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정
해소
해법
해명
해답
정해
결말
d라이브러리
"
해결
"(으)로 총 6,87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순찰대원 고딱지와 함께 하는 독서활동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2호
☞본책54쪽과 함께 보세요! 바로가기 페가수스 호 선장님이 날 외면하다니! 내 모습이 우스꽝스럽고 품위가 없다고…? 흑, 주사위는 왜 콧속에서 나오는 거야. 몸에 힘이 들어가지 않아. 너희가 나를 대신해 미션을
해결
해줘! ...
[기획] 그래프, 확률, 벡터까지 더해 램지 수 범위 좁혔다!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것을 배우길 바라요. 다른 분야의 아이디어가 여러분이 관심을 가지는 분야의 문제를
해결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답니다! 용어정리* 내적 : 벡터를 연산하는 방식 중 하나. 두 벡터의 성분에 대응하는 좌푯값을 곱해서 모두 더한다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만들었다. ‘재난’ ‘참사’ ‘변화’ ‘위기’와 같이 인류가 처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을 꾸준히 모색하고 있다.대학원이 앞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할 부분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해 김 교수는 “지금까지 ‘살 만한’ 나라를 만드는 데 기여했다면 앞으로는 ‘살고 싶은’ 나라를 ... ...
[진로체험] 다가오는 자율주행차 시대 수학이 필수!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배울 수 있는 기술이나 알고리듬은 많아요. 하지만 그것을 아는 것과 이해해서 문제
해결
에 적용하는 것은 매우 다릅니다. 그래서 ‘왜?’라는 질문을 계속해서 던지고 깊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요. ‘이건 왜 그럴까?’라는 생각을 반복해서 한다면 SW 분야에 진출해 습득한 것들을 원하는 분야에 ... ...
탐험은 계속된다! 2020 탐험 페스티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연구원님까지 1년간 함께한 멘토들의 이야기는 탐험 열정을 자극했답니다.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을 6개나 만들었어요.”둘째 날인 5일 라이브에서는 무려 7시간 동안 생방송이 이어졌어요. 탐험대원 학생 80여 명이 모두 출연해서 6개월간 탐험했던 솔직하고 흥미진진한 경험담을 ...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방법이 아니라 딥러닝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이용해 50년 이상 풀리지 않던 난제를 단숨에
해결
했다. 단백질 분자의 구조를 실험을 통해 확인하는 방법보다 훨씬 빠르면서도 실험과 맞먹는 수준으로 정확하게 예측해냈다. 수많은 단백질로 이뤄진 생체 시스템을 종합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길이 ... ...
[과동프렌즈] 99%를 100%로...과학계 논쟁
해결
하는 과학자가 꿈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다룬 덕분에 이 사실을 알게 됐다”며 “오랜 시간 동안 논란의 중심에 있던 문제를
해결
했다는 데 크게 감명받았다”고 밝혔다.김 군은 평소에도 오랜 논쟁 끝에 풀린 문제들에 관심이 많았다고 했다. 과학동아는 이런 논쟁의 최전선인 최신 연구 현장을 접할 수 있는 창구였다. 김 군은 교사인 ... ...
[창간축사] 어수동과 친구 하세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어디에 쓰이는지 궁금해하는 어린이들이 많아요. 가 여러분의 호기심을
해결
하고, 수학이 얼마나 재미있고 모험으로 가득한지 알려주기를 바랍니다. 어린이가 와 함께 수학을 마음껏 즐기기를 바랍니다. 김래윤 학생 수학동아 열혈 독자 제게 는 ... ...
[특집] 기네스 북에서 찾자!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제기한 이후 358년 만인 1995년에야 앤드루 와일스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교수가 문제를
해결
했어요. 이 문제의 해답을 찾는 과정에서 수학이 많이 발전해 수학자 사이에서 유명한 문제예요. #가장 정확히 계산한 원주율 자리 50조 원주율은 원의 둘레가 원의 지름의 몇 배인지 나타내는 비율이에요 ... ...
에르되시 팔의 일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1호
‘불가촉 수’ 연구가 기억에 남는다. 새로운 수학 개념을 만들고 이에 대한 문제까지
해결
했기 때문이다. 불가촉 수는 2와 5, 52처럼 어떤 수의 진약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없는 수다. 진약수란 어떤 자연수의 약수 중 그 수를 제외한 모든 약수다. 여기서 약수는 자연수를 나눠떨어지게 하는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