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비쿼터스 세상 앞당기는 증강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연구실(U-VR)이 정통부 프론티어 사업인 유비쿼터스 컴퓨팅 과제의 지원을 받아
개
발한 ‘CAMAR카피어’는 맥락인지형 모바일 증강현실 기기의 대표적인 예다. 사진기에 붙여 사용하는 CAMAR카피어는 사진을 찍을 당시의 시간이나 장소 같은 정보를 GPS를 통해 얻어 자동으로 함께 기록할 뿐만 아니라 ... ...
예비우주인과 팀워크가 중요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자동화시스템 전문가로 역시 이번이 첫 비행이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 최기혁 우주인
개
발단장은 “탑승팀 훈련에 참여한 우주인 3명 중 어느 한 사람이라도 문제가 생기면 예비팀으로 한꺼번에 교체된다”며 “고 씨와 이 씨 모두가 최선을 다 해 주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 ...
여인의 초상 제 7화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훔치고 래빗에게 물었다.“‘천국과 지옥’보다 더 좋은 제목이 떠올랐어요?”래빗이 고
개
를 저으며 답했다.“아니에요. 아니에요. 참 잘 그렸어요. 참 좋은 제목이에요. 천국도 있고 지옥도 있고 우리는 모두 천국에도 머물고 지옥에도 머물죠. 참 잘 그렸어요.”래빗이 갑자기 나를 꼭 끌어안았다. ... ...
하늘의 불꽃놀이, 땅위의 루체비스타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가을 밤은 알록달록하다. 밤하늘을 수놓는 불꽃놀이와, 거리를 장식하는 루체비스타가 즐거움을 선사한다. 8만발이 넘는 화약이 터지며 빛, 소리, 모양 3박자가 하모니를 이룬다. 전구 수십만
개
가 빛을 발하며 색과 모양의 화음을 맞춘다. 가을밤에 연주되는 빛의 오케스트라를 즐겨보자. ...
'트위스트' 춤추는 59층 빌딩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설계한 이탈리아 건축가 다비드 피셔 씨는 “두바이에 부는 바람을 고려할 때 풍차 8
개
만으로 빌딩 전체의 전력을 마련할 수 있다”며 “남는 전력은 주변의 빌딩에 공급될 예정”이라고 말했다.시공 방법도 독특하다. 현장에서 건물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공장에서 건물 조각을 만든 다음 마치 ... ...
무인비행기 '제퍼'(Zephyr) 최장시간 비행기록 달성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바이러스의 총칭 인체에서는 33가지 이상의 유형이 분리된다1953년 W P 로 등이 사람의 구
개
편도(口蓋扁桃)나 아데노이드의 조직배양에 의해 처음으로 분리했다 핵 속에서 증식하고 DNA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호흡기 · 눈 · 소화기 등에서 볼 수 있는 아데노바이러스의 감염으로 일어나는 ... ...
모든 병은 '페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좀 더 확실하게 차단하는 페트병도 나왔다. 2003년 효성은 국내 최초로 다층 페트병을
개
발해 1.6리터 하이트 맥주병으로 공급하고 있다. 겉모습만 보면 일반 페트병과 차이가 없지만 잘라보면 세층으로 분리된다. 안팎 두 층은 페트이고 사이에 기체 차단성이 높은 특수 합성수지 필름이 놓여있다 ... ...
PART3 '뚝딱뚝딱' 인공위성 DIY시대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캔샛은 인공위성
개
발에 필요한 거의 모든 기술을 배울 수 있는 훌륭한 도구”라며 “
개
발 경험이 축적되면 국제대회에도 출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인공위성 초미니시대 PART1 똑똑한 소형위성이 몰려온다 PART2 한국발 스푸트니크 쇼크는 계속된다 PART3 '뚝딱뚝딱' ... ...
PART1 백신이 여는 질병 치료 르네상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있다.실제로 시장정보기관인 미국 글로벌 인더스트리 애널리스츠사는 지난 7월 공
개
한 ‘휴먼 백신: 글로벌 사업전략 보고서’에서 만성질병 치료백신 시장 규모는 2010년 33억 달러(약 3조 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예방용 백신 분야가 2007년 116억 달러의 시장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측한 ... ...
시력 9.0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있는 먹잇감의 생사 여부를 알 수 있을 정도로 시력이 좋다. 새의 시력이 좋은 까닭은 두
개
골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안구가 크고, 추상세포의 밀도가 사람의 5배 정도로 높으며 시각정보를 처리하는 메커니즘이 단순하기 때문이다.특히 추상세포 속에 있는 여러 빛깔의 기름방울은 색을 보정하는 필터 ... ...
이전
958
959
960
961
962
963
964
965
9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