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쌍곡선 경로라고 할 수 있다. 행성으로 가는 길지구를 벗어났다면 이제 다른 행성으로 가보자. 지구에서 태양계 행성으로 가는 가장 안정적인 방법은 마치 계단을 오르는 것처럼 태양을 중심으로 안쪽인 지구의 공전궤도에서 바깥쪽 행성의 공전궤도로 궤도를 옮겨가는 것이다. 이런 우주선의 ...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직접적으로 조절하지 않고도 암을 정복할 수 있을 것이다. 쓰레기 RNA의 반란에 주목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PART5. 어떻게 살 ... ...
- 공기 나빠도 운동은 하고 보자!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건강을 위해서는 꾸준히 야외 운동을 하는 게 좋다. 하지만 도심 한복판처럼 공기의 질이 나쁘다면? ‘그래도 운동하는 게 낫다’는 게 과학자들의 결론이다. 덴마크 코펜하겐대 공중보건학과 조라나 안데르센 교수팀은 정부가 코펜하겐과 아르후스 지역에서 실시한 대규모 코호트 조사를 분석했 ... ...
- [지식] 진단, 나 너 믿어도 돼?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정확성을 확인하는 오늘과 맞춤 의학으로 질병을 예방하는 내일의 모습을 지금 만나 보자.6월 내내 온 국민을 두렵게 한 메르스는 며칠째 새로운 확진자가 나오지 않는 걸 보니 정리가 되는 모양이다. 메르스 유행이 끝나는 건 다행이지만 메르스 진단 결과가 잘못 나왔던 몇몇 사례를 떠올리면 정말 ... ...
- PART 1 기하학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작은 조각이라도 오차를 허용해서는 안 된다.대표적으로 덴마크 레고사의 브릭을 살펴 보자. 각 브릭의 크기를 결정하는 기준은 세 가지로, 두 스터드 중심 사이의 간격(P), 1×1 브릭의 높이(H), 1×1 플레이트의 높이(h)다. 세 수는 오른쪽 표와 같은 관계를 갖는다. P와 H, h의 실제 값은 소수 셋째 ... ...
- 이지스함 레이더를 야구에 가져오다, 스탯캐스트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수 있게 한다.새로운 세대의 스피드건공의 속도를 재는 스피드건이 없었던 옛날을 생각해보자. 가장 빠른 공을 던지는 투수가 누군지 알았을까. 현재 사용하는 정확한 스피드건은 미국에서 1950년대 중반에 발명됐다. 야구의 역사 중 절반이 넘도록 사람들은 투수가 던지는 공의 빠르기를 정확히 알지 ... ...
- 함께 나누는 수학 놀이 청주 중앙여중 파이(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지오데식돔 같은 모형을 만드는 청주 중앙여중 수학동아리 파이를 수학동아와 함께 만나 보자.평범한 남녀공학을 나온 기자에겐 처음인 여자중학교. 운동장에 들어서자, 분홍색 벽면과 학생들의 분홍색 교복이 눈에 띄었다. 이제 막 수업이 끝난 듯, 학생들은 삼삼오오 모여 학교 밖으로 나오고 ... ...
- 박종화 생명과학부 교수 - 늙지 않는 세상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거슬러 30년 전 고등학생 박종화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프로그래밍을 좋아했던 부산출신의 소년은 컴퓨터로 노화와 관련한 생명 현상의 비밀을 풀겠다는 생각에 서울대 수의학과에 진학했다. 하지만 당시에는 컴퓨터라는 개념조차 생소한 시대였다. 컴퓨터와 생물을 접목해 연구를 하는 학자도 ... ...
- 내가 뭘 좋아할지 소프트웨어에게 물어 봐!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교수팀은 실험을 통해 이런 점을 확인해 작년 4월 논문으로 발표했다.쉽게 설명해보자. 나와 구매성향이 비슷한 트위터 친구 여섯 명이 있다. 이 중 네 명은 갤럭시6를 샀고, 두 명은 아이폰 6를 샀다. 기존 알고리즘은 나에게 갤럭시6를 추천할 것이다. 하지만 실은 아이폰을 산 두 명이 나와 훨씬 친한 ... ...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뭔가 찜찜하다. 전류의 단위인 암페어(A)의 기준이 마음에 들지 않기 때문이다. 교과서를 보자. 1 A는 ‘무한히 길고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작은 원형 단면적을 가진 두 개의 평행한 직선 도체가 진공 중에서 1미터의 간격으로 유지될 때 두 도체 사이에 매 미터당 2×10-7 뉴턴(N)의 힘이 생기게 하는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