했어요! 김민형
교수
님과 클럽원들이 어떤 이야기를 나눴는지 잠깐 살펴볼까요? 김민형 (빨대 하나를 들면서) ‘빨대의 구멍은 몇 개일까요?’라는 질문을 들어봤어요? 몇 년 전 인터넷에서 화제가 됐던 내용인데요. 고도형 ... ...
[과학뉴스] 티라노사우루스는 3종이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단일종이었다는 반박 논문을 게재했다. 이융남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와 함께 이번 논쟁에 대해 살펴봤다.Q 티라노사우루스 종 논쟁으로 치열합니다. 고생물학은 멸종된 동물을 화석을 통해 연구하는 학문이에요. 문제는 화석만 가지고 종을 확인하기 어렵다는 거예요. 이런 상황에서 공룡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소설가 ‘부캐’로 성공한 연구자 '곽재식 작가'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독자의 좋은 마음을 끌어낼 수 있는 것이 소설이 해낼 수 있는 귀한 가치라는 생각에서다.
교수
이자 SF소설가이자 방송인으로 몸이 3개인 현대 괴물(?)의 삶을 사는 곽재식 작가. 그는 다양한 도전을 즐겨 왔다. 2016년에는 ‘140자 소설’이라는 아주 짧은 단편소설집을 냈다. 트위터에 부계정을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