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d라이브러리
"
식물
"(으)로 총 3,71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식물
바이오테크놀로지 저널(Plant Biotechnology Journal)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조작한
식물
이나 박테리아 연구가 매달 2~3편씩 저널에 실린다. 우리나라 과학자들도
식물
바이오테크놀로지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대표적인 것이 농촌진흥청이 2010년에 개발한 ‘베타카로틴’이 함유된 황금 쌀이다. 이 연구는 당시 저널의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다. 2013년에는 현미에 ... ...
[과학뉴스] 절지동물은 부자 동네를 좋아해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가 곤충에서도 증명됐다. 부자 효과란 소득 수준이 높은 부촌일수록 주변에 동물과
식물
의 종류가 더 다양하다는 주장이다.미국 캘리포니아 과학 아카데미 연구팀은 노스캐롤라이나 주 롤리시에 있는 50가구를 방문해 절지동물을 채집했다. 절지동물은 거미, 곤충 등 다리와 더듬이 등 몸에 붙은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연구팀이 생각하는 다음 목표는 광합성 속도다. 미세조류가
식물
보다는 월등히 빠르지만 상용화에 이르기에는 아직 충분하지 못하다. 심 교수는 “더 나은 미세조류를 계속 탐색하고, 동시에 무기물과 결합시키거나 유전공학을 이용해 슈퍼균주를 만들어 낼 예정”이라고 ... ...
[숲 이야기] 봄이 오면 사방이 알록달록 진달래 가족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전남 여수시의 섬 지역에서 자라는 섬진달래를 발견하고, 우리나라에서도 자생하는
식물
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답니다.섬진달래와 비슷한 시기에 꽃을 피우는 참꽃나무는 제주도 한라산에서만 자라는 진달래류예요. 아름다운 꽃 모양과 화려한 색상으로 제주도를 상징하는 꽃이지요. 제주어로는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곳은 적외선 영역의 붉은색 파장이 많이 검출된다. 붉은색 파장이 이전보다 세진 곳은
식물
이 뿌리를 내려 암반이 약해진 곳이다. 초분광 카메라는 암질도 최고 11가지로 구분해낼 수 있어 지질조사에도 유용하게 쓰인다.그런데 이 중요한 촬영은 정작 2분이 채 걸리지 않았다. 이걸 하자고 장장 ... ...
[Knowledge] 뛰지 못하는 작은 원숭이의 생존법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단점을 극복하고 장점을 극대화하며 살아간다. 인간만이 아니라 지구상의 모든 동
식물
이 비슷하다. 그런데 종종 색다른 적응 방식으로 경이로움을 느끼게 하는 종이 있다. 열대 우림에 사는 자그마한 야행성 원숭이인 느림보원숭이가 그렇다.느림보원숭이를 한번쯤 만나본 독자라면 매우 느리고 ... ...
미스터리 2. 사막에 사는 특별한 생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머금기 위해서는 얇은 줄기가 여러 개 있어야 하는데, 이때 줄기 표면들이 햇빛에 닿으면
식물
속 수분이 빠르게 증발해 버려요. 결국 표면적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줄기가 하나로 합쳐지면서 두꺼워진 거예요.사막의 동물은 피해야 산다!사막은 낮 기온이 50℃에 이를 만큼 날씨가 무더워요. 반면 ... ...
[가상인터뷰] 굶주림은 꿀벌을 강하게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거예요. 하지만 전세계에 있는 꿀벌의 숫자는 꾸준히 줄어들고 있어요. 꿀벌이 사라지면
식물
의 번식도 함께 힘들어지기 때문에 지구는 큰 위기를 맞을지도 몰라요. 잉왕 교수는 이 연구가 꿀벌의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라고 있답니다 ... ...
[Knowledge] 쓴 풀이 곧 약이 되리니…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비룽가 산맥에 사는 산악고릴라는 해발 4100m까지 올라 도라지과의 ‘로벨리아’라는
식물
을 먹는다. 원주민들 사이에서 코감기와 폐질환에 특효약으로 알려져 있다. ... ...
[Tech & Fun] 박흥보 특급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박 속에 어떤 물건을 전송시킬 수 있는 그런 고도의 기술 문명이 있고, 박이라는
식물
과 제비라는 동물, 그리고 인간의 문화라는 지적 생명체를 통해서 그 기술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 아닐까?이것은 우리 사업 자체보다도 훨씬 더 어마어마한 문제였다. 옛날 이야기가 아닌 현대 과학의 입장에서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