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주식투자에서 실패 않는 법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한숨을 동시에 자아낸다. 하지만 과거의 자료가 말해주는 진실은 적지 않다. 회귀분석을
개
별 종목에 적용하면 불규칙해 보이는 주가 변화에서도 어느 정도 규칙성을 찾아낼 수 있다. 주식투자에도 치밀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 ...
6세부터 106세까지 꿈의 장난감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할 수 있다. 재미뿐만 아니라 인성과 사회성 발달에도 좋은 영향을 준다.전 세계 50여
개
의 유명 완구상을 휩쓴 로켄복 시스템. 컴퓨터 게임에 빠져있는 청소년들에게 꿈의 장난감을 선물해보는 것은 어떨까 ... ...
산소요정의 왕자님 살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하나씩 연한 분홍의 허파가 있다. 허파에는 포도송이 모양의 허파꽈리가 무려 3억 5000여
개
나 있다. 허파꽈리를 모두 펼치면 테니스장의 반을 덮을 정도로 넓다. 따라서 공기와 많이 닿을 수 있다. 어떻게 숨을 마시고 내뱉을까?산소요정은 허파 속으로 들어가기 위해 갈비뼈를 올리고 횡격막을 ... ...
말라리아 약초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동향에 큰 영향을 끼쳤다1931~ 미국의 물리학자 소립자물리학의 새로운 국면을
개
척했다 76년 이 공로로 이 입자를 독립적으로 발견한 S C C 팅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궤도의 법선방향으로 향한 가속도의 성분 질점이 가속도 운동을 하고 있을 때 가속도는 속도에 평행하는 성분과 수직의 ... ...
2. 부모 얼굴, 골라 닮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잘 알려진 유전질병인 다지증(육손이)만 하더라도 Gli3, SHH, Alx4 를 포함한 유전자 수 십
개
가 관련된다.이밖에 유전 말고 얼굴의 형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있다. 얼굴의 기본틀은 유전에 의해 결정되지만 살아가면서 주변 환경에 의해 많이 바뀐다.페이스라인 성형외과 이태희 원장은 “요즘 ... ...
인디언들은 초신성 폭발을 봤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밝은 별이다. 1월 초순 동트기 직전 새벽하늘에는 안타레스와 함께 밝은 행성 두
개
가 뜬다. 안타레스의 약간 왼쪽 위, 새벽하늘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하얀색 천체가 바로 목성이다. 또 목성의 왼쪽 아래 지평선 가까운 곳에 이제 막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밝은 붉은색 천체는 화성이다.안타레스와 ... ...
변신의 귀재 탄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종류에 따라 붙일 수 있는 자석막대기가 1~4
개
로 정해져 있다. 탄소 구슬은 막대기를 4
개
까지 붙일 수 있어 탄소 구슬만 갖고 만들 수 있는 물질의 수가 다른 구슬에 비해 많다.변화무쌍한 결합방법 때문에 탄소는 생명체를 이루는 가장 중요한 원소가 됐다. 생명체의 몸은 주로 탄소, 질소, 산소, 수소 ... ...
'새대가리' 같지 않게 똘똘한 비둘기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능력을 보였다.같은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개
코원숭이는 3500~5000
개
의 그림을 기억했다.
개
코원숭이는 비둘기보다 훨씬 뛰어난 기억력을 갖고 있어 3년 이상 실험을 했지만 기억력의 한계를 측정하지 못했다. 두 동물 모두 연구팀의 예상보다 기억능력이 매우 뛰어났으나 두 동물이 그림에 반응하는 ... ...
지금 화성에는 물이 흐르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협곡을 연구해온 케네스 에제트 연구원은 “협곡이 생기는데 필요한 물은 수영장 5~10
개
분쯤 된다”고 추정했다.수천~수만년 전 화성에 물이 존재했다는 사실과 화성의 북극 근처에 얼음이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진은 있었지만 현재 물이 흐르고 있다는 증거를 발견하기는 이번이 ... ...
2. 선폭 줄이면 매트릭스 세상이 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들어오는 모든 정보를 디지털화하고 데이터를 하나의 칩에 저장할 수 있는 고성능 칩을
개
발하는 것”이 핵심 기술이라고 밝히고 있다.1997년에 미국 카네기멜론대 연구진은 아인슈타인을 살려낸 적도 있다. 아인슈타인이 살아있을 때 찍어둔 500여 편의 비디오에서 음성과 대화 내용을 데이터로 ... ...
이전
984
985
986
987
988
989
990
991
9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