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달
송신
보냄
전송사진
사진
전송순위
순위
뉴스
"
전송
"(으)로 총 1,088건 검색되었습니다.
55cm 물체도 식별… 적외선 탐지기능 갖춘 ‘한국의 눈’ 우주 올랐다
2015.03.27
최종 확정했다. 최해진 항우연 위성정보활용센터장은 “인공위성의 자세 정보 등을
전송
받고 모든 기능이 정상이라는 사실을 최종 확인했다”며 “앞으로 6개월가량 위성의 궤도를 정밀하게 조정하는 과정을 거친 후 실제 운영에 들어가게 된다”고 말했다. 아리랑3A호는 지름 2m, 높이 3.8m, ... ...
광자 한꺼번에 ‘순간이동’ 성공
2015.03.17
순간이동이란 양자정보를 한 곳에서 사라지게 한 뒤 다른 곳에서 나타나게 할 수 있는
전송
방법으로 양자컴퓨터와 양자통신 기술에 활용할 수 있다. 양자 순간이동은 ‘양자얽힘’이라는 양자역학적으로만 설명할 수 있는 특수한 상관관계를 이용한다. 이전까지 광자 한 쌍이나, 분자 한 쌍을 양자 ... ...
4D 프린팅이란? “물체가 스스로 조립된다는 점에서 3D 프린팅보다 한 단계 진화”
동아닷컴
l
2015.03.16
설계도와 프린터만 있으면 어디서든 원하는 물체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물체의 원격
전송
을 가능하게 할 미래기술로 꼽히고 있다. 또 3D 프린팅은 출력할 수 있는 물체의 크기에 한계가 있는 반면, 4D 프린팅은 출력 뒤에 조립되기 때문에 큰 물체도 얼마든지 만들 수 있다. 한편, 이 소식을 접한 ... ...
바퀴벌레도 성격이 있다? 실험해보니…
동아닷컴
l
2015.03.12
각각의 몸에 부착된 소형 칩과 카메라를 통해 모두 녹화됐다. 연구팀은 칩에서 컴퓨터로
전송
된 내용을 보며 바퀴벌레가 밝은 빛에 대담하게 나서는지, 어두운 곳에 가 몸을 숨기는지 등의 행동을 관찰했다. ULB에서 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연구팀 수석 연구원 이삭 플라나스(Issac Planas)는 다리 6개를 ... ...
유·무선 인터넷 더 안전하게 사용한다
2015.03.11
서버의 주소를 가상 주소로 매번 바꿔 주는 방식을 이용해 보안성을 높인다. 또 데이터를
전송
할 때 끊어서 보내거나 특정한 경로를 통해서만 전달하게 만드는 방식도 적용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이용하면 스마트폰 인터넷 사용에서 발생하는 보안 문제도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 ... ...
왜소행성 ‘세레스’ 오늘 밤 인류 첫 탐사
2015.03.06
도중인 2011년 소행성 베스타(Vesta)에 들러 13개월간 임무를 수행하며 사진 3만 장을 지구로
전송
한 화려한 탐사 경력을 갖고 있어 세레스 탐사도 무난히 성공할 것으로 보인다. 돈은 12월 세레스 상공 375km까지 접근하는 등 앞으로 16개월 동안 본격적인 탐사 활동을 벌인다. 한편 올해 7월에는 탐사선 ... ...
갤럭시s6 탁자에서 충전?… 앞으론 자동충전 세상온다
2015.03.05
발전에도 이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전력의 상당 부분이
전송
되는 도중 사방으로 사라져 효율이 낮고 인체에 해롭다는 단점이 있다. ... ...
‘아이 콘택트’하며 화상통화 가능해졌다
2015.03.04
현재 시제품 수준으로 초당 2장 정도의 사진을
전송
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의
전송
효율을 보완해 초당 30장 수준까지 발전시키면 2년 이내 상용화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 맞춰 개발을 마치고 ‘스마트 월(Smart-Wall)’이라는 이름으로 전 세계인에 선보일 예정이다. ... ...
휴대용 초음파 검사기 가능해진다
2015.03.02
송·수신하면 고감도 마이크나 엠프 같은 음향 증폭장치 없이 즉시 소리를 녹음한 뒤
전송
할 수 있다. 작은 장치로 훨씬 깨끗한 음파를 수집할 수 있게 된 것으로 음파를 이용한 각종 계측기의 성능을 큰 폭으로 끌어 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송경준 연구원은 “기존 음향기기의 소리 크기의 한계를 ...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2015.02.22
빨간색과 파란색이 1/2의 확률로 나오는 걸까? 양자역학의 ‘얽힘’을 이용한 양자
전송
- 네이처 물리학 제공 이건 말도 안 된다. 지구에서 파란 알약이 나왔는데 4년 뒤에 알파 센타우리의 결과가 파란 색이라면 우주가 모순을 일으키는 셈 아닌가? 양자역학적 상호관계는 빛의 속도보다 빨리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