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망원경"(으)로 총 1,136건 검색되었습니다.
- 와인과 은하를 사랑하는 천문학자2016.01.13
- 공동으로 세계 최대 관측시설인 ‘거대마젤란망원경(GMT)’을 건설 중이다. GMT는 허블우주망원경보다 최대 10배 멀고, 최고 100배 어두운 천체까지 관측할 수 있어 블랙홀과 초기 우주, 암흑물질 연구 등을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경 연구원은 “GMT로 수행할 연구 주제 7가지 중 ... ...
- 영재발굴단도 알아봤다! 미생물 영재, 윤관우 기자어린이과학동아 l2015.12.30
- ‘고양사랑나눔 청소년 오케스트라’로 활동하기도 해요. 날씨가 좋은 날이면 어김없이 망원경을 들고 별을 관찰하러 나가고, 일주일에 두세 번은 스포츠 클라이밍을 즐기기도 한답니다. “어느 날, 사촌 형이 놀러왔다가 저에게 공룡과 용, 물고기를 아주 멋지게 그려 줬어요. 그 모습을 보고 저도 ... ...
- 38년만에 크리스마스 하늘에 뜬 보름달 ‘럭키문’2015.12.25
- 럭키문 - 과학동아천문대 유성범 제공 2015년 오후 7시경 서울 용산구 과학동아천문대 망원경을 통해 찍은 럭키문. - 과학동아천문대 유성범 제공 과학동아천문대에 뜬 2015년 ‘럭키문’ - 과학동아천문대 유성범 제공 ... ...
- [크리스마스엔 과학을 ①] 올해는 ‘달빛 크리스마스’ 즐겨볼까2015.12.21
- 달의 거리의 28배에 해당하는 거리다. 이 소행성은 육안으로는 관측하기 어렵고 천체망원경을 통해서 관측할 수 있다. 크리스마스 밤에는 1977년 이후 38년 만에 둥근 보름달이 뜬다. 서울·경기 지역에는 25일 밤 구름이 다소 걷히는 만큼 저녁 8시 11분에 가장 둥근 보름달을 볼 수 있다. 이번 ... ...
- 알록달록 목성 닮은 행성 속에 수증기가!2015.12.20
-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2018년 허블 망원경을 대체할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우주로 발사되면 더 넓은 적외선 영역의 파장에서도 이 행성들을 관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 별에서 깨어난 포스, 우주 가르는 광선검 나타났다2015.12.18
- 이미지를 얻었다고 17일 밝혔다. NASA와 유럽우주기구(ESA)가 공동 운영하는 허블우주망원경으로 가시광선 영역과 적외선 영역을 관측한 결과다. 이들이 촬영한 천체 이미지에는 별의 양극에서 강력한 에너지로 분출돼 나오는 빛의 모습이 담겼다. 스타워즈 다스몰의 광선검을 닮은 이 천체는 ... ...
- 2015 크리스마스 럭키문, 8시 11분에 가장 둥글어요~동아사이언스 l2015.12.16
- 8시 11분입니다. 동쪽 하늘에서 열심히 떠올라 남쪽을 향해 가는 중이겠네요! 이런 달을 망원경을 통해 직접 보는 것은 어떨까요? 서울 도심에서 멋진 밤하늘을 관측할 수 있는 과학동아천문대에서는 크리스마스 연휴를 맞이해 ‘럭키문 관측행사’를 진행합니다. 24일과 25일 양일 동안 총 여섯 ... ...
-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을 아십니까2015.12.13
- 주(Galaxy Zoo)’와 ‘폴드 잇(Fold it)’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말했다. 갤럭시 주는 로봇 망원경으로 2년 반 동안 촬영한 100만 장의 성운 사진을 네티즌 27만 여 명의 참여로 분류하는데 성공한 프로젝트다. 폴드 잇은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단백질 구조를 변형시키는 게임으로 이를 통해 2011년 에이즈 ... ...
- 지금보다 수천 배 강력한 태양 흑점 폭발 일어날 수 있다2015.12.07
- Journal Letters)’ 2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통해 쌍성 ‘KIC9655129’의 슈퍼플레어 현상을 관측했다. 그리고 태양에서도 이와 같은 슈퍼플레어가 발생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태양에서 플레어가 발생할 때와 KIC9655129에서 슈퍼플레어가 발생할 때 ... ...
- 이런 초신성 폭발 장면 본 적 있나요2015.12.07
- 이상각 망원경은 이상각 煎 서울대 교수가 2014년 기부해 세워진 지름 43cm 크기의 반사망원경이다. 연구팀은 폭발 순간 발생한 섬광의 밝기를 측정했다. 그 결과 폭발한 백색왜성과 쌍을 이룬 별은 적색거성이 아니라, 태양과 비슷한 크기의 ‘주계열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섬광의 밝기는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