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1시간 30분의 짜릿한 우주 관광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100㎞까지 올라가요. 이 곳에서 관광객들은 3분 정도 무중력 체험을 할 수 있어요. 또 15
개
의 창문을 통해서 파랗게 빛나는 지구를 볼 수 있답니다. 관광객은 모두 4명이에요.그럼 얼마나 오래 우주 관광을 하는 거예요?1시간 30분이죠.너무 짧아요. 좀 더 길게 해 주세요.앞으로 기술이 발전하면 더 ... ...
점점 커지는 구덩이는 외계인의 흔적?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마을에 동굴 같은 게 있나 해서요.”“어떻게 알았죠? 우리 마을에 크고 작은 동굴이 몇
개
있답니다. 혹시 그 안에 외계인이라도?”“오케이! 드디어 증거를 찾았어!”사건 분석 ➋ 지층을 분석해라“제트, 이 지역의 지층을 이루고 있는 암석을 조사해 줘.”증거를 찾았다며 제트를 부르는 ... ...
풍덩~ 바다목장에 놀러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바다가 아니라 1년 내내 찾고 싶은 즐거운 바다목장이 되도록 관광과 교육용으로도
개
발해야죠.세계로 뻗어나가는 바다목장도 계획하고 있어요. 우리나라의 바다목장 건설기술을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등에 전해 줄 거랍니다. 중국은 통영의 바다목장을 본 따 해양연구를 시작했고 사우디아라비아도 ... ...
태양보다 5억 배나 큰 블랙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모르지만 태양 수천 배 크기의 작은 블랙홀들이 모여서 만들어졌다는 가설과 *성단 몇
개
가 충돌해 거대한 블랙홀을 만들었다는 가설이 있어요. 앞으로 연구를 더 하면 어떻게 이런 거대한 블랙홀 이 생겼는지 알 수 있을 거예요 ... ...
추락하는 명왕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예전에는 태양계의 9
개
형제 행성을 이렇게 외웠죠. 마지막 행성이었던 명왕성이 지난해 행성의 지위에서 탈락했다는 ‘어린이과학동아’독자라면 알 거예요. 크기가 작고 태양을 도는 공전 궤도가 다른 행성과 많이 달랐기 때문이죠. 명왕성은 행성에서 탈락한 뒤 행성과 소행성의 중간 단계인 ... ...
여름의 적을 이기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일어나면 기분이 상쾌해질 줄 알았는데 이게 웬일? 머리가 아프고 코가 맹맹해. 한여름엔
개
도 안 걸린다는 감기에 걸린 걸까? 으악, 괴로워!차가운 병? 냉방병?여름에 에어컨의 찬바람을 자주 쐬다 보면 머리가 아프거나 입맛이 없어지고 코가 막히고 몸이 무거워져요. 이게 바로 냉방병이랍니다. ... ...
착한 줄기세포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방법인데요, 평범한 피부세포에 4
개
의 유전자를 넣어 배아줄기세포로 바꾸는 거죠. 4
개
의 유전자가 피부세포에“배아줄기세포로 변해라”라고 명령을 내린답니다. 이번에 만든 ‘착한’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하면 앞으로 난치병을 고칠 수 있겠죠?*배아 : 수정란이 분열해 며칠 자란 것으로 다 자라면 ... ...
차세대 초대형 여객기 A380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시카고대 대학원생 밀러가 유레이 교수의 지도로 환원성대기를 이용한 실험장치를
개
발했다몬순이란 말은 원래 아라비아어로 계절을 의미하는 머심(mausim)에서 유래했다 아라비아해에서는 여름 반년에 부는 남서풍과 겨울 반년에 부는 북동풍을 몬순이라 불렀다 요즘에는 단순히 계절풍이란 뜻으로 ... ...
PART1 플라스틱, 21세기를 입힌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마찬가지로 차체에 큰 충격을 준다. 엑카르트 폴틴 소장은 “앞으로 플라스틱 내구성을
개
선하는 등 재질을 보완하면 실제 도로에 쓰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플라스틱, 지구를 성형하다 PART1 플라스틱, 21세기를 입힌다 PART2 막강 플라스틱 패밀리 우주 갔다 돌아올 ... ...
미국 휘청거리게 한 캘리포니아 산불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살기 시작하면서 산불의 횟수가 증가했다. 전세계 산불 분포도를 봐도, 인간이 땅을
개
간하는 곳에서 산불발생 빈도가 높다. 땅을 일구기 위해 화전을 일삼기 때문이다. 아무리 훌륭한 방재 도구가 갖춰져 있더라도 화재 안전 의식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산불은 반복될 것이다. 샌타애나 ... ...
이전
950
951
952
953
954
955
956
957
9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