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d라이브러리
"
은하
"(으)로 총 1,322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리온과 함께하는 겨울의 대육각형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보면 폴룩스는 2.0등성과 2.9등성의 밝은 두 별이 나란히 있는 2중성임을 알 수 있다.
은하
수 속에 담긴 카스토르의 발치에는 쌍안경으로 보기에 좋은 큰 산개성단 M35가 있다 ... ...
우리
은하
도 충돌했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형성과 진화에 결정적인 요소임이 밝혀진 셈이다. 즉
은하
와
은하
가 충돌하면 한쪽
은하
의 물질이 다른 한쪽에 흡수되면서 성장하기도 하도 반대로 물질을 빼앗기고 줄어들기도 한다는 것.또한 이번 연구는 신뢰도 높은 별의 나이측정 모델을 통해 구상성단연구에 기여함으로써 우주의 ... ...
디지털로 세계를 묶은 인터넷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목적지에 도달하면 되는 고등연구계획국의 생각과 맞아 떨어졌다.1969년 리클라이더의
은하
네트워크는 레오너드 클라인로크의 패킷교환이론과 만났다. 고등연구계획국의 지원으로 캘리포니아대학 로스앤젤레스분교(UCLA), 스탠퍼드연구소, 캘리포니아대학 샌타바버라분교, 유타대학 등에 있는 4개의 ...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7천광년 이상 먼 곳에 있다. 쌍안경 속에 겨우 보이는 어두운 별들이 실제로는 우리
은하
에서 가장 젊고 밝은 초거성들이라고 한다.4. 히아데스와 플레이아데스 성단남중 밤 12시 30분경이제 짧은 여행의 마지막 장소인 황소자리 플레이아데스와 히아데스 성단으로 날아간다. 17일 밤, 플레이아데스는 ... ...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18g이고, 이 안에는 6.0 X ${10}^{23}$개의 물분자가 들어 있다.● 아하! 그렇군요.1천억개의
은하
계와 1천억개의 별을 곱하면 우주 전체의 별의 수를 ${10}^{22}$로 얻을 수 있다.(≒${10}^{11}$ X ${10}^{11}$). 그리고 0.1mL의 물에 들어 있는 원자 수도 (3)(6.0 X ${10}^{23}$)(0 ...
꼬리 묶은 어머니와 아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국부
은하
군의 구성원인 작은
은하
하나와 몇 개의 구상성단으로 이루어진 공 모양의 화로
은하
계가 있다.10월의 천문현상이달은 찬란히 빛나는 행성들로 가을 밤하늘이 밝아질 것 같다. 가장 시선을 끄는 것은 목성과 토성이다. 목성은 이달 24일에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과 반대에 놓이게 되는 위치인 ... ...
홍수 막는 물고기 입 포말하우트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사이에 있다. 5개의 4등성이 작은 w자 모양으로 모여있고 별자리 위쪽 반은
은하
수 속에 있다. 이 별자리는 1690년 헤벨리우스가 백조자리와 안드로메다자리 사이의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해 만들었다. 사실 헤벨리우스가 이름 붙이기 전 프랑스의 천문학자 오귀스탱 로이어가 먼저 안드로메다자리 ... ...
우주도 약육강식의 세계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증거들이 발견됐다. NASA(미 항공우주국)의 과학자들이 최근 분석한 바에 따르면, 우리
은하
내에 있는 4-8%의 별들이 주변 행성들을 흡수한 특징을 나타낸다고 한다. 지금까지 별이 작은 행성들을 끌어당기는 것은 이해되고 있었지만, 이번 관측으로 목성 같은 큰 행성도 별에 먹힐 수 있다는 것이 ... ...
우리나라 천문학자들 초신성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이유는 초신성의 밝기가 변하는 특성을 연구해
은하
단까지의 정확한 거리를 측정하고
은하
단 형성의 미스터리를 풀 수 있기 때문. 또한 우주가 팽창할지 수축할지 그 운명을 밝히는데도 도움이 된다. 이명균 교수는 “우주의 구조를 밝히기 위해 수많은 초신성을 발견해야 하는데, 이번 발견은 그 ... ...
별은 어떻게 죽어 가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구조를 밝히는데 획기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10억광년으로 우리
은하
바깥에서 일어난 일이다.실험 - 별들의 수명 알아맞히기■ 기초지식미국의 천문학자로 러셀과 헤르츠스프룽은 별의 스펙트럼 형태와 절대등급 사이의 관계를 밝혀낸 것으로 유명하다. 이들의 연구결과를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