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정
해소
해법
해명
해답
정해
결말
d라이브러리
"
해결
"(으)로 총 6,872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미션1. 식량을 공평하게 나눠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사람이 고르는 고독한 분할법 수학자들은 아주 오랫동안 ‘공평한 나누기’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고민했어요. 그러던 1948년, 폴란드 수학자 후고 스테인하우스가 ‘고독한 분할법’이라고 불리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고독한 분할법은 한 사람이 나누고, 나머지 사람이 선택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 ...
[2021 소미더뭐니] 특별상을 원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세계 수십억 마리의 소가 트림으로 매해 1억t(톤)이 넘는 메탄가스를 배출해요. 이 문제를
해결
하고자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SIRO)는 소의 메탄가스 배출을 80% 이상 줄일 수 있는 해조류 사료를 개발했어요. 연구팀은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붉은 해초인 ‘바다고리풀’을 소의 사료에 섞었어요. ... ...
[하비맨] 파이데이를 기념하며 키슈에게 ‘Kiss You’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1914년에는 8자리 수까지 정확하게 그리면서 √π의 근사치를 구현해 원적문제를 일부
해결
했죠. 3단계 키슈 만들기 총평 “하비맨 대표 요리 탄생” 하비맨처럼 요리를 잘하지 못해도 만들 수 있습니다. 과정이 생각보다 간단하고 재료도 집에 있는 걸 입맛대로 넣으면 되거든요. 몇 번 하다 ... ...
진짜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했다.블랙홀에서 에너지를 추출해 인류가 활용하려면 현실적인 어려움을 먼저
해결
해야 한다. 추출한 에너지를 지구로 옮기기엔 지구와 블랙홀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다. 블랙홀의 크기가 태양계 전체보다 큰 만큼 이를 둘러싸는 구조물을 만드는 것도 현실적이지 않다. 그럼에도 과학자들이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고양이는 그래도 이 상자 바깥으로 나와서 더 아늑한 곳을 찾거나 지금 처한 상황을
해결
하기에는 너무 귀찮다는 나태함을 동시에 느끼고 있었다. 그래서 부족한 것이 많지만 그냥 지금 종이 상자를 무척 아늑하고 만족스럽다고 치자는 느낌이었다. 여기 앉아서 낮잠이나 자지 뭐. 그러는 와중에도 ... ...
[인터뷰] “신에너지 기술로 살기 좋은 지구를 만들겠습니다” [한글 번역본]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받고 있는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늘어나는 에너지 수요에 대응하고 기후 변화 위기를
해결
하기 위한 친환경 연소 기술이다. 그는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서 화석연료 소비를 줄이거나 청정에너지로 전환해 대기 오염물질 배출량을 줄여야 한다”며 “이를 위해 효율이 좋은 연소 시스템과 대체 ... ...
[특집] 미션3. 빛으로 구조 신호를 보내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안에서 비를 피하기도 했답니다. 그렇게 어느덧 6일이 지나 세 번째 편지에 적힌 미션을
해결
할 때가 됐어요. 여기까지 온 팀이 별로 없는데…, 정말 대단하군요. 이제 마지막 미션입니다. 모스부호표와 LED 조명을 활용해 본부로 구조 신호를 보내세요. 당연히 휴대전화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3화. 지명 수배자 삐뚤란을 찾아 그렁그렁 행성으로 출동!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할 겸 출동이다. 그렁그렁 행성으로! 용용, 항로 계산해! 이번 임무는 고딱지 대원 혼자
해결
한다.”용용이 온몸이 시뻘게지면서 암산으로 항로를 계산하자 프로보가 그렁그렁 행성으로 우주선을 몰았습니다. 딱지는 용용이 계산을 마치자마자 털썩 쓰러지는 모습을 보고 깜짝 놀랐지만, 다들 ... ...
[특집] 딥러닝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만들 수 있을지 힌트를 알 수 있답니다. 딥러닝에 데이터를 많이 넣다 보면 언젠가는
해결
해 주겠지라는 생각도 틀린 것은 아니에요. 그런데 그렇게 될 거라고 어떻게 확신할 수 있을까요? 앞서 말한 것처럼 1980년대에 수학적으로 증명했기 때문이에요. 많은 인공지능 연구자들이 “하다 보면 ... ...
20년 만에 실마리 찾았다! 4차원 궁극의 모양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중에서도 리치 흐름을 사용하는 분야인 ‘기하학 흐름’의 최고 난제였어요.최고 난제가
해결
된만큼 기하학 흐름 이론을 발전시켰죠. 그리고 미지의 4차원 다양체의 궁극적인 모양에 대한 단서를 제시함으로써 기하학 분야의 역사적 난제인 매끄러운 4차원 푸앵카레 추측에 대한 새로운 단서 역시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