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d라이브러리
"
미터
"(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성의 베일 벗길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전후좌우로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는 재물대(載物臺)가 있고, 그 이동량을 마이크로
미터
또는 표준척으로 읽을 수 있다 압축공기의 흐름을 확대 기구로 이용하는 비교기 유출구와 그 곁에 놓인 물체 사이의 틈에서 나오는 압축공기의 흐름이 측정할 물체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 변하는 것을 이용한다 ... ...
1. 레이저로 측정 한계 극복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100조분의 1 초까지도 정확히 측정 가능해졌다. 1983년 채택된 시간 표준을 이용한 새로운
미터
표준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이 탄생한 것이다.또한 광주파수 빗을 안정시키면 시간과 공간에서 펄스들 사이의 위상차도 자동으로 안정시킬 수 있다. 이로써 레이저-물질 간 상호작용을 연구하는데 ... ...
3. 위장을 점령한 난폭한 미생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부활절 휴가가 가져온 노벨상헬리코박터균은 2~7마이크로
미터
(1μm=100만분의 1m) 크기로 여러 개의 꼬리(편모)를 갖고 있어 점액층 속을 이리저리 헤엄치며 돌아다닌다. 특히 위장의 아래부분인 날문부(파이로루스)에 많이 산다. 헬리코박터 중에서 사람의 위에 사는 것을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일종이라 할 수 있다별과 별 사이의 우주공간에 존재하는 먼지 보통 01㎛(마이크로
미터
, 1㎛=${10}^{-6}$m) 크기로 자외선은 차단하고 이보다 파장이 긴 적외선은 그냥 통과시킨다 따라서 성간먼지가 많은 은하수 쪽의 하늘을 관측하기에는 자외선보다 적외선이 훨씬 유리하다이산화탄소 중 탄소(C)를 ... ...
'외계인' 섬유 나왔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정보가 기록된 나노 입자가 들어 있는 ‘외계인 나노섬유’를 개발했다.지름 150나노
미터
(nm)인 이 섬유는 현미경으로 보면 마치 영화에 나오는 외계인의 얼굴을 닮았다. 이 결과는 지난 8월 미국 국립과학재단 학술회의에 발표됐다.이 섬유를 의류 상품이나 지폐, 문서에 삽입하면 정품임을 증명해 ... ...
당신의 순간은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돌려 찍는 방식이라 컷의 간격이 일정치 못하자 0.03초까지 잴 수 있는 마이크로크로노
미터
라는 시계를 직접 만들어 동작과 시계를 화면에 같이 담아 분석하기도 했다.그가 이렇게 매 순간 동작을 분석한 이유는 불필요한 동작에 낭비되는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었다. 17살에 ... ...
레고 블록같은 분자를 디자인 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나노기술을 결합한 신물질의 개발에 몰두하고 있어요. 초분자 화학을 이용해 나노
미터
크기의 분자 기계를 만들어 내는 신기술인데, 이러한 연구는 눈에 보이지 않는 분자의 세계를 활짝 열어 자연 현상을더 잘 이해하게 해 줄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컴퓨터의 기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나노 ... ...
분자 모터가 액체를 움직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액체 방울을 밀어 올리는데 성공했다.영국 에든버러대의 데이비드 리 교수팀은 나노
미터
크기의 분자 모터를 이용해 처음으로 액체 방울을 움직였다. 그는 “분자 수준의 움직임으로 거시적인 물체를 움직인 최초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 결과는 ‘네이처 머티리얼스’ 8월호에 발표됐다 ... ...
김 서리지 않는 안경 나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8월 28일 미국화학회 정기회의에서 발표됐다.나노 코팅은 폴리머 섬유와 지름 7나노
미터
(nm) 유리 나노입자의 다층구조로 이뤄졌다. 이들은 그물 구조를 형성하는데 그 사이의 작은 틈으로 물이 스펀지처럼 흡수된다. 그 결과 물방울 대신 얇은 물층이 만들어져 빛을 산란하거나 김이 서린 것처럼 유리 ... ...
2. 번개처럼 사라지는 입자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반응은 약 10-24초 밖에 지속되지 않는다. 이 시간은 빛이 양성자 지름에 해당하는 1펨토
미터
(1fm =10-15m)를 통과하는 시간에 불과하다. 강력보다 상대적으로 힘의 크기가 작은 전자기력이 관여하는 반응은 조금 길어져 10-20~10-16초 정도 지속되고, 이보다 더욱 작은 약력이 관여할 경우에는 10-13~10-6정도로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