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인공"(으)로 총 2,018건 검색되었습니다.
- [랩큐멘터리]붙이고 출력해서 만드는 맞춤형 인공장기의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2021.02.02
- 가장 최적의 환경을 갖추고 있다. 미래 의료산업에 직접 적용할 기술을 연구하면서 인공장기 생산으로 나아가는 길을 닦고 있다. 현재는 엄지손톱만한 크기의 장기를 만드는 정도에 머물고 있다. 하지만 10년 후면 실험실에서 나온 장기가 환자의 몸 속에서 살아있는 장기를 대체할 날이 올 것이라는 ... ...
- [과학게시판] AI 융합 분야 신규과제 공모 外동아사이언스 l2021.02.02
- 받았다고 2일 밝혔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3일부터 2021년도 인공지능(AI) 융합 분야 신규과제 공모를 시작한다고 2일 밝혔다. AI 융합 분야 사업은 지난해 7월 발표한 디지털 뉴딜의 대표과제인 데이터 댐 중 하나로, 신규과제 18개와 컨소시엄 24개를 선정한다. ‘AI 융합 ... ...
- 시스템반도체 R&D에 올해 2400억원 투입…“제2 D램 신화 이룬다”동아사이언스 l2021.02.01
- 의 D램 신화를 이뤄내겠다”고 밝혔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차세대 센서, 신개념 인공지능 반도체 등 3대 프로젝트에는 향후 10년간 2조5000억 원을 투입해 2030년 종합 반도체 강국 도약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 ...
- [과학게시판] ‘사람 중심의 인공지능을 위한 윤리 정책 세미나’ 개최동아사이언스 l2021.02.01
- 이현규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인공지능·데이터 단장이 발표를 맡고 이어 ‘사람중심 인공지능 구현을 위한 도전과 과제’를 주제로 학계·기업·시민단체 대표 10명이 토론을 벌인다. 이번 세미나는 과기정통부 유튜브, 네이버 TV 채널, 별도 URL 링크를 통해 생중계 된다 ... ...
- '블록펀딩' 받는 박사후연구원 주도 대학연구단 2곳 올해 추가 선정동아사이언스 l2021.01.31
- 미래인재정책국장은 “박사급 연구원들이 자유롭고 주도적인 환경에서 연구하면서 인공지능, 탄소중립 등 신산업 미래 유망 분야에서 역량을 끌어올리도록 대학과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접수 마감은 3월 8일까지며 3~4월 중 선정 평가를 거쳐 5월 1일부터 연구를 ... ...
- 아랍강소국 UAE 화성탐사선, 美·中 제치고 내달 10일 화성 도착 동아사이언스 l2021.01.28
- 등과의 협력이 주요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과의 협력 경험도 강조했다. UAE는 인공위성 ‘두바이샛’ 1호와 2호를 한국 기업인 세트렉아이를 통해 개발했고, 2009년과 2013년 각각 발사에 성공했다. 샤라프 책임자는 두바이샛 1, 2호 개발에 모두 참여하며 한국과의 협력 경험을 쌓았고, 2013년 ... ...
- "인공지능 도입은 일자리를 줄일까?"…노동부, 연구 착수연합뉴스 l2021.01.28
- 9·한국판 뉴딜·지역 균형 발전 등에 따른 고용 영향도 분석 [연합뉴스TV 제공] 인공지능(AI) 경제의 확산이 고용에 미칠 영향을 가늠하기 위해 정부가 연구에 착수했다. 고용노동부는 이달 25일부터 사흘 동안 고용정책심의회를 열어 올해 고용영향평가 과제 20개를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 ...
- [과학게시판] 블루포인트파트너스,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시작 外동아사이언스 l2021.01.28
- KRIC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총 26개 정부출연연구소 소속 연구원이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소재∙부품∙장비 등 국가 전략 과학기술 분야 전문가를 적극 임용했다는 게 UST 설명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8일 경기 수원시 국가보훈처 재활훈련센터에서 ‘국가보훈-과학기술 ...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mRNA는 어떻게 백신으로 개발되었고 무엇을 더 할 수 있는가2021.01.27
- 수도유리딘(pseudouridine), 메틸수도유리딘(N1-methyl-pseudouridine), 메틸사이토신(5mC)과 같은 인공적인 유도체로 교체함으로써 과다한 면역 반응을 피하고 단백질 생산이 잘 일어나도록 설계한다. mRNA 백신의 구조와 제조 방법. mRNA는 단백질의 정보를 담은 코딩서열, 단백질 생산을 돕는 비번역서열, mRNA가 ... ...
- [소재의 미래]⑾최고 전문가들이 쌓은 고품질 데이터, 소재개발 플랫폼으로 이어졌다동아사이언스 l2021.01.27
- 분석 도구와 소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목표다. 한병찬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도 인공지능(AI)과 양자역학을 활용해 기존 데이터를 분석하고 새로운 소재의 설계 방법을 찾아내는 소재 개발 플랫폼을 구축했다. 한 교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세계 수준의 성과를 내기 위해 설립한 10개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