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여름철
행하기
여름
실행
실시
하기시간
d라이브러리
"
하기
"(으)로 총 5,38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온가족이 함께하는 확률게임
수학동아
l
2018년 01호
이런 쉬운 게임에서조차 남아있는 카드의 개수와 본인이 가진 카드의 조합을 따져야
하기
때문에 카드 게임 중에 두뇌를 쓰지 않은 것은 없다. 트럼프 카드 말고도 그림이나 숫자가 적힌 보드게임도 많다. 여기 온 가족이 함께할 수 있는 대표적인 카드게임 몇 가지를 소개한다. ▼관련기사를 ... ...
수학으로 완성한 감성 게임, 더뮤지션
수학동아
l
2018년 01호
수학과 친해야 한다”며, “이미 나와 있는 것보다 더 좋은 걸 만들려면 원리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원리의 중요성을 깊이 이해하는 개발자가 펼칠 미래는 어떤 모습일지 궁금하다 ... ...
[현장취재]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을 만나다! 로멜라 로봇 전시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1호
되기 위해 열심히 공부했어요. 로봇 공학을
하기
위한 도구는 과학이고, 과학을
하기
위한 언어는 수학이거든요. 전 수학을 좋아하지 않았지만, 로봇 공학자가 되기 위해 수학이 필요 하다는 걸 알았지요. 그래서 열심히 공부한 결과 좋은 점수를 받았답니다. 우리가 공부할 때 왜 하는지 모르면 ... ...
[실전! 반려동물] 개는 왜사람을 무는 걸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1호
하는 등 보호자가 반려견을 잘 관리하는 것이 가장 먼저예요. 그다음으로는 개가 공격
하기
전에 보이는 ‘경고 행동’을 잘 관찰하는 것도 중요하지요. 개는 크게 두 가지의 경고 행동을 보여요. ‘방어적 경고’는 개가 무서움을 느낄 때 하는 자세예요. 더 이상 다가오지 말라는 표현이기도 ...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수준이거나 더 앞선다. 시장이 광대한데다 중국 정부가 새로운 산업을 뿌리내리게
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에 과학자들에겐 중국이 기회의 땅이다. 가령, 한국은 인터넷 속도에선 최고지만 활용도는 중국에 뒤처진다. 이미 중국은 인터넷 기반 공유 경제와 이를 이용한 택시(DiDi), ... ...
[Career]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않거나 측정 결과가 재현되지 않는 문제가 생겼다. 세포를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주입
하기
도 쉽지 않았다. 신 연구원은 반도체 물질 대신 유리 기판에 정교하게 패턴을 새기는 공정 기술을 개발해 세포가 자리 잡고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 세포를 정확한 위치에 주입할 수 ... ...
Part 2. 포커 신 되는 수학전략
수학동아
l
2018년 01호
나만이 알고 있는 개인카드 2장 외에 모두가 공유하는 5장의 카드 중에서 3장을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개인카드가 아무리 좋아도 공통카드가 나의 카드와 적절한 조합을 이루지 않으면 소용없다. 그러나 내가 어느 정도 좋은카드를 갖고 있는지 알아야 상대의 패에 상관없이 이익을 가져갈 확률을 ... ...
[식물 속 동물 찾기] 복슬복슬 꼬부랑, 다람쥐꼬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땅에 떨어지면 또 하나의 식물로 자라날 수 있지요. 따라서 다람쥐꼬리에는 수정을
하기
위해 필요한 기관인 꽃이 없답니다. 줄기의 맨 윗부분에도 번식을 위한 ‘막눈’이 있어요. 막눈은 원래 식물의 잎 겨드랑이에서 생기는 눈이 다른 곳에서 나는 것을 뜻해요. 다람쥐꼬리는 줄기 맨 꼭대기에서 ... ...
[공룡은 왜?] 단단한 머리뼈로 박치기를 쾅! 파키케팔로사우루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것으로 보여요. 또 다른 근거는 파키케팔로사우루스의 목 구조가 머리 박치기를
하기
에 적합하지 않다는 거예요. 큰뿔야생양이나 사향소는 일정 시기가 되면 수컷들끼리 서로 뿔을 부딪치는 전투를 해요. 이때 동물들은 머리와 목, 몸을 일직선으로 만들어요. 그래야 충돌했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 ...
Part 2. [활약1] 뭉치면 강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지역을 촬영할 수 있어요. 그래서 넓은 지역을 관측
하기
위해선 지구를 여러 번 지나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지요. 반면 큐브샛은 여러 대가 줄을 맞춰 움직이는 ‘군집비행’을 하면 훨씬 넓은 지역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어요. 또 다목적 위성 한 대를 만들어 운영할 때보다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