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찾기"(으)로 총 2,503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단자에 꽂아주었다.“얘기 들어줘서 고마워요.”윤정이 가고 나서 로봇은 내부 매뉴얼을 찾기 위해 부단히 애를 썼다. 실험체가 데이트 도중 하드웨어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가능성은 있었지만, 이런 식으로 하드웨어에 영향을 미치는 가능성은 매뉴얼에 기록되어 있지 않았다. 로봇은 인터넷에 ... ...
- Part 3 스마트폰 해킹, 막아낼 방패는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크라우드 시큐리티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캐나다에서는 국제 제로데이 취약점 찾기 대회인 ‘캔섹웨스트 폰투오운 (CanSecWest Pwn2Own)’이 열린다. 이 대회는 HP, 트렌드마이크로(TrendMicro), ZDI(Zero Day Initiative)가 개최하며, 참가자들은 구글 크롬,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애플 사파리, 어도비 플래시 ...
- [재미] 퐁! 퐁! 퐁! 물수제비 잘 뜨려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실렸어요.납작한 돌멩이가 물수제비에 유리!연구팀은 물수제비를 하기에 유리한 모양을 찾기 위해 돌멩이 대신 동그란 고무공을 사용했어요. 고무공은 탄성이 뛰어나 물 표면에서 잘 튕겨나갈 뿐만 아니라, 말랑말랑해 자유자재로 모양을 바꿀 수 있거든요. 고무공이 공기와 물로부터 받는 저항을 ... ...
- [Tech & Fun] 국제원자력기구 환경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때문입니다.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등의 음식문화가 뒤섞여 모나코만의 대표음식도 찾기가 어렵습니다. 그러나 너무 실망하진 마세요. 지중해잖아요. 연구소와 가까운 카지노 슈퍼마켓에서 피자 한 조각과 맥주를 사서 바다를 바라보며 먹을 수 있습니다. 당장 달려가고 싶네요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24차원에서 공을 촘촘히 쌓으려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밀도가 얼마 이하라는 점을 보일 수 있다고 설명한 정리가 있습니다. 문제는 이 함수를 찾기가 매우 어렵다는 겁니다.그런데 피아초프슈카 박사가 정수론 분야에서 중요하게 사용하는 복소해석함수★인 ‘모듈러 형식’을 이용해 이 함수를 만들었습니다. 마치 모래사장에서 잃어버린 열쇠를 찾아 ... ...
- 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백도어가 숨겨져 있으면 실행 파일을 새로 만들어도 또 백도어가 숨어 들어가기 때문에 찾기도 어렵고 없애기도 어렵다. 톰슨은 기고문에서 “컴파일러에서 문제가 되는 코드만 지우면 백도어의 흔적은 어디에도 남지 않는 완전 범죄”라고 말하기도 했다.이외에도 어디에 백도어를 심느냐에 따라, ... ...
- [과학뉴스] 친구가 웃으면 나도 씨익~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안면이 마비되어 있는 경우엔 상대방의 표정을 따라 할 수 없는 대신 다른 공감 수단을 찾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감정을 공감할 수 있답니다.니덴탈 교수는 “이 연구를 바탕으로 뇌가 감정을 읽는 원리를 밝혀나갈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탐지하는 데 성공했다.제1차 세계대전이 시작된 뒤부터는 적군의 함정과 잠수함을 찾기 위해 수동 소나가 이용됐다. 수동 소나는 능동 소나와 달리 음파를 인위적으로 쏘지 않고 물 속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듣는 장비다. 전후 냉전시대에 미 해군은 해저에 길다란 수중음향 감시시스템(SOSUS)을 ...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바이러스를 합성하는 이유는 바이러스의 발병 메커니즘을 밝히고 효과적인 치료책을 찾기 위해서다. 하지만 고위험성 생명체를 합성하는 연구를 전문가 집단의 판단에 전적으로 맡기는 일이 과연 바람직한지는 고민스러운 대목이다. 합성생물학 연구자들도 이런 위험에 대해 인식하고 있지만, ... ...
- [Knowledge] 생각해선 안 될 것을 생각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위해 공부를 시작했다. 하지만 자신을 이해해 주는 사람은 없었고, 가르쳐 줄 사람도 찾기 어려웠다. 그렇게, 혼자만의 공부가 시작됐다.1950년대 후반, 케임브리지대의 학부생 윌리엄 해밀턴은 자신에게 주어진 사명을 찾았다. 각 개체는 자기의 번식 성공도를 늘리게끔 진화한다는 현대적 종합의 틀 ... ...
이전8889909192939495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