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뉴스
"
분리
"(으)로 총 2,559건 검색되었습니다.
500번 충·방전해도 높은 에너지 밀도 유지하는 양극 소재 합성법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3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앞선 연구에서 니켈, 망간 같은 전이금속과 리튬층이 완전히
분리
돼있는 것보다 리튬층에 니켈 등이 일부 섞여 있으면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팀은 양극 소재를 합성할 때 리튬과 전이금속을 가열하는 온도, 냉각하는 온도, 냉각 시간 등을 바꿔 양극 ... ...
2년 전 '죽은 심장' 이식받은 英 10대 소녀, '하키도 거뜬'
연합뉴스
l
2021.02.22
대상 장기로 고려되지 않았었다. '죽은 심장'을 이용한 이식수술은 기증자의 몸에서
분리
된 시점부터 환자에게 이식될 때까지 심장을 온전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특수 의료 장비(OCS)의 개발 이후 가능해졌다. 하지만 이 새로운 기술도 어린이를 대상으로는 시도되지 않았다. 이 새로운 ... ...
[코로나 과학전쟁]식물에서 얻는 단백질 백신 개발 국내서 도전...코로나 '게임체인저'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2.22
스파이크단백질 유전자를 식물에 주입하면 식물이 항원 단백질을 만든다. 이를 정제하고
분리
해 백신으로 활용한다. 연구팀은 현재 담배의 야생종인 니코티아나 벤타미아나에 유전자를 주입해 코로나19 항원 단백질을 대량 생산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항원 단백질의 항체 생성 효과를 확인하기 ... ...
“돌연변이로 항원성 바뀌면 백신도 소용 없어”…변이 바이러스의 실체를 찾아서
동아사이언스
l
2021.02.19
천 건 분석 지난해 코로나19 유행 이후 1년간 이곳에서는 국내 코로나19 환자의 검체에서
분리
한 바이러스 3000여 주의 유전체가 분석됐다. 센터장인 박만성 고려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여서 끊임없이 돌연변이가 일어난다”며 “유전체 분석을 통해 어디에 ... ...
美 화성 로버 ‘퍼시비어런스’ 5시 55분 화성 착륙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2.19
펼쳐 속도를 줄였고, 5분 10초가 지났을 때 운반 캡슐에서 로버를 실은 스카이크레인이
분리
됐다. 스카이크레인은 화성 지표면 상공 21m 지점에서 초속 0.74m의 속도로 로버를 지표면에 사뿐히 안착시켰다. 퍼시비어런스는 무게가 약 1026kg인 탐사 로봇이다. 선명한 영상을 담을 수 있는 카메라 23대와 ... ...
질병 냄새 맡는 개보다 후각 200배 뛰어난 전자코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분석은 시료를 기화시켜 시료의 각 성분이 흡착성과 용해성 차이에 의해 각각
분리
시키는 방식이다. 연구팀은 전립선 암 환자의 소변 시료 50개에 가스크로마트그래피 분석법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소변 시료의 냄새 분자를 분석했다. 그런 다음 인공지능(AI)의 하나인 기계학습을 이용해 전립선 암 ... ...
美 퍼시비어런스, 19일 오전 5시48분 화성 착륙 시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Caltech 제공 대기권 진입 후 5분 10초가 되면 운반 캡슐에서 로버를 실은 스카이크레인이
분리
된다. 지표면 상공 21m에 이르면 스카이크레인이 초당 0.74m의 속도로 로버를 지표면에 내려준다. 대기권 진입부터 로버가 땅에 '터치 다운'할 때까지 총 6분 50초가 걸린다. 퍼시비어런스는 지난해 7월 30일 ... ...
너무나 무서운 딸기
팝뉴스
l
2021.02.16
도대체 이 빨간 물체는 무엇인가. 사진 공개자에 따르면 딸기라고 한다. 여러 개로
분리
되었어야 할 딸기가 서로 뭉쳐진 상태였다는 설명이다. 사진은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큰 화제를 모았는데 “이렇게 무서운 딸기는 본 적이 없다”며 놀라워 하는 네티즌들이 적지 않다. ※ 편집자주 ... ...
50살 맞은 KAIST...혁신과 산업 발전의 ‘담대한 발걸음’
2021.02.15
KIST)와 통합해 교명을 지금의 KAIST(한국과학기술원)로 변경했다. 1989년 6월 KIST와
분리
된 KAIST는 같은 해 7월 한국과학기술대학(KIT)과의 통합을 계기로 대덕 캠퍼스로 이전해 학부와 대학원을 모두 갖춘 ‘대덕 시대’를 열었다. 2009년 3월에는 한국정보통신대학교(ICU)와 합병하는 등 교세를 꾸준히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안전하면서도 비용과 시간을 줄이는 치료제 개발 전략
2021.02.15
더불어 치료제 개발도 필요하다. 앞서 바이러스를 극복한 환자에게서 얻은 혈청에서
분리
한 혈청치료제, 미국 길리어드 사이언스가 개발한 렘데시비르(Remdesivir, 에볼라 바이러스의 항바이러스제로 개발됐다)가 사용된 바 있다. 그러나 임상 효과가 탁월하지는 않았다. 말라리아 치료제인 클로로퀸도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