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부
전문학부
d라이브러리
"
대학원
"(으)로 총 1,73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다녀온 우주인들의 경험담을 듣는 일이었다. 어느 순간부터는 우주비행 경험담이
대학원
시절 학회 참석차 해외 출장을 다녀온 선배들의 경험담처럼 일상적으로 느껴지기까지 했다. 저녁식사 자리에 모인 사람 중 두어 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우주비행을 해 본 사람일 때면, 우주에 가는 것 자체가 ... ...
지능형 데이터시스템 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주제들이 있다. 학부에서 지식을 충분히 쌓은 후 데이터 처리에 큰 흥미가 느껴진다면
대학원
을 선택하도록 한다.7 취업을 선택하면요?이 기술을 가장 필요로 하는 곳은 최신 서비스를 지향하는 인터넷 관련 기업들이다. 검색엔진이나 쇼핑몰 외에도, 사용자 맞춤 광고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 ...
“가려움증 일으키는 신경은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발생시키는 감각신경세포를 국내 연구진이 발견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서울대 치의학
대학원
이성중 교수가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한상규 교수와 공동으로 가려움증 유발 감각신경세포를 새롭게 발견했으며, 이미퀴모드(Imiquimod)라는 화합물과 반응해 가려움증이 생긴다는 사실을 쥐를 이용한 ... ...
MEMS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데 열정을 쏟아 부을 수 있는 성실성과 열린 사고를 가진 학생이 적합하다.6졸업 후
대학원
에 가고 싶은데요?
대학원
과정에서는 MEMS공학과 반도체 분야의 다양한 학문을 토대로 더욱 심도 있게 연구한다. MEMS 연구를 통해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센서와 엑츄에이터를 만든다. 최근 MEMS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활동하도록 분화한 면역세포가 바로 미세교세포(갈색)다.] 이성중 서울대 치의학
대학원
교수팀은 미세교세포가 뉴런을 부추기기 때문에 계속해서 통증을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과학원회보(PNAS)’ 작년 8월 17일자에 발표했다. 이 교수팀이 뉴런은 놔두고 미세교세포의 입만 막았더니 ... ...
개그맨 이윤석의 '웃음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됐다. 그의 특이한 이력은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개그맨으로 방송 활동을 계속 하면서도
대학원
에 진학해 박사 학위를 받고 지금은 경기대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이기적 유전자를 처음 읽었을 때의 충격을 아직도 잊을 수가 없습니다.”이윤석 씨는 특히 과학 교양서를 좋아한다고 했다.“땀 ... ...
진정한 꿈을 찾는 기나긴 여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노력하지 않고서는 그 문을 두드리기 힘들다. A학생이 의대에 진학할 시기에는 의학전문
대학원
이 폐지되고 다시 예과 신입생을 선발한다. 그러면 모집정원도 지금보다는 늘어날 전망이다. “의대 정원이 늘어난다고 해도 여전히 이과에서 최상위권이어야 합격할 수 있을 거야. 지금 성적은 어느 ... ...
새 패러다임 여는 이동통신 기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큰 기회가 올 것 같았고, 그 한 켠에서 의미있는 역할을 하고 싶어 이동통신연구실로
대학원
을 지원했다.하지만 무선 데이터 통신의 보급은 기대했던 것만큼 단시간에 오지 않았다. 3세대 초기 이동통신 시장에서 데이터 트래픽 사용에 대한 반응은 기대 이하였다. 매력적인 애플리케이션이 ... ...
이동통신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6.졸업 후
대학원
에 가고 싶은데요?
대학원
에 가면 더 심도 있게 공부하며 연구도 병행한다. 인터넷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고, 한정된 주파수 내에서 더 많은 사람들이 통신을 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현재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는 ... ...
새처럼 노래하는 쥐, 있다?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지저귀는 쥐가 탄생했어요. 일본 오사카대학교 생명공학
대학원
의 야기 다케시 교수팀이 새처럼 노래하는 쥐 100마리를 만들었답니다.연구팀은 ‘진화 쥐 프로젝트’ 실험의 하나로, 일부러 쥐가 유전정보 물질인 DNA를 잘못 복제하도록 해서 돌연변이 쥐를 만들었어요. 그런 다음 돌연변이 쥐끼리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