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뉴스
"
망원경
"(으)로 총 1,136건 검색되었습니다.
[포토뉴스] ‘일식’ 못 보신 분들을 위한 한 컷
2016.03.09
통해 스마트폰으로 찍은 사진입니다. 즐감하세요~ 스마트폰으로 과학동아천문대
망원경
을 통해 찍은 부분일식 사진. 3월 9일 10시 35분 촬영. - 과학동아천문대 제공 서울 용산구 과학동아천문대에서 부분일식을 관측하는 모습. - 과학동아천문대 제공 ... ...
지구에서 ‘가장 먼 은하’ 관측 성공
2016.03.06
허블우주
망원경
으로 봤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은 허블우주
망원경
보다 성능이 100배 좋고, 약 135억 광년 거리의 깊은 우주까지 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 결과는 ‘천체물리학저널(Astrophysical Journal)’ 8일자에 실릴 예정이다. 대폭발(빅뱅)부터 현재까지 ... ...
134억 광년 떨어진 지구서 ‘가장 먼 은하’ 발견
동아일보
l
2016.03.05
동아일보] 미국 예일대, 네덜란드 레이던대 등 국제 공동 연구진이 허블우주
망원경
으로 관측한 외계은하 ‘GN-z11’의 모습(네모난 확대 사진). 이 은하는 지구에서 약 134억 광년 떨어져 있는데, 지금까지 발견된 은하 중 가장 멀리 있다. 연구진은 대폭발(빅뱅) 이후 4억 년이 지난 시기에 만들어진 ... ...
한번 뿐이라던 지구 밖 ‘굉음’, 반복 발생 첫 확인
2016.03.03
않는 것으로 알려진 FRB에 ‘반전’을 제시한 발견이었다”며 “더 강력한 전파
망원경
을 이용해 추가로 관측한다면 FRB의 수수께끼를 한 층 더 자세히 풀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02.27
아닌 궤도를 예측했을 뿐입니다. 그것도 해왕성이나 명왕성보다 몇 배나 큰 궤도를요.
망원경
으로 보고 일일이 찾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 브라운 교수는 1월 20일 뉴욕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아홉 번째 행성을 찾는 일에 착수했다”면서 “늦어도 5년 안에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 ...
[의왕여행] 왕송호수, 철도박물관에서 때를 만나다
2016.02.26
없는 거다. 시간은 흐르는데 내 성장의 시계는 멈춘 지 오래다. 다시 돌아가게 할 때다.
망원경
으로 철새를 관찰하듯, 나를 관찰하는 것이 시작이다. 꽃피는 봄날 다시 찾고 싶은 왕송호수 - 고기은 제공 왕송호수에 봄이 찾아올 무렵엔 레일바이크를 타고 호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고도 한다. ... ...
미리내에 거대한 용이 산다
2016.02.25
은하수의 붉은 물 속에서 힘차게 헤엄치고 있는 모습이 칠레에 있는 구경 8.2m짜리 제미니
망원경
에 포착돼 2005년 8월 공개됐다. 머리에는 뿔 같은 게 달려 있고 삐죽삐죽 뻗어 나온 비늘이 수없이 많다. 몸뚱이는 뱀처럼 길게 구불거려 전체 모습이 꼭 용을 빼닮았다. 어떻게 용이 우주의 커다란 ... ...
인간이 달에 버린 쓰레기들
팝뉴스
l
2016.02.22
가져오고 12개의 카메라는 달에 버렸습니다. 조지 캐러더스 박사가 설계한 황금 도금
망원경
도 달에 남아 있습니다. 또 미국 국기 6개가 달에 있는데요 달착륙선이 넘어뜨린 1개를 제외하고는 모두 서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폴로 16호의 찰스 듀크는 가족사진을 달에 두고 왔습니다. 이외 골프 공도 ... ...
우주 한복판에 떠 있는 거대한 ‘벌집
망원경
’
2016.02.21
Association of Universities for Research in Astronomy) 회장은 “이렇게 뛰어난 기술의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으로 우리가 무엇을 찾아낼 수 있을지 누가 알겠는가”라며 “이것은 혁신적인 일이다”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 ...
슈퍼지구 대기 성분 최초로 직접 스캔
2016.02.17
온도는 2000도가 넘는다. 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의 허블 우주
망원경
에 탑재된 와이드필드카메라3(WFC3)로 게자리 55 e를 가까이서 빠르게 스캔했다. 행성의 대기를 통과한 중심별 빛의 스펙트럼을 얻기 위해서다. 그리고 이렇게 얻은 데이터를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인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