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늘날"(으)로 총 2,714건 검색되었습니다.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수학동아 l2010년 01호
- 김정호 선생의 지리 백과사전에 이 표가 있지요. 이렇게 만든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오늘날 인공위성이 찍어 보낸 우리나라의 지도와 거의 일치합니다.대동여지도의 도로와 물길에서도 수학적인 측면을 찾을 수 있습니다. 목판 위에 지도를 그려야 했던 김정호 선생은 물길과 도로를 색깔로 ... ...
- 수를 알면 수학과 영어가 보인다수학동아 l2010년 01호
- 의한’, ‘본성에 따른’이란 의미의 naturalis(나투랄리스)에서 기원한다. nature이 오늘날의 의미인 ‘자연스러운’의 의미를 가진 것은 17세기부터다.자연수는 1과 소수와 합성수로 나눈다. 1과 자신 이외의 어떤 수로도 나눠지지 않는 수인 소수는 영어로 prime number라고 한다. prime은 라틴어 primus ... ...
- 전통 수학의 발자취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단어에서 원(元)은 오늘날 방정식에서 사용되는 미지수를 가리킨다. 다만 천원술은 오늘날의 대수방정식과 달리 산대라는 계산도구를 사용해서 문제를 풀었다. 그래서 천원술을 ‘기구적 대수학’이라고 불린다.흔히 문(文)을 숭상하던 조선시대에는 수학이 잡학으로 분류돼 발달하지 못했다고 ... ...
- 아귀 땀 뻘뻘 흘리며 먹는 한겨울 제맛 아귀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맛이 있었다고 한다. 또 이 요리가 어부나 인부에게 인기가 좋아 팔기 시작한 것이 오늘날의 아귀찜이라는 얘기다. 마산, 그중에서도 오래된 술집이 즐비한 오동동 네거리 일대는 지금까지도 아귀찜의 중심지로 남아 있다. 이태원 교사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세포생물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 ...
- 미래 대 예측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1호
- 키우기 시작한 것은 대략 1만 7000년 전으로, 사람들에게 가장 이롭도록 개량을 거듭해 오늘날에 이르렀다. 인류는 육종이나 유전공학 등 과학을 이용해 계속해서 가축이 더 유용해지도록 개량하고 있다. 그러므로 1만 년 뒤에는 개나 소, 말이 지금과는 다른 모습으로 변해 있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 ...
- 기하학의 새로운 탄생, 좌표평면수학동아 l2010년 01호
- 가장 중요한 것은, 음수에 대한 개념을 구체화하고 음수를 좌표에 표현한 것이다. 그리고 오늘날 쓰고 있는 좌표평면을 만들어 냈다. 즉, 기하학에 대수학을 접목시킨 해석기하학의 창시자다.아폴로니우스의 원뿔곡선아폴로니우스의 직원뿔을 다양한 방향에서 자르면 원, 포물선, 타원, 쌍곡선이 ... ...
- Part 5. 종이접기의 재발견수학동아 l2010년 01호
- 풀 수 있다는 건 무슨 소리일까?종이접기는 종이가 발명된 고대에 시작되었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가 접하는 현대식 종이접기는 1700년대 일본에서 발달하기 시작한 이후 수학의 한 분야로 발전하기에 이르렀다. 세계적으로 많은 수학자가 종이접기의 수학을 연구한 끝에 현재는 종이접기를 이용해 ... ...
- 1969 vs 2020 달을 향해 쏴라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3호
- 달리 아폴로 계획 이후로 지금까지 달에 간 사람은 없었습니다. 그로부터 40년이 지난 오늘날 사람들의 관심은 또다시 달을 향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미국과 러시아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가 달을 향한 경주에 뛰어들었지요. 21세기의 달 탐사는 예전에 비해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아폴로 계획 vs ... ...
- Part 1. 달력의 생명은 정확도!수학동아 l2009년 12호
- 19년마다 7달의 윤달을 넣으면 음력으로도 계절과 잘 맞는 일 년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오늘날 우리가 쓰는 달력은 음력이 아닌 양력 달력입니다. 양력 달력도 12갱,; 달로 이루어져 있지요. 365일을 12로 나누면 대략 30.4일이 나오기 때문에 양력 달력에서는 한 달이 번갈아 30일 또는 31일이 됩니다. ... ...
- 살아 있는 지구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있는 돌이 철 조각을 끌어당기는 신비한 힘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 신비한 돌은 오늘날 우리가 자철광이라 부르는 철광석의 일종이다. 자철광의 자기력에 매료된 고대 그리스인은 점을 보거나 다친 사람을 치료하는 데 자철광을 사용했다. 비슷한 시기에 중국인 역시 얇고 가늘게 조각낸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