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스콜피온 롤러코스터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전문가인 마이크 그라한이 직접 설계한 모형으로 실제 롤러코스터와 똑같이 작동한다. 700
개
가 넘는 부품을 조립하면 길이 7.9m의 트랙을 갖춘 대형 롤러코스터가 완성된다.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동아사이언스 쇼핑몰에서만 판매한다. 우주탐사는 식은 죽 먹기? 지구 핵 속으로 탐사를 떠나는 ... ...
남극에서 운석 찾아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한국 과학자의 손으로 찾았다.한국해양연구원 극지연구소의 운석탐사대는 지난 1월 5
개
의 운석을 발견했다. 극지전문가 7명으로 이뤄진 탐사대는 사람의 발길이 닿은 적이 없는 남극대륙 중앙에서 영하 20℃의 혹한을 헤치며 운석을 찾았다. 이 운석들의 무게는 200~400g으로 보통 운석에 비해 비교적 ... ...
액션 게임으로 시각 인지력 쑥쑥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복잡한 문자 사이에서 T의 방향을 쉽고 빠르게 찾았다. 이 학생들은 게임 전보다 여러
개
의 문자 속에서 정확하게 특정 문자를 찾는 능력이 20% 상승했다.바벨리어 교수는 “복잡하고 빠른 화면으로 구성된 게임은 뇌에 시각적으로 많은 자극을 준다”며 “뇌는 시각정보 처리경로를 바꿔 자극에 ... ...
세포만한 초고밀도 메모리
개
발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교수는 “아주 작은 메모리 기판위에 실리콘 선 400
개
와 티타늄 선 400
개
가 교차하며 16만
개
의 정보저장공간을 만들어낸다”고 설명했다.실제 정보 저장공간의 크기는 15nm(나노미터, 1nm=10억분의 1m)에 불과하다 ... ...
사라진 빛을 나타나게 하는 원자 마술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고안했다.연구팀은 아주 차가운 나트륨 기체에 빛을 쐈다. 빛은 덩어리진 200만
개
의 나트륨 원자를 통과하며 시속 24km 정도로 느려졌다. 느려진 빛의 파동은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원자들에 옮겨져 ‘기록’됐다. 빛을 기록한 나트륨 원자 중 일부를 다른 기체 속에 넣고 레이저를 쬐었더니 원래 쐈던 ... ...
과학자들의 이상기후에 대한 경고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플래스틱의 보강재로 사용하여 FRP(유리섬유강화수지,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가
개
발되었다 이것은 플래스틱 내에서 철근의 역할을 하여 플래스틱을 강하게 만든다 그래서 항공기나 자동차, 배 등의 몸체나 탱크, 파이프, 건축자재 등 가벼우면서도 우수한 성질의 재료를 필요로 하는 ... ...
PART3 똑똑한 자동차의 비밀 베스트7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소식이다. 버튼 하나만 누르면 자동으로 주차하는 기능이 지난해 등장했다.도요타가
개
발한 ‘주차 보조’(Parking Assist) 시스템은 운전자가 후진기어로 바꾸고 평행주차 단추를 누르면 컴퓨터가 알아서 운전대를 움직여 주차시킨다. 운전자는 차에 앉아 속도만 조절하면 된다.BMW의 ‘리모트 파크 ... ...
별난 과학, 별난 이름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늘었고 국제 순수 및 응용화학연맹(IUPAC)의 심사를 기다리고 있는 원소까지 합치면 118
개
나 된다(2006년 9월 기준). 1번 수소부터 92번 우라늄까지는 자연에 실재하는 원소지만 나머지는 실험실에서 만든 인공 원소다.주기율표는 다국적 과학자들이 힘을 모아 만든 거대한 모자이크 그림이다. 원소의 ... ...
강원도 발 지진파 주말 저녁을 흔들다!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이후 세계적으로 지진을 예측하려는 연구가 활발했지만 대부분 실패로 끝났다”며 고
개
를 저었다. 전조현상이 나타나는 지진이 매우 드문데다, 지역과 규모를 예측한다 해도 변수가 너무 많아 정확히 언제 일어날지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지진이 서울 동부에서 발생했다면?저층건물이 더 위험해19 ... ...
새집증후군 피하는 법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SOS’를 받기도 했다. 환경부의 실내공기질관리법 시행에 대비해 당시 몇
개
건설사가 모여 자체적으로 6
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했는데, 측정결과가 서로 너무 다르게 나왔다. 허 박사는 건설사들에게 오염물질의 표준시료를 제공한 뒤 다시 측정하게 했고 이 결과를 토대로 각 ... ...
이전
977
978
979
980
981
982
983
984
9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