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뉴스
"
분리
"(으)로 총 2,55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청정에너지원 '핵융합' 혁신기업에 '뭉칫돈' 몰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9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려면 1억도 이상 초고온 상태의 플라스마(원자핵과 전자가
분리
된 이온 상태)가 필요하다.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태양은 자체 질량과 중력으로 초고온 플라스마 상태를 스스로 만들어 끊임없이 핵융합 반응으로 열에너지를 만들어낸다. 그러나 지구에서는 1억도의 초고온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신속·정확하게 진단하는 새로운 방법
2021.04.16
플라스모닉 효과로 인해 유전물질을 빠르게 증폭하는 동시에 자기력을 이용해 샘플을
분리
할 수 있다. IBS 제공 한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존재하면 미세하게 변화하는 전류를 감지하여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나노기술도 있다16. 이는 그래핀 FET 기반 전자적 바이러스 검출법이라고 불린다. ... ...
블루오리진 15번째 시험비행 성공…다음 번 사람 태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5
로켓은 대기권과 우주의 경계로 불리는 100㎞ 상공까지 올라가 승객용 6인용 캡슐을
분리
한다. 캡슐이 지구로 돌아오는 동안 속 탑승자는 10분간 자유낙하를 경험하게 된다. 캡슐 벽에는 큰 창문이 달려있어 바깥 모습을 승객이 볼 수 있다. 로켓은 추진력을 이용해 수직 착륙하고 캡슐은 낙하산을 ... ...
핵융합 산업을 준비하는 스타트업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4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려면 1억도 이상 초고온 상태의 플라스마(원자핵과 전자가
분리
된 이온 상태)가 필요하다.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태양은 자체 질량과 중력으로 초고온 플라스마 상태를 스스로 만들어 끊임없이 핵융합 반응으로 열에너지를 만들어낸다. 그러나 지구에서는 1억도의 초고온 ... ...
[강석기의 과학카페]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를 멈출 수 있을까
2021.04.13
않고 침전물이 생기지도 않는다. 또 열을 약간만 가해도 이산화탄소가 쉽게 떨어져
분리
되므로 이 과정에 들어가는 에너지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지난 3월 학술지 ‘온실기체조절국제저널’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기존 방법보다 에너지가 17% 덜 들고 이산화탄소 1t을 포집하는 비용도 47달러로 ... ...
후쿠시마 오염수 삼중수소
분리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7
중수소
분리
가능성을 검증한 것으로 후쿠시마 오염수처럼 액체상 낮은 농도의 삼중수소
분리
를 위해서는 추가 실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신소재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표지논문 7일자(한국시간)에 게재됐다 ... ...
리튬이온전지 속 미세 구조물 간격 바꿔 이온 이동량 3.4배까지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5
충전하면 이 과정이 반대로 일어나 처음 상태로 돌아간다. 이 때문에 리튬이온이
분리
막을 빨리 통과할수록 리튬이온전지의 성능이 좋아진다. 연구팀은 리튬이온전지 내부 구조를 관찰하기 위해 양극, 음극, 나노 다공성 막으로 이뤄진 전지를 얇게 잘라냈다. 양극과 음극에는 100㎛ ... ...
11일 화성 하늘에 첫 헬기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5
무게 1.8kg에 가로 13.6cm, 세로 19.5cm, 높이 16.3cm 크기로 티슈상자 만하다. 퍼시비어런스와
분리
되기 전까지 퍼시비어런스의 원자력 시스템이 평균 영하 60도까지 떨어지는 화성의 혹독한 밤을 견딜 수 있도록 보호했다. 현재 인지뉴이티는 내부 충전식 배터리를 통해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다. 일부 ... ...
[잠깐과학] 괴혈병 막는 비타민 C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4.03
밝혀진다. 헝가리의 생화학자 얼베르트 센트죄르지는 식물즙과 동물의 부신에서
분리
한 ‘헥수론산’이 괴혈병을 막는다고 추측하고, 1930년부터 실험을 시작했다. 비슷한 시기, 미국의 생화학자인 찰스 글렌 킹도 같은 실험을 진행했다. 둘은 모두 기니피그를 대상으로 실험했는데, 인간을 포함한 ... ...
살기 위해 몸통 잘라 버리는 갯민숭붙이
과학동아
l
2021.04.02
포식자로부터 도망치기 위해서가 아닌 자신의 몸에 감염된 기생충을 제거하고자 몸통을
분리
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미토 연구원은 “이 갯민숭붙이들은 녹조류로부터 엽록체를 뺏어 광합성을 해 에너지를 얻는 특성이 있다”며 “잘린 몸통이 오래 활동할 수 있는 이유는 이 독특한 특성 때문일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