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Photo] 문명의 대들보 철과 그 광물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석영질의 벽옥으로 퇴적층을 이뤄 지구 역사를 잘 기록하고 있다. 18억 년 전 이후에는
바다
에 녹아 있던 철이 거의 소진되면서 산화철 퇴적층은 줄어들게 된다.몇 억 년 동안 퇴적된 이 철광층이 이후 지질활동에 의해 지상으로 융기됐고, 연간 약 17억 t이나 채굴되는 철광석의 주요 광상으로 현대 ... ...
[Culture] 치카우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있던 염소의 젖까지 아기에게 적합한 에너지 원임을 알아냈다. 뿐만 아니라 인도양 깊은
바다
속에 살고 있는 한 심해 어류의 간 속에 아기에게 적합한 영양소가 있다는 사실도 알아냈는가 하면, 지구 바깥 우주 정거장에 한 피자 회사가 홍보용으로 탑재시킨 마르게리타 피자의 치즈가 아기에게 ... ...
Part 5. [거대로봇]은 어디에 쓰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인간이 낼 수 없는 어마어마한 힘을 쓸 수 있다는 거예요. 미래에 인간이 우주나 깊은
바다
속, 지하에 도시를 건설하는 시대가 온다면 거대로봇이 사람을 대신해 구조물을 지을 수 있을 거예요.또 사람을 대신해 위험한 재난 현장에 투입되어 사람을 구하거나 마을을 복구할 수도 있어요. 실제로 ... ...
[과학뉴스] 세계 지도자들이
바다
물고기 감소 문제와 씨름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
Part 3. 신종 찾고
바다
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과학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이름을 새로 지어 주세요!갯지렁이나 따개비, 담치 같은 생물들은 바위에 붙거나 모래로 집을 짓기 위해 끈끈한 물질을 갖고 있어요. 이 끈끈한 물질을 연구하면 물속 ... 비법Part 1.
바다
와 육지 사이 조간대Part 2. 갯바위 층층이 사는 생물들Part 3. 신종 찾고
바다
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황제펭귄을 수호하라!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우리 종족의 수가 줄어드는 가장 큰 이유는 기후 변화입니다. 이상 고온 현상으로 해빙(
바다
얼음)이 너무 많이 녹으면서 주요 먹잇감인 크릴이 자취를 감추고, 최적의 번식 장소 또한 찾기 어려워지고 있지요.사실 해빙이 너무 작아도 문제지만, 너무 커도 문제가 됩니다. 해빙이 너무 크면 ... ...
Intro. 갯바위 생물의 생존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으오오오옷!기서 엄청 큰 파도가 오고 있어! 집채만 한 게 우리를 집어 삼킬 것만 같아! 하지만 난 너무너무 행복해~! 바위 해변에 사는 우리를 소금물로 적셔 줄 유 ... 생존 비법Part 1.
바다
와 육지 사이 조간대Part 2. 갯바위 층층이 사는 생물들Part 3. 신종 찾고
바다
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 ...
Part 1.
바다
와 육지 사이 조간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안녕? 나는 갯바위에 붙어사는 조무래기따개비야. ‘해변’이라고 하면 무엇이 떠오르니? 백사장? 아니면 갯벌? 내가 사는 곳은 이와 또 다른 곳이야. 갯바위와 같 ... 생존 비법Part 1.
바다
와 육지 사이 조간대Part 2. 갯바위 층층이 사는 생물들Part 3. 신종 찾고
바다
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거치면서 갯벌에 함유된 미네랄이 바닷물에 더해진다.김치영 태평염전 차장은 “
바다
에서 막 끌어온 바닷물의 염분 농도는 2.5도(2.5%) 정도인데, 하루 정도 증발시키면 염도가 1~2도 높아진다”며 “하루에 한 번씩 증발지를 옮겨가며 염도를 조금씩 높인 뒤 결정지에 투입하기 직전에 23~25도가 되게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같은 정동 구락부에서 면포(빵)와 설고(카스텔라)를 팔았던 것을 효시로 본다. 그러나
바다
에서 표류해 1628년 제주에 도착했던 박연 일행이 빵(마른 떡)을 먹었으며, 비슷하게 우리나라에 표류했던 하멜 일행이 1653년 탈출할 때 빵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 일찍이 서양으로부터 빵을 비롯한 여러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