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바다가 더워질수록 시끄러워지는 딱총새우!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쏘나요?진짜 딱총은 아니지만 비슷한 걸 쏴요! 저는 제몸의 절반만큼 커다란 집게발을 하나 가지고 있어요. 집게발을 벌렸다가 시속 100km의 속도로 닫는데 이 때 압력이 생겨요. 물에서 박수를 치면 주변에 압력이 생기는 것처럼요. 집게발 닫는 속도가 워낙 빨라 앞쪽으로 공기 방울이 생겼다가 팡 ... ...
- [특집] 기후 이민을 떠나세요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취약한 기후변화와 대비 상황 등을 분석한 겁니다. 그런데 이 보고서를 보면, 어느 곳 하나 안전해 보이지 않습니다.먼저 보고서는 우리나라가 속해 있는 아시아 전역은 폭염에 시달리고,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는 홍수에 취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중앙아시아, 서남아시아는 모래 폭풍과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아뇨, 그래도 이과가 무한동력은 못 만듭니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짤 하나로 이과와 문과, 그리고 예체능 계열의 대통합을 이뤄낼 수 있다면 믿으시겠습니까. 위 이미지가 바로 그런 짤입니다. 이공계, 국문학, 그리고 디자인 전공자를 한 번에 열 받게 할 수 있는 이미지로 유명하죠. 마침 저기 과학동아의 표지를 책임지는 이한철 디자인 파트장이 지나가는군요. ... ...
- [기획] 회전하는 우주기지에서 중력을 느끼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그랬을까요. 미지의 힘, 중력은 무엇일까중력은 자연에 존재하는 네 가지 힘 중 하나입니다. 네 가지 힘에는 중력과 전자기력, 강한 핵력, 약한 핵력이 있습니다.중력은 흔히 질량을 가진 두 물체 사이에, 서로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라고 설명합니다.자연계의 네 가지 힘 중에서도 ... ...
- [논문탐독] 생태 다양성 숨어있는 알 껍질의 비밀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생태계 속 모든 생명체는 저마다의 역사를 갖고 있습니다. 이번에 소개한 논문 에서 하나의 가설에 대해 맞는 사례와 그렇지 않은 사례를 모두 소개하는 이유죠.자연은 우리에게 꾸준히 질문거리를 던집니다. 진화라는 단어는 마치 발전하는 의미처럼 다가오기도 합니다. 하지만 진화는 방향성이 ... ...
- [특집] 2교시 파도와 시소를 타듯 서핑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시간은 당일 바다 컨디션에 따라 심판이 결정해요. 주어진 시간 동안 선수가 타는 파도 하나마다 0.1점에서 10점의 점수를 줄 수 있어요. 총점은 최고점과 차점의 파도 두 개의 점수를 합산하는 거예요. Q파도가 일정하지 않게 오는데, 어떻게 선수들을 비교하죠?파도는 어제 오늘 다를 뿐 아니라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보세요! 추천! 동아사이언스 영상 다시보기 의 장수 인기 연재 기사 중 하나는 바로 ‘섭섭박사 실험실’입니다. 여러분도 한 번쯤은 실험을 따라 해 본 적이 있을 거예요. 과학 기자들은 어떻게 실험 기사를 만들고 준비할까요? 실험 기사를 준비하다가 실험에 실패하면 어떻게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26화. 우주순찰대는 혼자가 아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가르쳐주려고 그런 거였어.”“교훈이요?”“그래. 바로 우주순찰대는 우리 해롱 호 하나만 있는 게 아니라는 거야! 혼자서 안 될 때는 다 같이 힘을 합쳐야 한다는 거지. 실은 아까 나무를 발견했을 때 본부에 요청해서 근처의 우주선을 다 불러 모았어. 이제 다 같이 혜성을 끌어서 궤도를 바꿀 ... ...
- [특집] 드디어 풀리다! 음의 펠의 방정식의 비밀!수학동아 l2022년 10호
- 규칙 찾기의 놀이터예요” 저는 정수론을 연구하는 카를로 파가노입니다. 저는 주로 하나의 문제를 다각도로 풀어보는 것을 즐겨요. 정수론은 수학 분야 전체를 공부해야 문제를 풀 수 있고, 문제를 풀며 새로운 규칙을 찾을 수 있어 매력적인 분야라 연구하고 있습니다. 음의 펠의 방정식이 제 주 ...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2화. 수학과와 필즈상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옥스퍼드대 수학과 출신 필즈상 수상자가 적다는 건 학교의 큰 아쉬움이자 약점 중 하나였습니다. 1936년부터 지금까지 86년 동안 64명의 필즈상 수상자가 나왔지만, 옥스퍼드대 소속 필즈상 수상자는 고작 4명밖에 없거든요. 그중에서도 옥스퍼드대에서 수학을 배운 수상자는 1986년 수상자 사이먼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