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문"(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 1. 필즈상, 무엇이든 다~ 물어보세요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둘째가라면 서러울 정도예요. 저도 학부생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쉽게 쓴 교수님의 논문을 보고 제자가 되기로 마음먹었거든요. 전 지도 교수님과 친해지고 싶은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 박사과정생 이석형입니다. 박사과정 1년 차 때 교수님께서 필즈상을 받으시면서 갑자기 엄청나게 ... ...
- [Issue] 여름 바다에서 피해야 할 5대 세균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대구보건대 공동연구팀이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2016년 12월호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2015년 6월 부산 해운대 백사장에서 모래시료 100개를 채취해 균 배양검사를 진행한 결과, 21%에서 피부사상균 23종이 검출됐다.doi:10.15324/kjcls.2016.48.4.343 연구진은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의 백사장과 바다에서 ... ...
- [Culture] 영화 속 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처리를 거치지 않은 음성 데이터도 자연스럽게 변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5월 30일 논문 초고온라인 등록사이트인 ‘아카이브’에 공개했다.이 AI는 목소리를 64배 압축하는 과정에서 기존 목소리의 특징은 제거하고 알파벳이나 음소에 대한 특징만 남긴다. 가령 A의 목소리를 압축한 뒤, B의 ... ...
- [Interview] "박쥐 같은 학문 바이오피직스로 면역항암제 개발 길 열 것"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잘 나가는, 밑에서 치고 올라오는(?) 과학자들을 주로 팔로우 하고 있다. 그 친구들이 논문을 자랑하기도 하고, 그 분야의 최신 소식들도 전해준다. 또 학회에 가면 모든 세션을 다 재밌게 듣는다. 그렇게 누가 어떤 연구를 하는지 알아두면 필요한 일이 생겼을 때 곧바로 적임자에게 연락할 수 있다 ... ...
- Part 2. 우주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1966년, 호킹 박사는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빅뱅 우주론을 지지하는 박사학위 논문을 썼답니다. 호킹 박사에게 영감을 준 사람은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수학과 교수이자 세계적인 석학 ‘로저 펜로즈’예요. 호킹과 펜로즈는 우주가 계속 팽창을 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아이디어를 얻고 시간을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교내 R&E 활동, 어떻게 해야 할까?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등의 자료보다는, 다른 학생의 연구대회 보고서나 공공기관 홈페이지,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등 공신력이 있는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반드시 출처를 밝혀야 합니다. 자신을 드러낼 수 있는 최적의 방법물론 최근 입시에서는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되는 연구활동 내용을 연주 주제와 ... ...
- [시사과학 뉴스] 스티븐 호킹, 우주의 별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연이어 발표했어요. 그 중에서도 호킹 박사는 1966년, ‘빅뱅 이론’을 증명한 졸업 논문으로 주목 받기 시작했어요. 당시 ‘우주는 늘 같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변하지 않는다’는 ‘정상 우주론’이 우세했는데, 호킹 박사가 ‘우주는 한 점에서 폭발해 팽창한다’는 ‘빅뱅이론’을 수학적으로 ... ...
- 좁은 공간에서 큰 물건 돌리기 리버스 가케야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7호
- 하랄 보어가 이 문제의 답은 ‘예’라고 말했다고 적었습니다. 문제는 그 풀이가 적힌 논문을 아직 아무도 찾질 못했다는 겁니다. 과연 풀긴 푼 걸까요? 아니면 찾지 못한 걸까요? 그런데 최근 이 문제가 풀렸습니다. 한국과 슬로베니아, 독일의 다국적 연구팀이 2018년 6월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 ...
- Part 4. 연륜 NO인정? 뿔난 노인장의 역습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관련된 논문을 아카이브에 올렸다. 응용수학의 스타 스탠리 오셔도 있다. 올해 쓴 논문만 이미 12편이고, 74세였던 2년 전에는 우리나라 서울대학교 연구팀과 함께 딥러닝과 관련된 공동연구를 했다. 나이가 많으면 수학을 못 한다고? 하디의 발언에 어퍼컷을 날릴 수 있는 기회다. ▼관련기사를 ...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월 11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의 표지논문으로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지난 25년간 개구리를 비롯해 전 세계 양서류의 30%를 감염시켜 일부 종(種)은 지구상에서 자취를 감추게 만든 병균, ‘항아리곰팡이(Batrachochytrium dendrobatidis)’의 출처가 밝혀진 것이다. 그런데, 발원지는 바로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