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뉴스
"
큰
"(으)로 총 14,67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분 모아 채소 재배하는 자원순환식 화장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3
복잡한 처리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비료를 만들 수 있어 농업환경 개선 및 환경개선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 ‘지속가능 물관리 연구센터’는 친환경-자원순환형 화장실 ‘토리(土利)’를 개발하고, 이 화장실에서 생산된 비료로 재배한 채소를 수확하는 행사를 13일 노원구 ... ...
왜 깡말라야 미인인가요? 스웨덴 건강 미녀
팝뉴스
l
2017.11.13
아나 니스트롬. 스웨덴 스톡홀름에 거주하는 모델 겸 피트니스 전문가이다. 아나의 가장
큰
특징은 금발과 전형적 미녀의 외모. 그러나 몸이 아주 건강하다. 건강미의 전형이다. 아나의 팬 중에는 어릴 때부터 하체 비만 때문에 고민했다는 여성들이 많다. 무대 위의 모델들은 날씬하다. 영화 배우 ... ...
태양전지부터 LED, 연료전지까지… 다방면으로 진화하는 페로브스카이트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7.11.12
마찬가지다. 히로세 박사는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이 맨틀의 냉각이나 광물의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판 구조나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밖에도 막심 코발렌코 스위스 취리히공대 박사팀은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할로겐화 ... ...
중국발 핵 황사, 한국은 안전한가?
동아사이언스
l
2017.11.11
대응 단장을 했고 대구 지하철사고 현장에도 있었다”며 “재난이 발생했을 때 가장
큰
문제는 그 상황을 겪는 국민이 혼란 상태에 빠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왕 센터장은 이어 “관련 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국민에게 알리는 게 중요할 것”이라며 “전문인력과 관계자에 집중된 재난교육과 ... ...
[과학&기술의 최전선]“3,4년 뒤 100달러로 내 모든 DNA 한눈에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0
유전체 해독 장비 시장을 이끌고 있는 선두주자로 유전체 해독 비용을 낮추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짧은 시간 동안 여러 명의 유전체를 동시에 해독할 수 있는 차세대 염기 서열 해독(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장비를 제작한다. 2014년에 2주 만에 유전체 서열 해독을 할 수 있는 장비를 발표해 ... ...
크리스퍼 가위 교정 식품이 식탁으로 들어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0
필요 없이 이미 내부에 존재하는 유전자를 자르고 이어 붙여 새로운 형질을 만든다.
큰
토마토에서 단맛을 내지 못하게 만드는 유전자를 잘라내 단맛을 내도록 개량해 주는 것이다. 원하는 유전자를 직접 넣는 GM 기술보다 성공률은 낮지만, 외부 유전자가 삽입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기술에 대한 ... ...
"한국 에이즈 증가, 메르스 창궐 등 감염병 안전지대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0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받은 도움을 갚을 수 있는 좋은 소재다. 한국의 생명과학 발전에도
큰
기회가 될 것이다.” 6일 서울 관악구에 위치한 국제백신연구소(IVI)에서 만난 제롬 김 IVI 사무총장(사진)은 세계적으로 백신 연구개발이 부족해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죽어가고 있다며 한국과 같은 ... ...
임신부에게 관심 보이는 호랑이
팝뉴스
l
2017.11.09
영상 중 일부이다. 미국의 한 동물원에서 얼마전 촬영되었는데 6백만 회 이상 조회되면서
큰
화제가 되고 있다. 한 여성이 카메라를 들고 호랑이를 자신의 셀카에 담으려고 했다. 그런데 호랑이가 좀 이상하다. 호랑이라기보다는 고양이 혹은 강아지 같다. 몸을 비틀고 애교를 부리는 듯하다. 이 ... ...
아이에게 18년 된 과자 준 어른
팝뉴스
l
2017.11.09
1999년에 5월이 유통기한이었다. 기가 막힌 노릇이다. 과자를 먹은 남성은
큰
이상을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과자가 방부제 덩어리였던 것일까. 혹 아이가 먹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소름 끼치는 일이라고 말하는 네티즌들이 많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 ...
"출연연 특수성 인정한 연구목적기관 지정...법으로 명시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7.11.09
출연연을 별도의 기관으로 분류하자는 법이 발의되는 등 각종 토론이 이뤄졌지만
큰
진전이 없었다. 이에 과학계가 연구목적기관이란 새로운 분류군을 차선책으로 제시한 것이다. 신 의원은 “정부가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공공기관을 공기업 준정부기관, 기타공공기관 이외에 보다 ... ...
이전
967
968
969
970
971
972
973
974
9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