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
지금
금일
이날
현세
d라이브러리
"
오늘날
"(으)로 총 2,714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을 바꾸는 학생 발명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친구들과 좀 더 자유롭게 대화하고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을 찾다가 룸메이트들과 함께
오늘날
페이스북의 초기 버전을 개발했다. 페이스북은 2010년 3월 현재 세계에서 규모가 가장 큰 SNS로 자리를 잡았다 ... ...
두 선분 사이의 존재, 각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6으로 나누면 그들이 사용했던 육십진법의 기본수 60이 된다.고대 기하학의 발달 한편,
오늘날
에도 그렇듯이 고대 학자들도 문명이 앞선 나라에 가서 선진문물을 배우곤 했다. 기하학의 창시자라고 하는 탈레스는 이집트를 여행하면서 그리스보다 먼저 발달한 기하학을 접했다. 이집트에서는 ... ...
펠리노의 정체를 찾아서~ 안데스 잉카 문명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모체 등 화려한 안데스 유물을 잘 감상했나요? 그런데 이런 문명을 탄생시킨 페루는
오늘날
어떤 모습일까요? 마침 인류 문명을 연구하는 고고학자가 꿈인 고등학생 허건 형이 잉카 유적지인 쿠스코와 마추픽추를 중심으로 페루 안데스 지방을 둘러본 뒤 여행기를 보내 왔어요. 함께 만나 볼까요 ... ...
나만의 발명 어떻게 지킬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대가로 공개한 사람에게만 해당 기술로 상품을 만들어 팔 수 있는 권리를 줬다. 이는
오늘날
많은 발명가와 기업의 이익을 보호하고 있는 특허 제도가 탄생한 배경이다.기술 공개, 중복 투자와 시간 낭비 막아최근 세계 대다수 나라들이 운영하고 있는 특허제도는 창의적인 사람이 땀 흘려 개발한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1962년 3월 세슘 레이저 실험에 성공해 굴드의 아이디어를 입증했고, 그해에 로버트 홀은
오늘날
레이저 상용화에 공헌한 반도체 레이저를 개발했다. 반도체 특성에 바탕을 둔 반도체 레이저는 상온에서 잘 작동하므로 CD 및 DVD 플레이어, 상점의 바코드 시스템에 레이저를 활용할 수 있게 했다. 이로써 ... ...
1400년 전 신라의 밤하늘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총 각도는 약 19.1°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별들은 신라시대부터 동쪽으로 자꾸만 이동해
오늘날
의 위치에 이르렀으므로, 지금의 밤하늘을 서쪽으로 19.1°를 돌려주면 신라시대의 밤하늘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해 신라시대 633년의 춘분날(양력 3월 21일 근처) 밤 8시 2분에 해가 진 직후 자오선 상에 ... ...
iPad 열풍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아이패드 대항마로 태블릿컴퓨터를 준비하고 있다.‘창조적 파괴’, ‘파괴적 혁신’ 등
오늘날
경영 화두의 표본을 보여준 애플 최고경영자(CEO) 스티브 잡스에 대해 미국의 시사주간지 ‘뉴스위크’의 대니얼 라이언스 수석 에디터는 이렇게 말한다. “그는 우리가 필요하다고 생각조차 하지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유전자 조작과 로봇의 위력을 두려워하는 인간의 모습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다. 테란은
오늘날
의 인류처럼 과학을 발전시켜 만든 원자력을 무기로 한편으로는 기생충이나 바이러스와 끊임없이 전쟁을 벌이고 또 한편으로는 영화 ‘터미네이터’에서처럼 인간을 공격하는 로봇에 맞선다.강력한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재생해도 음질에 변화가 없다. 결국 바늘 접촉식 레코드판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오늘날
같은 인터넷 환경이 만들어지게 된 이유도 전화와 안테나 대신 광섬유를 통한 근적외선 레이저 통신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요즘은 어떨까. 레이저를 제품에 응용하려는 개발자들의 손은 21세기에도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천연가스를 포함시키면 지구상에서 사용하는 에너지 수요의 50% 이상을 차지한다.하지만
오늘날
석유는 점차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가장 큰 원인은 석유자원의 고갈이다. 알래스카에서 미국 본토로 이어진 초대형 송유관은 몇 년 전부터 수송량이 절반 이하로 줄었고, 중동의 대형 유전들은 점차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