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d라이브러리
"
미터
"(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과학이 만드는 아름다운 예술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전자현미경실 (대상)토끼 말초신경 섬유 안의 모세혈관을 60나노
미터
(nm) 두께로 잘라서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작품. 운 좋게 노란 바탕의 혈장 속을 떠가는 적혈구를 관찰했다. 땅콩 모양의 빨간 부분이 오목한 원반 모양인 적혈구가 세로로 잘린 것이다. 모세혈관은 적혈구 하나가 겨우 지나갈 ... ...
테이프처럼 벗겨 만드는 탄소나노튜브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0배 얇은 탄소나노튜브 리본이 완성된다.탄소 원자6개가 서로 연결돼 지름이 수~수십 나노
미터
인 관 모양을 이루고 있는 탄소나노튜브는 신소재로 각광받아왔다. 그러나 대량생산이 어렵고 비싸 상업적으로 한계가 있었다.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을 이용하면 7m에 달하는 탄소나노튜브 리본을 1분만에 ... ...
나는 무엇에 이끌려 행동할까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신호를 받는 후막이라는 구조가 있다. 이들은 완전히 붙어있지 않고 20나노
미터
(nm, 1nm=10-9m) 정도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전막에는 신경전달물질을 담고 있는 소낭이라는 주머니가 있으며, 이 신경전달물질은 확산에 의해 전막과 후막 사이를 이동하며 화학적 시냅스를 이룬다. 시냅스 후막 ... ...
칩 위에 세운 생물 실험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필요하다. NEMS란 나노기전시스템(Nano Electro Mechanical Systems)으로 각종 센서와 회로를 나노
미터
수준에서 3차원적으로 결합한 시스템이다. 잉크젯 프린터 헤드, 자동차 에어백의 가속도 센서 등에서 쓰는 마이크로기전시스템(MEMS)기술보다 1000배 더 정밀하다. 박 교수는 “우리 연구실의 목표 가운데 ... ...
미국의 새 우주 무기 계획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mm)를 합쳐서 밀리미크론(mμ)을 써왔으나, 현재는 나노로 대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나노
미터
는 종래의 밀리미크론과 같은 값이다전기적으로 중성이며 질량이 거의 영인 소립자 원자로에서 강력한 β방사성 물질이 양산되어 존재가 확인되었다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원고 작업에서 인쇄까지를 ... ...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통돼지’로 팔리던 시절, 돼지의 근육 속에 있던 기생충은 사람 몸으로 들어가 몇
미터
에 달하는 갈고리촌충으로 자랐다. 길고 꿈틀거리는 기생충의 조각을 대변과 더불어 내보내는 건 귀엽게 봐준다 해도, 몸 안에서 생긴 기생충의 유충이 사람의 뇌로 들어가 증상을 일으키는 건 두렵기 짝이 없다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비법은 ‘나노’와 ‘퓨전’이다. 지난 몇 년 동안 전문가들은 플래시메모리가 65나노
미터
(nm=10억분의 1m)의 벽을 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지난해 9월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60nm 플래시메모리를 선보였다.용량도 8Gb로 세계 최대였다. 인텔은 올해 65nm 공정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며, 다른 ... ...
나노 눈으로 세상을 보는 탐험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뜻을 친구들은 알고 있나요? 나노는 바로 10억 분의 1을 말하는 것이에요. 나노
미터
는 1
미터
의 10억 분의 1이라고 하니 얼마나 작은 단위인지 상상이 가나요?박사님이 연구하시는‘나노표면과학’이란 바로 이 나노 단위의 기술을 통해 반도체와 같은 물체의 표면을 연구하는 것이에요. 예를 들면 ... ...
나노 기술로 거장의 작품을 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측정해 수많은 점으로 이뤄진 입체 형상을 얻는다. 이때 점 하나의 간격은 불과 12나노
미터
(1nm=10-9m)다. 이어서 컴퓨터를 이용해 이 형상을 수평으로 잘라 2차원 단면 데이터를 얻는다. 다음은 빛에 민감하도록 합성된 광경화수지에 각 단면 데이터에 따라 레이저빔을 투영한다. 광경화수지에서 ... ...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분명하다. 현재 첨단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는 수십개의 원자 층으로 이뤄진 불과 수나노
미터
(nm)의 박막과, 머리카락을 1만개로 쪼갠 두께 정도의 아주 작은 패턴을 가공하는 기술을 사용한다. 가공이 가능한 박막의 두께와 패턴의 크기가 점차 물리적 한계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앞으로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