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반"(으)로 총 7,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단백질 구조예측 대회1등 '알파고' 후배 '알파폴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단백질 합성 공장 역할을 하는 리보솜이 각 코돈에 맞는 아미노산을 이어 붙인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단백질은 100~20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뤄진다. 100여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뤄진 미지의 단백질 구조 문제가 주어지면, 알파폴드는 자체 서버를 통해 단백질정보은행(PDB)에 등록된 템플릿과 문제 속 ... ...
- [나의 미국 유학일기] 스탠퍼드의 '인생 수업'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바로 스탠퍼드의 ‘또래 과외(Peer Tutoring)’ 제도 덕분이었다. 학교에서 나를 고용해, 일반화학과 유기화학 수업을 듣는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는 것이다. 화학, 물리, 수학 수업을 덜 들어도 됐기 때문에 나는 남는 시간에 다른 수업들을 수강할 수 있었다. 미술에 관심이 많아서 유화, 아크릴, ... ...
- [과학뉴스] GPS 없이 움직이는 ‘개미 로봇’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작열하는 사막에 서식하는 사막개미는 일반 개미처럼 페로몬을 이용해 길을 찾지 않는다. 편광 필터 기능을 가진 눈으로 자외선 편광을 활용해 방향을 결정하고 위치를 잡는다.프랑스국립과학연구센터(CNRS)와 엑스마르세이유대 등 공동연구팀은 자외선 편광에 민감한 광학나침반 기술로 사막개미의 ... ...
- [과학뉴스] 모기, 10m 떨어진 목소리도 듣는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150~500Hz의 주파수, 평균 31데시벨(dB) 크기의 소리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했다. 사람은 일반적으로 200~1000Hz, 45~70dB의 소리를 낸다.호이 교수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모기가 들을 수 있다는 뜻”이라며 “모기가 소리를 감지하는 데 쓰는 털을 민감도가 높은 지향성 마이크나 보청기 개발에 응용할 수 ... ...
- 그림자 공개 임박! 블랙홀 Black Hole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그림자를 촬영하기 시작했다. 4월, 마침내 그 결과가 공개된다. 블랙홀은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예측한 것과 같은 모습일까. ▼관련 기사를 더 보려면? Intro. 그림자 공개 임박, 블랙홀Part1. 우주의 특별한 공간, 블랙홀 Part2.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 프로젝트, 블랙홀의 그림자를 ...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있다. 또 한 가지 이유는 초대형 블랙홀 주변에서 싱크로트론 복사가 나오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로트론 복사는 전파 대역에서 압도적으로 밝게 관측되기 때문에, 블랙홀 주변을 관측하기에는 전파망원경이 적합하다. 4월 초, 사건의 지평선 영상 공개 EHT가 이 프로젝트의 적절한 ... ...
- [시사과학] 동물보호단체 케어, 개 수백 마리 안락사 시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지방자치단체가 관할하는 보호소는 293곳에 불과해요. 이 때문에 동물보호단체와 일반 시민이 사설보호소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지만 역부족이지요. 카라는 2015년 발간한 보고서에서 사설보호소 수를 150여 곳으로 추정했답니다. ● 법의 사각지대, 사설보호소 문제는 사설보호소가 법의 관리와 ... ...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라틴어 학명을 이용해 생물을 분류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동식물을 학명으로 부르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양이의 학명은 ‘Felis catus’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고양이’라고 부르고 미국에서는 ‘캣(cat)’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만약 새로운 종이 ... ...
- 20대 '신선한' 난자 얼리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목적으로 시행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해동 당시 전신의 상태와 자궁 상태 등을 고려하면 일반적인 체외수정 시술보다는 임신율이 저하될 것”이라고 설명했다.난자는 몇 개나 얼려야 할까. 임신 성공률은 냉동시킨 난자의 수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다다익선이라는 뜻이다. 이 교수는 ... ...
- 수학으로 흔들어봐! 매스댄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설명했다. 2017년, 매스 댄스계 끝판왕 등장!미국과학진흥협회(AAAS)는 2008년부터 매년 일반인들이 과학에 흥미를 느끼고 관심을 갖게 하기 위해 미국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당신의 박사학위 연구로 춤춰라’라는 대회를 연다. 자기 연구분야를 춤으로 표현하는 대회로, 매년 유튜브를 통해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