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기"(으)로 총 5,382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몸 밖의 몸,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다양한 세포 유형을 적용할 수 있는 조건을 찾고, 다양한 종류의 질환을 체외에서 재현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습니다. 오가노이드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한다면, 오가노이드가 인간의 질병 연구나 진단 도구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인공장기 역할을 하는 시대가 올 수도 있습니다. 염민규_mky24@cam.ac ... ...
- [인터뷰] “왜?”라고 질문하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모든 변화는 학생들이 원하는 연구를 마음껏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POSTECH은 학생 1인당 연간 교육 투자비가 8400여 만 원으로 높은 편이다. 교수 1인당 학생 수도 3.4명밖에 되지 않아 소수정예 교육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성적이 B0 이상이면 지급하는 전액 장학금이나, ... ...
- Part 1. 하늘에서 내려온 보석, 눈결정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리브레히트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 물리학과 교수는 “눈결정은 육각 패턴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대칭을 유지하며 성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수학자는 얼음이 육각형 구조라는 것을 어떻게 생각할까? 비눗방울의 기하학을 연구하는 서검교 숙명여대 수학과 교수는 “육각형은 자연에서 ... ...
- [프리미엄 리포트] 미국, 진통제와의 전쟁 선포! 진통제 알고 먹자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생합성을 저해해 통증을 억제한다. COX 효소의 작용을 전체적으로 억제해 소염 작용을 하기 때문에, 염증을 동반한 통증이나 관절통, 피부 전이 및 뼈 전이 통증에 많이 쓰인다. 그런데 프로스타글란딘은 통증뿐만 아니라 체내에서 위벽을 보호하고, 혈액을 응고하고, 소변량을 유지하는 기능에도 ... ...
- [번외종목] 스키로봇챌린지, 8봇 8색 도전! 로봇 스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실전에서는 사람이 개입할 수 없다. 오로지 자율주행 기능에 의해 슬로프를 내려와야 하기 때문에 어떻게 기문을 인식하고 스키를 제어해 기문을 통과하는 지가 중요하다. 기문은 빨간색과 파란색으로 각각 한 쌍씩 총 다섯 쌍으로 이뤄져 있으며, 가로 70cm 세로 50cm의 직사각형이다. 스키로는 ... ...
- [Culture] 우리집 고양이는 왜 화장실을 못 가릴까요?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고양이는 배뇨하고 돌아서서 모래를 덮어야 하는데 공간이 너무 좁으면 이런 행동을 하기가 너무 불편합니다. 때문에 꼬리를 제외한 몸 길이 1.5배 이상의 커다란 화장실을 만들어주는 게 좋습니다. 만약 여러 마리의 고양이를 키운다면 화장실을 고양이의 수보다 하나 더 만들어 여러 군데 놔줘야 ... ...
- [INTERVIEW] 끈기와 근성 있다면 도전하세요! 화이트해커 박세준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나가지 못해감이 떨어져서 걱정입니다. 또 어리고 더 잘하는 친구들이 많아져서 우승하기가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하하. Q. 보안, 암호 전문가를 꿈꾸는 청소년에게 조언을 부탁드립니다.앞서 언급했듯이 보안은 꾸준함이 필수인 분야입니다. 매우 빠르게 많은 것이 변하는 분야기 때문에 항상 ... ...
- [Issue] 설마 내가 우울증? 우울증 검사 직접 받아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심리부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최근에는 자살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 수립을 하기 위해 심리부검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핀란드는 1987~1988년 1397건의 심리부검을 실시했다. 1986년만 하더라도 핀란드는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이 30.3명에 달했다. 같은 해 우리나라는 10만 명당 8.8명이었던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다이서로스 교수는 2016년 ‘스탠퍼드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정신병을 이해하고 치료하기란 너무나 어려운 일”이라며 “광유전학은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유력한 도구”라고 말했습니다. 광유전학을 이용한 연구는 현재진행형입니다. 지금도 많은 연구를 통해 빛으로 조절이 가능한 다른 ... ...
- 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해석하는 거지요. 하물며 사람의 감정처럼 기호로도 나타내기 힘들면 인공지능이 따라 하기 어려울 거예요. 인공지능이 사람을 뛰어넘으려면 수학적인 증명도 수학자보다 잘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미 괴델이 인공지능이 증명할 수 없는 명제가 있음을 밝혔으니, 사람을 100% 따라잡을 수 없을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