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상
추측
가상
몽상
구상
팬시
허구
뉴스
"
상상
"(으)로 총 2,140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페이스X, 민간 최초 유인우주선 발사 성공…3일 저녁 ISS도킹 시도
2019.03.03
요금을 책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에서 개발 중인 대형 발사체 SLS 블록1의 발사
상상
도. 사진 제공 NASA NASA가 별도로 진행하고 있는 대형 우주발사체 임무인 ‘SLS’는 여전히 개발이 진행중이다. SLS는 길이가 현재 활약하는 대부분의 현역 발사체 길이(약 40~70m)를 약 두 배 훌쩍 뛰어 넘는 111m ... ...
캐나다, NASA 달 궤도 우주정거장에 참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3
NASA)이 주도하는 달 저궤도 우주정거장 '루나 게이트웨이'
상상
도. 사진제공 NASA 캐나다가 미국이 주도하는 달 저궤도 우주정거장 프로젝트인 ‘루나 게이트웨이’에 참여하기로 했다. 미국 외 국가가 게이트웨이에 참여 계획을 공식적으로 밝힌 것은 캐나다가 처음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즉각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프로선수들이 긴장과 불안을 다스리는 법
2019.03.02
준비했어야 했다던가 ‘너가 하는 일이 항상 그렇지 뭐’ 등 자책이 심한 편이었다. 또한
상상
가능한 최악의 상황을 떠올리며 가뜩이나 심한 불안을 더 심화시키는 편이었다. 예컨데 똑같이 패배하는 상황을 떠올리더라도 패배는 패배일뿐 다음에 잘 하면 된다고 생각하기보다 패배는 나 자신이 ... ...
[과학게시판] '최고산업전략과정(AIP) 30주년 기념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3월 1일부터 매주 주말 오후 3시 경기 국립과천과학관 중앙홀 2층 과학카페에서 ‘
상상
톡톡’ 강연을 운영한다고 25일 밝혔다. 강연 주제는 과학관에서 개최하는 특별전, 진로 탐색, 사회 이슈 등 다양하게 구성되며 1시간 동안 진행된다. ■국가핵융합연구소는 ‘2019 플라즈마 파밍 동계 워크숍’을 2 ... ...
경남 진주에서 피부 자국까지 완벽한 공룡 발자국 화석 세계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2.19
복원
상상
도. 몸길이 30cm 미만으로 닭보다 작다. Zifeng Wang 제공 경남 진주에서 피부 자국까지 완벽하게 보존된 공룡 발자국 피부 자국 화석이 세계 최초로 발견됐다. 공룡의 발바닥 피부가 생생하게 밝혀진 것은 물론, 공룡이 걸을 때 피부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밝히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 ...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
2019.02.16
반지름이 약 9000만km에 이르는 거대한 고리를 갖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림은 J1407b
상상
도다. Ron Miller 2013년 관측 결과는 2011년보다 H3+방출선의 명암 대비가 더 컸다. 계절이 바뀌고 있어서였다. 토성의 공전궤도면에 대한 자전축의 기울기는 약 27도다. 따라서 계절에 따라 고리는 거의 보이지 ... ...
[주말N수학] 삼각형으로 둘러싸인 n차원 구 문제
2019.02.16
인터넷에 올린 카림 아디프라지토 교수. Pål Grønås Drange / Eurocomb 2015 이제 4차원 공간을
상상
해 봅시다. 4차원 공간의 ‘구’ 역시 한 점에서 같은 거리 떨어진 점들로 이뤄집니다. 이 구를 잘 움직이고 구부리고 나눠 다면체로 만들어봅시다. 이때 모든 ‘조각’을 가장 ‘단순한’ 형태로만 ... ...
"우주에서 전기 만들자" 우주 태양광 연구에 세계가 뛰어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5
우주 태양광발전 위성 계획안을 공개했다. 사진은 한국형 우주 태양광발전 위성의
상상
도. 항우연 제공 다만 우주에서 생산된 전기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지상으로 전송하느냐는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다. 수십m 떨어진 곳으로 전력을 전송하고 수 t 무게의 위성을 제작하는 것은 지금도 할 수 있다. ... ...
'인공태양에 한걸음 더'…KSTAR, 첫 이온온도 1억도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온도 약 1500만℃ 조건에서 플라즈마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태양 자체의 큰 질량과
상상
을 초월하는 중력이 플라즈마를 촘촘한 밀도로 가두기 때문이다. 그러나 태양 질량의 0.0003%에 불과한 지구에서는 불가능하다. 플라즈마의 밀도와 온도를 곱한 값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야 핵융합 ... ...
우주쓰레기 해결에 힘 보탠다…과기정통부, COPUOS 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궤도를 돌고 있는 우주쓰레기의
상상
도. 위키미디어 정부가 우주쓰레기 등 전지구적인 우주문제 논의에 참여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월 11일부터 22일까지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리는 제56차 유엔 산하 ‘외기권 평화적 이용을 위한 위원회(Committee On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이하 COPUOS)’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