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부
일체
전체
총체
첫머리
모든
온갖
d라이브러리
"
모두
"(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③ 산업폐기물재활용기술 개발사업단장 이강인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개발사업단2000년 7월 창단된 이 연구단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각종 산업폐기물을
모두
자원으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1세기에는 산업 발달과 함께 산업쓰레기가 늘어날 것이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쓰레기를 단순하게 매립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고 있다. 일본만 ... ...
대입 면접고사 가이드 2002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정도밖에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요약달은 중력이 약해서 대기를 간직하지 못하고
모두
날려보냈으며, 따라서 대기가 없다. 대기가 없다 보니①유성(별똥별)이 생기지 않고 ②낮에도 하늘은 시커멓고 별이 보이며 ③별이 반짝거리는 현상이 없다. ④풍화∙침식이 없어 일단 생긴 운석 ... ...
신의 선물에 만족하지 않은 인공효소 개척자 서정헌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한마디로 인간의 생명현상을 유지시켜주는 단백질이다. 세포 속에서 일어나는 일은
모두
화학적인 현상이다. 이런 화학적인 반응들이 시험관 안에서 일어나면 무척 느리다. 그런데 생체 안에서는 시험관에서 보다 10억배 또는 1조배 정도 가속화돼 일어난다. 바로 효소가 있기 때문이다. “효소가 ... ...
적외선 투시카메라보다 월등한 뱀의 시력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수천개가 모여서 이루어진 눈이다. 개개의 홑눈은 각막과 수정체에서 망막세포까지
모두
갖추고 있다. 그러나 그 시력은 지독히 근시다. 결국 곤충이 겹눈으로 바라보는 세상은 모자이크 같이 엉성한 세상이다.곤충의 눈이 물체의 모양을 감지하는데 서투르다고 해도, 그들 나름의 장점을 가지고 ... ...
탁월한 리더십 발휘한 과학자 베스트5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발돋움했다.리더십 발휘할 기회 없었던 알버트 아인슈타인 1879 - 1955훌륭한 과학자라고
모두
리더십을 가진 것은 아니다. 알버트 아인슈타인(1879-1955)이 20세기 최고의 과학자라는데 반대하는 사람은 별로 없지만, 그가 리더십을 가진 훌륭한 과학지도자였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드물다. 전세계의 모든 ... ...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아기예수의 탄생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안에 존재한다면 시선거리가 간단히 구해지지만,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는 그런 걸
모두
생략했다. 다만 그림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멀고 가까운 위치에 따라 신장과 체구가 조금씩 달라 보이는 크기 비례를 감안한다면 시선거리를 어렴풋이 짐작할 수는 있다. 여기서는 보는 이의 시점이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하지만 이전의 화학약품 합성의 경로를 거치면 약품 속에는 2종류의 광학이성질체가
모두
만들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수율이 떨어지고 분리가 어렵다. 지금껏 먹어온 진통제인 이부 프로펜도 반은 전혀 효능이 없는 것이다. 그나마 이 경우는 활성이 없기 때문에 다행이다. 어떤 경우에는 쓰이지 ... ...
동물피를 수혈받은 환자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15세기 후반에 죽음을 코앞에 둔 교황이 세명의 소년 피를 마셨으나 효과는 없었고
모두
죽었다고 한다.1604년 독일의 마구누스 베게레우스는 비록 학문적인 뒷받침을 없었지만 "피는 마시기보다 수혈해야 더 좋은 효과를 가진다"라는 바른 주장을 했다. 1628년 영국의 윌리엄 하비가 혈액이 인체를 ... ...
농구 막슛 65% 성공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큰 54°인 경우 투사속력은 초속 7.22m가 필요하지만, 52°-56°사이의 투사각도로 던진 슛은
모두
성공된다. 이들 세경우를 비교해보면 최소력 슛의 장점을 명백히 알 수 있다. 최소력 슛이 성공하는 유일한 궤도는 아니지만 직선형이나 투사각이 비교적 큰 경우보다 성공률이 더 높다.에드워즈의 막슛이 ... ...
PART 3. 스타워스의 공간이동 가능성 연 나노소자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개발되면 현재의 고집적 회로 내의 트랜지스터 소형화에 따른 기술적, 경제적 문제가
모두
해결될 것이라는 낙관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새로운 연결 방법이나 작동 논리가 개발되지 않는다면, 나노소자의 효용성은 없을 것이다.나노소자가 아주 작아지면 소자들 사이를 ... ...
이전
965
966
967
968
969
970
971
972
9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