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비맨] 드론 한 마리 몰고가세요~!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드론의 움직임을 나타냅니다. 드론 속 센서가 가속도를 측정하면 내장된 시스템이 미분방정식으로 바람의 힘에 따라 그 힘을 받은 드론이 어떤 속도로 얼마나 이동할지 계산합니다. 그 정보를 이용해 드론이 갈 것으로 예상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줘서 드론을 제어하죠. 드론 ... ...
- 게임과 주사위로 말하는 '양자터널링'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파동의 높이, 즉 전자가 위치할 확률은 급격히 줄어듭니다. 하.지.만. 장벽의 두께가 충분히 얇다면, 그래서 파동이 다 사라지기 전에 장벽을 통과한다면?! 파동이 장벽을 넘어 계속 이어갈 수 있습니다. 이 말은 그림 상 왼쪽에서 전자를 쏜 뒤 위치를 측정했을 때, 전자 입자가 장벽 너머에 있을 수 ... ...
- [층간소음 줄이기 대작전] 층간소음 너무 괴로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등을 사용해 발생하는 공기전달 소음을 모두 포함해요. 단, 활동하는 시간(6시~22시)에는 1분간 측정한 평균 소음이 40dB 이상, 잠을 자는 시간(22시~6시)에는 35dB 이상인 경우에 ‘층간소음’으로 정의합니다 ... ...
- [수학기자의 책장] 필요한 수학 개념만 쏙쏙 골라 담았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여러분은 왜 수학 공부를 하나요? 시험을 잘 보고 싶어서? 좋은 학교에 진학하고 싶어서? 여러 가지 이유로 수학을 공부하지만 수학이 꼭 필요하기 때 ... 주변에 참 많다는 것을 깨달았답니다. 공부와 재미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고 싶은 분들이라면 한 번쯤 읽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 ...
- [KAIST 50년] 86학번-21학번 KAIST 캠퍼스 평행이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10시 반 수업을 신청했다. 기숙사가 교내에 있다 보니 9시 반 알람이면 충분하다. 10시 15분쯤 수업 준비물을 챙겨 OLEV(교내 셔틀 버스)를 타고 학과 건물로 가서 수업을 듣는다. 요즘은 전기회로 중 ‘필터’를 배우고 있다. 뇌 활동을 전기적으로 측정하는 뇌파검사(EEG) 같은 장치에 많이 적용된다. ... ...
- 2021 화성 탐사 카운트다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지난해 여름 아랍에미리트(UAE), 중국, 미국 세 국가가 화성 탐사선을 쏘아 올렸다. 이들은 6개월에 걸친 비행을 마치고 2월부터 순차적으로 화성에 도착할 예정이 ... 5번째 화성 탐사 로버에 도전하다[Infographic] 탐사 임무 전 마지막 관문 공포의 7분Part2. 아말과 톈원 1호, 화성 하늘을 ... ...
- 퍼시비어런스, 5번째 화성 탐사 로버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정밀하게 밝혀낸다. 큐리오시티가 드릴처럼 암석을 분쇄하기만 했다면, 퍼시비어런스는 분필 크기 정도로 암석 코어를 절단해 ‘캐시(Cache)’에 보관해 둘 예정이다. NASA는 이후 후속 화성 탐사 임무를 통해 이 코어를 회수할 예정이다.미래 화성에 인류가 살 수 있도록 돕는 장비도 포함돼 있다. ... ...
- 재생에너지 ‘루키’ 수상태양광...물 속 생태계는 괜찮을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우려도 나온다.더군다나 주변 환경도 합천호와 다르다. 바다와 인접해있어 그곳의 염분과 철새의 배설물로 인해 태양광 패널이 얼마나 빨리 부식될지 알지 못한다.이 부연구위원은 “우리 연구결과는 담수에서 작은 규모로 건설했을 때 환경에 문제가 없다는 뜻일 뿐 다른 환경에 지어졌거나 ... ...
- [통합과학 교과서] 실러캔스의 보은을 원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용왕님의 대선배입니다. 나이가 수억 살이나 많아서 용왕님도큰절을 올려야 하는 분이죠.” 꿀록 탐정이 상황을 설명해도 어부는 여전히 억울했어요. 그런데 그날 밤, 펑! 어부의 꿈속에 갑자기 실러캔스가 나타났어요.“그렇다면 나도 자네에게 구슬을 하나주겠네.”이 구슬은 들여다볼 때마다 ... ...
- 천문학계 노병, 우주에 잠들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허블우주망원경이 관측한 자료로 암흑물질도 찾고 있다. 암흑물질은 우주 전역에 분포하지만 빛을 흡수하거나 방출하지 않아 관측이 어렵다. 그래서 직접 관측하는 대신 암흑물질이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포착한다. 암흑물질의 중력은 주변 공간을 왜곡시키고, 이 때문에 근처를 통과하는 빛이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