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상
추측
가상
몽상
구상
팬시
허구
뉴스
"
상상
"(으)로 총 2,140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 첫 관측]인간이
상상
한 각양각색의 블랙홀 모습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아니지만 이번 첫 관측 영상이 공개되기 전까지 과학자들도 과학적 근거에 기반해
상상
력을 동원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1964년 발견된 블랙홀 백조자리 X-1를 한가운데 검은색 구멍을 가진 붉은 원반으로 표현했다. 백조자리 X-1은 태양에서 약 6100광년 거리에 있다. 백조자리 X-1 옆에는 HDE 22686 ... ...
”인류는 처음 블랙홀의 모습을 보고 있다”(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등에 등장하는 블랙홀 그림은 모두 이론 계산을 바탕으로 그린
상상
도였다. 비록
상상
이었지만, 이번 관측으로 그 중 일부는 꽤 정확하게 블랙홀의 특징을 예견하고 있었음이 확인됐다. 폴 호 EHT 이사는 “이번에 관측된 특징 증 상당수는 기존에 이론적으로 이해하고 있던 것과 상당히 잘 ... ...
[블랙홀 첫 관측]우주의 검은 구멍 찾아 한 세기, 주목할 도전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것은 아니었다. 두 블랙홀이 병합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중력파가 퍼져나가는 모습의
상상
도.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2015년에는 두 개의 블랙홀이 합쳐지면서 방출되는 ‘중력파’의 존재가 처음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미국 라이고(LIGO)가 세계 최초로 중력파를 검출해내는 데 성공했다. ... ...
[블랙홀 첫 관측]실루엣 드러낸 ‘블랙홀’ 우주 진화 설명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수 있게 된다. 두 블랙홀이 병합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중력파가 퍼져나가는 모습의
상상
도.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특히 이번 관측은 2015년 처음으로 검출돼 2016년 공식 발표된 중력파와 함께 우주의 수수께끼를 풀어줄 또다른 열쇠가 될 전망이다. 사건지평선이 단일 블랙홀의 크기를 알아내는 ... ...
[블랙홀 첫 관측] 천재물리학자의 방정식부터 중력파까지104년史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내리게 됐다. 표면에서 나온 빛이 탈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오늘날 우리가 그림으로
상상
하는 암흑에 휩싸인 존재로서의 블랙홀의 모습이다. 슈바르츠실트 반지름은 별이 그 크기 이하로 수축하면 블랙홀(슈바르츠실트 블랙홀)이 되는 반지름을 말한다. 이 반지름의 경계면은 오늘날 ... ...
인류가 최초로 관측한 블랙홀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거대한 타원은하인 '처녀자리A(메시에 87)'의 중심부에 자리한 초대질량블랙홀의 모습을
상상
했다. 태양 질량의 65억 배 크기로 추정되는 블랙홀 주변에 거대한 물질 원반이 형성돼 있다. 이번에 관측한 EHT 프로젝트의 영상은 이 이미지 한가운데에 위치한 핵심 부분의 영상을 구체적으로 밝힌 것이다. ... ...
'인터스텔라 속 블랙홀은 얼마나 사실적일까' 관측결과 오늘밤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9
거대한 타원은하인 '처녀자리A(메시에 87)'의 중심부에 자리한 거대질량블랙홀의 모습을
상상
해다. 태양 질량의 70억 배 크기로 추정되는 이 블랙홀의 모습이 이번 EHT 프로젝트를 통해 공개될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제공 NASA EHT가 이번에 발표하는 결과는 최초로 사건의 지평선을 관측한 모습일 ... ...
[이정아의 미래병원]스마트병원이 진짜 똑똑해지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19.04.09
등장했듯이 스마트병원도 디지털병원 수준에서 한 단계씩 발전해 언젠가는 SF에서
상상
한 것과 비슷한 수준으로 탄생할 것이다. '청진기'가 점차 사라지더라도 환자의 마음을 잘 헤아리는 따뜻한 스마트병원이 등장할 날을 기대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백내장과 녹내장은 왜 생기는 걸까
2019.04.09
우리나라에서는 2009년 출시됐으므로 고작 10년이 지났지만 이제 스마트폰 없는 일상은
상상
할 수도 없다. 그런데 이번에는 신문에 시력 손상을 걱정하는 기사가 단골이 됐다. 하나를 얻으면 하나를 잃는 법인가 보다. 청각과 시각 모두 소중하지만 아무래도 시력을 잃는 게 더 두렵다. 몸이 100 ... ...
안드로메다의 자세한 모습을 사진에 담다…제27회 천체사진공모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제공 이상일 씨의 ‘느티나무의 꿈’은 생택쥐페리의 어린왕자 속에 나오는 풍경을
상상
하며 충북 보은에서 보이는 은하수를 사진에 담았다. 느티나무가 동화 속 바오밥나무가 됐다. 사진 부문-태양계 분야 조현웅 씨의 'Fly me to the Moon'. 천문연 제공 사진 부문 태양계 분야 금∙은∙동상에는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