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달
송신
보냄
전송사진
사진
전송순위
순위
뉴스
"
전송
"(으)로 총 1,061건 검색되었습니다.
망상과 이상 행동 부르는 조현병 조기 진단 가능성 찾아
2015.05.17
뇌의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보내는 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정보
전송
통로는 경로가 비효율적으로 재구성되기도 했다. 연구진은 이 같은 변화가 뇌의 정보중심에 영향을 미쳐 뇌의 정보처리 기능을 정신분열병과 비슷한 방식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추정했다. 존스 교수는 ... ...
도심형 싱크홀, 인공위성으로 잡는다
2015.05.15
발생하기 쉬운 곳을 예측할 수 있다”면서 “현재 아리랑 5호가 28일 주기로 데이터를
전송
하는 만큼 발사 후 3년 정도 지나면 싱크홀 예측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공위성 관측과 함께 현장에서는 싱크홀을 직접 찾아다니며 조사하는 탐사도 병행한다. 대표적으로는 ... ...
라돈가스 측정하고 땅속 미세전파 측정도…지진 예보 가능할까
2015.05.15
설치된 지진연구센터 종합상황실. 전국에 설치된 지진계가 관측한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전송
된다.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12일 네팔에 리히터 규모 7.3의 강진이 발생했다. 지난달 25일 리히터 규모 7.8의 강진이 몰아친 지 17일 만이다. 지진 전문가들은 초강력 지진 뒤에는 99% 이상 여진이 ... ...
초기 단계지만… “당신이 어느 매장으로 갈지 다 알아요”
동아일보
l
2015.05.11
근거해 구매 예상일 일주일 전부터 앱이나 이메일, 문자메시지 등으로 생수 할인 광고를
전송
한다. 만약 고객이 앱이나 사이트에 접속해 생수를 살펴보기만 하고 사지 않았다면 ‘망설였다’고 판단해 가격이 더 싼 제품을 골라 추천하는 광고 메시지를 또 한번 보낸다. 이처럼 고객의 소비성향이 ... ...
냉장고가 저절로 걸어오는, 2035년 미래 전망
2015.05.08
손짓으로 작동 가전기기의 모습도 크게 달라진다. 무선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무선전력
전송
기술이 보편화되면서 거미줄처럼 복잡한 전선이 모두 사라진다. 따라서 가전기기를 반드시 한 자리에 둘 이유도 없어진다. 침대에서 호출만 하면 냉장고나 TV에 달린 바퀴가 굴러와 앞에 멈춘다. 거실에 ... ...
원격 검침 운영체제(OS) 인도에 수출
2015.04.30
95% 이상이 안정적으로
전송
되는 현상을 확인했다.
전송
에 실패한 데이터는 다시
전송
됐다. 임채덕 ETRI 임베디드SW연구부장은 “나노큐플러스는 기본적으로 사물인터넷 장치를 작동시키는 OS인 만큼 원격 가스 검침뿐 아니라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면서 “향후 농어촌과 지하, 상가지역 등 ... ...
“철제 솥 찾아라” 명령 받은 크랩스터, 2시간 만에 임무 완수
동아일보
l
2015.04.30
시작했다. 수심 5m의 바닥에 닿자 초음파 카메라로 찍은 영상이 제어실 모니터로 실시간
전송
됐다. 물살이 거센 이 지역엔 부유물이 많아 광학카메라의 시계는 0에 가까웠지만 초음파 카메라는 전방 15m의 물체도 비교적 생생하게 보여줬다. 정용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해저로봇은 ... ...
남달랐던 티벳 고원의 형성 과정
2015.04.26
공로는 셀 수 없을 만큼 많다. 지금까지 100만 장 이상의 사진을 찍어 지구로
전송
했고, 1만2800건이 넘는 논문에 자료를 제공했다. 특히 누구나 아름다운 천체사진을 감상할 수 있게 해 주면서 우주를 대중화 시켰다. 이쯤 되면 ‘공로상’을 받을 법한 업적이다. 사이언스는 그간의 허블 ... ...
스마트폰 ‘요금폭탄’ 막는 기술 개발됐다
2015.04.20
변경할 통신 환경이 완전히 구축될때 까지 기존 통신망을 그대로 유지해 끊김없는
전송
이 가능하다. 이런 네트워크 단절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이동통신망 보다 와이파이를 최대한 많이 사용하게 만드는 네트워크 플랫폼 기술을 개발했다. 다운로드 속도나 시간을 지정해 주면 잔여 시간과 ... ...
‘치맥 했구나?’ 식단 감시하는 목걸이 탄생
과학동아
l
2015.04.13
음식을 삼킬 때 목과 가슴 부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해 데이터를 스마트폰에
전송
한다. 스마트폰은 이 데이터를 분석해 음식물의 종류와 양을 알아맞춘다. 정확도는 80~90%로 높은 편이다. 특히 고체와 액체는 87%, 뜨거운 음료와 상온의 음료를 90% 정확도로 구분할 수 있다. 연구팀은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