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념
사상
이념
생각
취지
표상
의미
d라이브러리
"
개념
"(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일러 프로젝트] 가장 긴 콜라츠 수열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8년 09호
‘줄리아’도 괜찮겠네요. 나머지 연산을 활용하라!이번 문제를 해결할 때 중요한
개념
은 ‘나머지 연산’이에요.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나머지 연산은 ‘%’ 기호로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n을 2로 나눈 나머지는 ‘n%2’로 쓰고, 3으로 나눈 나머지는 ‘n%3’으로 쓰지요. 이 문제에서는 ... ...
[Future] Touch the Sun! 인류 첫 태양탐사선 파커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한다. 라우아피 박사는 “태양풍 역시 약 60년 전 파커 교수가 처음으로 학계에 보고한
개념
”이라며 “당시 과학자들은 우주가 아무 것도 없이 텅 빈 공간이라고 생각해 그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파커 교수가 태양풍을 주장한 4년 뒤인 1962년 금성 탐사선 ‘마리너 2호’가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 대푯값 편
수학동아
l
2018년 09호
BJ맹추는 요즘 ‘프로듀스48’에 푹 빠져 있습니다. 제가 선호하는 연습생을 데뷔시키기 위해 폭풍 투표를 하고 있지요. 기왕이면 데뷔도 하고 센터도 하면 참 좋을 텐데…. 음? 센터는 무조건 외모가 뛰어나야 한다고요? 그건 생각하기 나름이랍니다! 그때그때 다른 ‘센터’팀에서 주목을 가장 ... ...
[통합과학 교과서] 게임 속 낯선 사람의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아저씨의 정체를 물었어요.“나는 이 게임 속에 10년 넘게 갇혀 있었단다….” ※
개념
퀴즈현생 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은 서로 교류하지 않았다. [O , X ... ...
100억 년 동안 1초도 안 틀리는 광시계로 더 정확해진 초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늘어났던 것이다(이를 보상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1년에 1초를 더하거나 빼는 ‘윤초’
개념
이 나왔다).1960년 제11차 국제도량형총회는 태양의 자전 주기 대신 공전 주기를 기준으로 한 ‘역표초’를 시간의 정의로 채택했다. 즉 1초를 ‘1900년 1월 0일 12시에 대한 태양년의 1/31556925.9747’로 정의했다. ... ...
[DJ CHO의 롤링수톤] 디카펠라의 ‘글로리 데이스’ 아름다운 화음의 비법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방식이지요. 최고의 하모니는 순정율평균율에는 무리수
개념
이 이용되니, 무리수
개념
이 없던 기원전 6세기에 생각지 못했겠지요. 지금처럼 다양한 악기도 없었을 테고요. 그렇다고 피타고라의 순정율이 의미 없는 건 아닙니다. 현대 서양 음계와 본질적으로 같으며, 순정율로 화음을 구성하면 ... ...
[Culture] ‘승리 요정’ 되려면 강속구로 승부하라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10년 간 메이저리그에서 활약한 100여 명의 선발투수의 공을 ‘불확실성’이라는
개념
으로 살펴봤다.불확실성은 특정 스트라이크 존에 공이 얼마나 자주 들어오는지를 의미한다. 만약 하나의 구종이 특정 스트라이크 존에 반복해 들어온다면 투수가 던지는 공의 불확실성은 낮아진다.분석에는 직구, ... ...
[Interview] KWMS-엔씨문화재단 젊은여성수학자상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과정에서 수학적 사고 능력을 기르는 게 중요하지요. 무조건 어려운 문제를 풀기보다는
개념
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문제를 풀면서 자신감을 길러보세요! Q. 너무 수학 이야기만 했나요? ^^ 잠깐 쉬어가겠습니다. 혹시 연구하다가 쉴 때는 어떻게 머리를 식히시나요? 김미란 교수 ... ...
[Future] 1회 충전으로 609km 주행, 누가 수소차를 무시하나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윌리엄 그로브다. 그는 1839년 산소와 수소를 반응시켜서 물을 만드는 수소연료전지의
개념
을 고안해냈고, 1842년 최초의 수소연료전지를 시연했다. 혁신적이고 친환경적인 아이디어였지만 당시로서는 상용화하기 어려웠고, 연구하는 사람도 많지 않았다. 근근이 연구의 명맥이 이어져 오던 ... ...
[과학동아 X KRISS] 볼츠만 상수로 더 완벽해진 켈빈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묘사하는데 용이하다는 것이다. 온도는 길이나 중량과 달리눈에 보이지 않는 비직관적인
개념
이다. 열역학에서 온도는 계를 구성하는 분자나 원자의 에너지 평균값이다. 켈빈 경은 원자의 평균 에너지가 0인 지점의 온도를 0 K로 정했다.켈빈 단위의 온도는 열역학 방정식에도 그대로 적용가능하다.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