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않는다면 식사량을 비교해 보면 쉽다. 내온성 동물 중 가장 큰 육상 포식동물인 사자를 보자. 하루에 고기 9kg, 그러니까 안심스테이크 45인분 정도를 먹어야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다. 하지만 같은 양의 고기를 바다악어에게 주면 무려 90일 동안 파티를 벌일 수 있다. 삼시세끼 많이 먹을 필요가 ...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끝 부분, 대기가 희박한 화성에 나동그라진 사람의 얼굴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떠올려보자!모든 생명체는 오랫동안 주어진 환경에서 적응하며 오늘날의 모습을 갖게 됐다. 덤프트럭만큼 공기가 짓눌러도 아무렇지 않다. 그렇다보니 인류는 공기에 무게가 있고 이 때문에 상당한 크기의 압력이 ...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도시는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화성 정착에 힘쓰고 있는 수학자의 이야기를 들어보자.1 지오데식돔 보호막화성에는 자외선과 태양풍을 막아줄 대기가 부족하고 자기장은 아예 없다. 우리는 살아남기 위해 지오데식돔 모양의 보호막을 만들기로 했다. 지오데식돔은 다면체의 면을 삼각형으로 만들어, ... ...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자랑하는데, 사물인터넷 기술이 곳곳에 숨어 있다는 제보를 받았거든! 같이 한번 살펴보자구!가전전시회에 자동차가 나타났다?지난 1월 6일부터 9일까지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세계가전전시회(CES)가 열렸어요. 1967년 미국 뉴욕에서 1회가 개최된 뒤, 매년 최신 기술을 자랑하는 전세계의 가전제품들이 ... ...
- [생활] 도전과 재미가 무한대로 발산한다 용인외대부고 큐이디(Q.E.D.)수학동아 l2015년 05호
- 기자로서 묘한 경쟁심을 느끼며 학교로 들어섰다. 수학으로 노는 큐이디를 함께 만나 보자.약속시간보다 조금 일찍 도착해서인지 교실마다 수업이 한창이었다. 구경할 겸 학교 곳곳을 돌아다니다가 벽에 붙어 있는 수학 문제를 발견했다. 호기심에 문제를 들여다봤더니 풀이가 끝나는 곳엔 어김없이 ... ...
- 이제 나도 게임 프로그래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독자들은 신이 난 얼굴을 감추지 못했다. 게임 프로그래머로 변신한 독자들을 만나 보자.“수학동아 게임카페에 두 번 이상 참가하는 사람?”“저요!”오규환 아주대 미디어학과 교수가 묻자, 여기저기서 독자들이 손을 들었다. 지난 번 게임카페에서 마주친 적이 있는 친구들은 서로 반갑게 인사를 ... ...
- 숲을 지키는 수학의 힘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숲속에서 벌어지는 나무의 건강한 경쟁과 성장, 숲에 닥쳐올 수 있는 위기를 분석해 보자. 그리고 이를 이용해 어떻게 숲을 지키고 보존할 수 있을지 함께 생각해 보자.숲에 닥친 위기, 얼마나 심각한가?우리나라 전체 숲의 넓이는 여의도의 약 2만 배, 축구장의 약 697만 배다. 그런데 한 해 동안 ... ...
- Part ➌ 건강한 숲에는 꽃이 핀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증거가 아닐까? 마지막으로 나무가 꽃을 활짝 피울 수 있는 수학적 조건을 알아보자.나무가 꽃을 피우려면, 우선 저장된 에너지가 있어야 한다. 광합성으로 얻은 에너지의 일부를 꽃을 피우는 데 사용하기 때문이다. 만약 1년 동안 꽃과 열매를 만드는 데 쓴 에너지가 저장된 에너지보다 많다면, ... ...
- [지식] 수학으로 내다보는 황사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있다. 어떻게 황사로부터 우리 건강을 지킬 수 있을까. 수학으로 황사에 똑똑하게 대비해 보자.※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우리나라 환경부에서는 지름 10μm 이하의 먼지를 ‘미세먼지’라고 정의하고 있다. 2.5μm 이하는 ‘초미세먼지’라고 정의한다. 하지만 국가와 기관에 따라 지름 2.5μm 이하의 ... ...
- [생활] 미디어아트팀, 태싯그룹 새로운 소리를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아니라 시스템이 어떤 방법으로 소리를 내도록 할지다.“한 번은 소리를 생명체로 보자는 관점에서 작업을 했어요. 그렇게 탄생한 작품이 ‘LOSS’입니다. ‘Life of Sounds’의 약자죠. 유전학에서 보면 부모의 염색체가 각각 반씩 만나서 자녀의 염색체가 만들어지잖아요. 그런 원리를 소리에 적용시켜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