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목
목재
재목
트리
묘목
목본
소리나무
d라이브러리
"
나무
"(으)로 총 3,42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실 끝에 클립을 연결하면 간이 클리노미터가 완성됩니다.마지막 관문은 클리노미터로 대
나무
의 키를 구하는 것입니다. 이번 관문을 통과하면 순조의 세자로 책봉됐던 문조의 초상화를 만날 수 있습니다.전주한옥마을 수학산책을 마치며많은 나라에서 화폐에 그 나라의 역사적인 인물을 넣습니다. ... ...
[쇼킹 사이언스] 얼음 호수 속에서 기체가 방울방울~!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마찬가지예요. 댐이 만들어지면서 풀과
나무
들이 호수 속에 갇혔고, 시간이 지나자 풀과
나무
들이 썩으며 메탄이 생긴 거예요.* 유기물 : 탄소로 이루어진 물질. 주로 생물체를 이루는 물질을 뜻한다.그런데 아브라함 호수는 다른 인공호수와 다른점이 있어요. 아브라함 호수가 북위 52° 근처에 ... ...
[가상인터뷰] 침팬지도 친구를 믿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사용할 수도 있답니다. 흰개미 굴에 나뭇가지를 넣어 낚시를 하거나, 돌을 이용해 딱딱한
나무
열매를 깨먹기도 하지요. 높은 곳에 있는 과일을 따기 위해 긴 막대기를 이용하거나 바닥에 상자를 쌓아 올리기도 해요.특히 단기기억력이 좋아서 숫자 순서 맞추기 퍼즐은 대학생보다 빨리 풀기도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質)’은 ‘바탕’을 뜻해요. 모탕은
나무
를 패거나 자를 때 받쳐놓는
나무
토막이에요.
나무
를 팰 때 꼭 필요한 물건이지요. 여기에 ‘재물’을 뜻하는 조개가 더해져 사람이 살아가는 데 기본이 된다는 의미가 되었어요. 따라서 ‘매질’은 물리적인 작용을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전달해 주는 물질을 ... ...
[Knowledge] 과학으로 밝힌 ‘슈퍼푸드’ 커피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사라진다고 지적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아예 카페인을 만들지 않는 ‘유전자조작 커피
나무
’를 만들려는 시도도 있지만 아직까지는 걸음마 단계다(커피는 실험실에서 조직 배양이 어렵기로 악명 높은 식물이다). 최근에 각광받는 유전자 가위 기술이 발전하면 언젠가는 맛있는 디카페인 커피를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달리 영양가가 높고 부드러워요. 특히 달콤하고 맛있는
나무
열매가 열리지요.하지만
나무
에서 내려와 직립보행을 택한 인류가 다른 영장류처럼 높은 곳의 열매를 따먹기는 어려웠을 거예요. 또 이런 열매는 초식공룡도 좋아할 가능성이 높아요. 결국 공룡이 먹고 남은 열매나 땅에 떨어진 열매가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생생한 새의 상태가 한눈에! 꾸룩새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수 있었나요?”“저희 집 뒷산에는 수리부엉이를 비롯해 맹금류들이 많이 살아요.
나무
밑을 보면 새의 펠릿을 종종 볼 수 있지요. 펠릿을 연구하면 어떤 새가 어떤 먹이를 먹는지 알 수 있어요. 그래서 전 펠릿을 해체해 나온 뼈들을 다시 하나하나 맞춰 봤어요. 여기 전시된 소형 포유류 골격 표본이 ... ...
[비주얼 과학교과서]드디어 기숙사 입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바위가 부서져 1cm 두께의 흙으로 만들어지기까지 약 200년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해요. 큰
나무
가 자라는 산이나 숲 속의 흙은 수백만 년의 세월에 걸쳐 만들어진 소중한 존재지요. 그런데 최근 흙이 무분별한 개발이나 홍수 등으로 인해 사라지고 있어요. 과학자들은 소중한 흙이 재해로 인해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단청 퍼즐 속 수학 찾기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장식용으로만 이용되지 않고 기능적인 용도로도 쓰이는데, 목조건물에서 비바람에
나무
가 썩지 않도록 보호해준다.심미성과 기능성을 모두 갖춘 단청의 기하학적인 무늬에서 수학적 규칙도 찾을 수 있다. 바로 ‘평면의 대칭군’이다. 평면의 대칭군은 2차원 평면을 채우는 반복적인 무늬에 따라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십만 가지가 넘는 공명쇄를 만들 수 있다고 알려졌는데, 모두 못이나 접착제를 쓰지 않고
나무
조각을 연결합니다.네 번째 관문은 공명쇄의 구조와 공명쇄를 조립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공포가 어떻게 연결됐는지 배울 수 있습니다. 이번 관문을 통과하면 조선의 제 2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