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화장실] 어디에 앉아 볼까? 기상천외 달 화장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지난 6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달 화장실 챌린지’를 열었어. 2024년으로 예정된 달 탐사 미션에서 사용할 화장실의 아이디어를 공모받은 거야. 그리고 ... 않았고, 하나는 작동은 했지만 너무 크고 무거웠어요. 마지막 아이디어가 바로 지금의 원심분리 화장실이었는데 수상해 기뻐요 ... ...
- [과학뉴스] 달 남극에서 물 분자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연구팀은 ‘달 정찰 위성 카메라(LROC)’로 영구음영지대의 사진을 수천 장 찍어서 분석했어요. 그 결과, 영구음영지대의 총면적이 약 4만km2로, 기존에 추정한 면적(2만km2)보다 두 배 넓다는 사실을 확인했지요. 이를 통해 면적이 넓은 만큼 물의 양도 많을 것이라 추정할 수 있는 거예요.연구를 이끈 ... ...
- [통합교과맵] 어둠 속에서 박에 연결된 폭탄을 제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아내는 가슴을 쓸어내렸지요.“가짜 폭탄이었다니…! 상상도 못 했네요. 탐정님 덕분에 무사히 해결돼 다행이에요.”거듭 감사 인사를 마친 흥부와 아내는 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에게 작별 인사를 하고, 집으로 돌아갔어요. 폭탄 제거에 실패할까 내심 긴장했던 꿀록 탐정도 사무실로 돌아가 금세 ... ...
- [쇼킹 사이언스] 페루에서 길이 37m 그림 발견! 2000년 된 고양이라옹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이처럼 단순하게 만든 그림이 2000년 넘게 보존될 수 있었던 건 나스카 사막의 기후 덕분이에요. 차가운 남극 바다에서 오는 훔볼트 해류는 나스카 사막 지역의 기온을 낮춰요. 차가운 공기는 무거워서 위로 올라가지 않아 높은 비구름을 만들지 못하지요. 이런 탓에 나스카 사막은 1년에 고작 20분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방광(膀胱, bladder) , 네트워크(network)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안녕~! 과학마녀 일리야. 오랜만에 친구들이랑 등산을 갔는데 너무 힘이 드는 거야. 그래서 물을 좀 많이 마셨더니, 내려오는 길에 오줌이 마려워서 혼났어. 정말 방광이 터지 ... 우리 주변의 온갖 사물이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있답니다. IoT 또는 사물인터넷이라고 불리는 기술 덕분이죠 ... ...
- [한 장의 과학] 왜곡된 별빛을 찾아라! ‘나홀로 행성’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중력 렌즈 현상은 보통 수일에서 한 달 이상 지속돼요. 하지만 이번에 발견된 현상은 42분으로 지금까지 관측된 것 중 지속시간이 가장 짧았지요. 그만큼 나홀로 행성의 크기가 작다는 것을 의미해요. 연구팀은 이렇게 작은 나홀로 행성들을 연구하면 우리 태양계가 어떻게 형성됐고 진화했는지 ... ...
- 하루에 넌 몇 번 생각하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나타난다고 추론했지요.조던 포팽크 박사는 “생각이 얼마나 바뀌는지 알면 앞으로 뇌 분야에서 새로운 발견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한국뇌연구원 김구태 연구원은 “현대사회에서 많이 나타나는 심리적 장애가 불편한 생각을 통제하지 못하는 등의 이유가 많다”며 생각 연구의 ... ...
- [질문하면 답해ZOOM] 달에서 총을 쏘면 어떻게 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치석’이에요.치석이 생기는 과정은 침의 성분과 연관이 있어요. 침의 칼슘과 인 성분이 치태와 결합하여 돌처럼 단단히 굳은 덩어리가 돼요. 그래서 치석은 주로 침샘과 가까운 잇몸 쪽에 생기죠. 특히 혀 밑에 있는 점액성 침샘은 다른 침샘보다 더 끈적한 침을 만들기 때문에 아랫니 안쪽에 ... ...
- [술기로운 동물원 생활] 턱끈펭귄 │ 동물원 수의사가 남극에 간 까닭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얼마나 깊이 잠수하는지, 어느 지역에서 주로 활동하는지 등에 대해 알기 위해 계속 분석 하고 있답니다. ※필자소개김정호 수의사충북대학교에서 멸종위기종 삵의 마취와 보전에 관한 주제로 수의학박사를 받았다. 청주동물원과는 학생실습생으로 인연이 되어일을 시작했고, 현재는 ... ...
- [과학뉴스] 오시리스 - 렉스 탐사선, 소행성 ‘베누’와 하이파이브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평균 지름이 492m로, 거대한 바위로 이루어져 있어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2세기 말, 2700분의 1의 확률로 베누가 지구와 충돌할 수 있다고 발표했죠. 베누를 탐사하기 위해 NASA는 2016년 오시리스-렉스 탐사선을 발사했어요. 이 탐사선은 2018년 베누에 도착한 뒤, 상공에 머물며 여러 임무를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