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색
조사
추적
탐색
찾아주기
d라이브러리
"
찾기
"(으)로 총 2,503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누군가가 멀고 밉게 느껴진다면…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집단을 배척하는 것을 심리학 용어로 ‘내집단 선호(ingroup favoritism)’라고 부른다.내 편
찾기
에 혈안된 따돌림의 희생자편을 가르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그중 먼저 살펴볼 것은 소외감이다. 2011년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따돌림을 당해 소외감을 느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남을 ... ...
[Tech & Fun] 돌먼지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늘어났다. 예전에는 어리니까 집에서 기다리라던 부모님이 소금을 데리고 상가를
찾기
시작했다. 그럭저럭 몸에 맞는 상복이 생겼다. 어른들을 따라 때로는 광산을, 때로는 무덤을 찾아 정중히 돌을 던지고 돌아오는 일이 익숙해졌다. 생리를 시작했다.이 모든 코쇠의 돌먼지와 소금의 발 사이의 ... ...
[과학뉴스] 태양계 뉴페이스가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공전 주기는 1만~2만 년일 것으로 추측되고 있답니다.브라운 박사는 “실제로 이 행성을
찾기
시작했으며, 5년 내에 플래닛 나인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황북기 교수님의 따끈따끈 실험교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무슨 힘으로 자이로드롭을 멈추는 걸까요?기자들은 황북기 교수님의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실험을 해 보기로 했어요. 황 교수님의 지도 아래 긴 구리관과 플라스틱관에 각각 자석을 넣자 플라스틱관에 넣은 자석은 금새 책상 위로 툭 떨어졌어요. 하지만 구리관 안의 자석은 한참 후에야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정답이 없는 미묘한 문제가 처리하기 더 복잡하다. 취향에 따라 엇갈리는 재밌는 소설
찾기
, 이성에게 다가서는 방법, 내일 입을 옷 등을 고르는 것이 훨씬 더 어려울 수 있다. 이런 문제는 바둑과 달리, 현재로서는 아무리 많은 하드웨어를 동원하더라도 늘 사람이 원하는 정답을 찾아낼 수 없다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애완동물 통역사 ‘ 도그 마리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임명합니다!”사실 이 모든 건 애사모 홍보대사와 어울리는 애완동물을 사랑하는 사람을
찾기
위한 이벤트였다. 도그 마리야는 홍보대사의 상징인 뼈다귀를 목에 걸어 주었다. 그런데 바로 그때! 벽장 속에 있던 그 많은 불독들이 코를 킁킁 거리더니 일제히 썰렁홈즈목에 걸린 뼈다귀를 향해 ... ...
[News & Issue] 불법 유출물의 장례를 치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배포하는 경우도 있거든요.” 동영상이 편집되면 해시값이 바뀌기 때문에 이 정보만으로
찾기
는 어렵다. 이럴 때를 대비해 디지털 장의사들은, 음란 동영상을 상업적으로 판매하고 해당 영상을 주기적으로 업로드하는 판매자의 정보도 함께 수집한다.동영상이 올라간 웹페이지 목록을 얻어내고 ... ...
[Knowledge] 최초로 ‘빵’ 터진 그들에게 무슨 일이?ㅋㅋ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문화’ ‘차이’ 따위의 키워드를 입력해 구글스콜라를 뒤져봤지만, 관련 연구를
찾기
는 어려웠다. 뜻밖에도 단서는 찰스 다윈의 책 ‘인간과 동물의 감정 표현’에서 나왔다. “힌두 족도 웃을 때 눈물을 흘리고 중국인들도 그렇다. 말라카 반도의 말레이 족 원주민 여성들은 물론 자주 있는 일은 ... ...
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가장 작은 단위로 하나의 비트는 0이나 1값을 가진다.진짜 난수, 양자난수?진짜 난수를
찾기
위해 과학자들은 다시 자연으로 돌아갔다. 자연에서 발생하는 불규칙성을 이용해 난수를 생성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자연 현상을 이용하면 난수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무작위적이고 어느 ...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컴퓨터를 이용해 1952년에만 무려 5개의 메르센 소수를 찾아냈다. 컴퓨터로 메르센 소수를
찾기
전까지 가장 큰 소수는 에두아르 뤼카가 발견한 이보다 4배 이상 자릿수가 크다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