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부
전문학부
d라이브러리
"
대학원
"(으)로 총 1,736건 검색되었습니다.
탄탄한 기초가 가져온 빛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다양한 분야에서 최선을 다해 활동하고 있다. 김휘 서울대 전기공학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삼성전자 책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고려대 세종캠퍼스 전자및정보공학과에 조교수로 있다 ... ...
플라즈모닉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세계 연구팀과 교류하기 위해 영어능력 또한 필수다.6. 졸업 후
대학원
에 가고 싶은데요?
대학원
에 올라가면 비선형광공학, 광정보처리학 등 광학에 대해 심도있게 배운다. 무엇보다 연구할 수 있는 마음 자세를 갖춰야 한다. 석사과정에서는 지도교수 밑에서 집적회로, 광 데이터 스토리지, 정보처리 ... ...
짜릿한 전기 세상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돈이 부족해서 결국 실험해 볼 수 없었어. 그런데 2007년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의
대학원
생 안드레 커스가 둥근 금속 코일에서 만들어지는 자기장을 이용해 전선없이 에너지를 주고받는 데 성공했어. 그러니 이제 곧 내 꿈이 실현될 수 있겠지?*송전탑 : 전기를 보내기 위해높이 세운 탑니콜라 테슬라 ... ...
당신은 날 믿었어야 했어요!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버지니아 주에서 태어났다. 그리고 그의 나이 스무 살에 수학 실력을 인정받아 프린스턴
대학원
역사상 최고의 장학금을 받고 입학했다. 입학 후 10년 동안 그는 게임에서 이기는 전략을 수학적으로 증명하고 소수에 관한 난제를 풀며 다양하고 넓은 수학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내시는 1948년에 ... ...
3D 기술로 살아난 백제의 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기원전 18년. 한강 유역에 터를 잡은 백제는 도읍을 웅진(지금의 공주, 475∼538년), 사비(지금의 부여, 538∼660년)로 옮기며 문화를 꽃피웠다. 백제 ... 분명한 현실이다. 모든 문화 소비자들에게 ‘디지털 타임머신을 제공하는 것’, 그것이 CT
대학원
문화재 디지털 연구팀의 목표이자 각오다. ... ...
별의 죽음을 밝혀 낸 과학자 찬드라세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대학 졸업과 동시에 케임브리지대로 유학을 떠나 랄프 파울러 교수의 지도를 받았다.
대학원
에 입학한 지 3년 만에 박사 학위를 받은 찬드라세카는 연구원 과정을 거쳐 27세의 젊은 나이에 미국 일리노이 주의 명문 시카고대의 교수가 됐다. 그곳에서 찬드라세카는 1983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고 ... ...
초파리의 짝짓기에서 인간의 뇌를 보다 - 분자신경행동학 연구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들판이나 산에 들러 그곳의 곤충을 관찰한다고 한다.“곤충 자체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대학원
에서 와서 이 연구를 했으면 좋겠어요. 초파리가 교미하는 데 한 시간쯤 걸리는데 자리에 앉아 꼬박 지켜보는 학생을 본 적이 거의 없어요. 곤충을 관심 있게 보다보면 지식도 늘고 아이디어도 생기고 ... ...
연세대 한국판 미디어랩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대한 전문성을 잃기 쉬운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며 “학부 졸업에 그치지 않고
대학원
이상의 지속적인 교육을 받고 사회에 진출해야 의미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한국판 MIT미디어랩 사업은 졸업생들이 기업의 연구소나 대학보다는 산업을 이끌만 한 새로운 기술을 제시하는 리더를 키우겠다는 ... ...
뇌병변도 막지 못한 청년 과학자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갈 수 있는 ‘자율주행 자동차’를 만들고 싶다는 생각에서였다.하지만 이런 생각은
대학원
에 들어와서 크게 바뀌었다. 어릴 적 꿈보다 더 큰 세상이 있다는 사실을 알았기 때문이었다. 로봇 기술을 공부하면 자신처럼 몸이 불편한 사람을 위해 많은 일을 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지금은 생각이나 ... ...
게임 속으로 풍덩~ 내 몸이 게임기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몸을 움직이며 느낄 수 있는 체감형 게임을 추구하는 점은 똑같다. 우탁 KAIST 문화기술
대학원
교수는 “인터페이스 기술이 발달하면서 게임이 오히려 전통적인 놀이와 가까워지고 있다”고 설명했다.과거의 놀이는 직접 몸을 써야 했으며 사람과 사람 사이의 소통이 중요했다. 하지만 비디오 또는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