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자"(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결론에 도달할 수 없다. 혹시 어렵더라도 실망하지는 말자. 유의확률 개념은 과학 연구자들에게도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으로 소문이 나 있으니까.영가설 유의성 검정 절차는 지난 수십 년간 과학자들이 과학 이론 및 가설을 검증하는 수단으로 널리 활용돼 왔다. 대학에서 듣는 통계학 수업은 결국 ...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화학•생물학의 위대한 업적을 훑는다.‘모든 순간의 물리학’은 이탈리아의 양자중력 연구자인 카를로 로벨리가 이탈리아 일간지 ‘솔레 24 오레’의 부록에 시리즈로 발표한 기고문을 엮은 책이다. 상대성이론, 양자역학, 양자중력 등 20세기 물리학을 바꾼 거대한 혁명의 가장 매력적인 특징과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경험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같은 구조와 같은 데이터를 가지고 신경망을 설계하더라도, 연구자의 노하우에 따라 완전히 성능이 다른 모델이 탄생하기도 한다. 그만큼 구조를 총괄하는 인간의 역할이 중요하다.반면 심층 신경망의 모델이 된 인간의 뇌는 분기점에 새로운 신경망을 추가하거나 ... ...
- [Knowledge] 삶과 죽음이 함께 하는 공간 ‘시체농장’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진행할 수 있었다. 내가 다른 곳에 있었더라면 결코 할 수 없었을 연구다.시체농장은 연구자를 위한 실험실일 뿐 아니라 경찰이나 범죄 수사 요원들에게 중요한 훈련장이다. 매년 미연방수사국(FBI)이나 테네시수사국(TBI), 국립법과학협회(NFA) 등 각종 수사 기관은 수사 요원들을 시체농장에 파견해 ... ...
- [Tech & Fun] 누군가가 멀고 밉게 느껴진다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평범한 사람에 비해 구분적 사고를 더 잘한다. 이에 따라 흑백논리에 더쉽게 빠진다. 연구자들은 이것이 나를 소외시켰던 집단에서 다시 받아주지 않을지 살피고, 나에게 호의를 가지는 이들을 찾아 내 편을 확보하기 위함이라고 해석했다. 이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소외된 사람의 구분적인 ...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완성도가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다. 스타크래프트를 비롯한 RTS게임을 연구했던 연구자들도 오랫동안 이런 문제를 겪어왔다.돌파구가 열린 것은 2010년이다. 해커들이 스타크래프트 I의 인공지능을 손쉽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낸 것이다. 해킹 기술로 임의의 인공지능 코드를 삽입할 수 있는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예를 들면 밝기가 변하는 천체들의 정보 전체를 학습 가능한 자료로 설정하면, 컴퓨터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천체 현상만을 찾아내는 식이다. 데이터를 처리하고 서비스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구글도 참여하고 있다. LSST는 현재 ‘LSST 코퍼레이션’이라는 비영리 회사를 통해 운영되고 ... ...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H-모드는 난류는 낮고 에너지 감금시간은 긴 고성능 핵융합 플라스마다. 핵융합 연구자들은 H-모드가 만들어질 때 플라스마의 흐름이 대기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제트기류와 유사해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더불어 이런 플라스마의 흐름을 조절하면 난류의 크기와 그에 따른 에너지 감금시간을 ... ...
- [과학뉴스] #나는_연구_기생충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달고 NEJM에 반발하고 나섰다. 그들은 출판된 논문들이 이미 공공성을 띠고 있으며, 연구자가 매번 원작자와 협의를 하는 것은 연구의 효율을 저해한다고 주장했다 ...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보안유지에 신중을 기했다. 특히 공용프린터 사용을 자제하고, 협력단 회원이 아닌 연구자와의 대화에서 암구호를 정해 말을 하는 등 보안에 힘쓰기도 했다.우여곡절 끝에 2016년 2월 11일(미국 현지시간) 중력파 검출 성공 소식이 발표됐다. 중력파 검출을 위한 인류의 55년간의 고단한 여정은 이렇게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