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말
파우더
파우
싸라기
싸락이
입자
엿기름가루
d라이브러리
"
가루
"(으)로 총 1,054건 검색되었습니다.
곤충들의 집짓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만들어 저장하기 시작하며 그곳에 하나씩 알을 낳는다. 부화된 애벌레는 약 1백일 동안 꽃
가루
덩이의 먹이를 먹고 자라다 그곳에서 번데기로 변한 후, 약 20일 후에는 어른벌레가 돼 집을 부수고 밖으로 나온다. 장미가위벌의 집은 개미나 그 외의 천적으로부터 애벌레를 지키기 위한 어미의 ... ...
공룡시대 지구를 뒤덮었던 양치식물 생태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봄이 되면 유난히도 감기에 잘 걸리는 사람은 우선 꽃
가루
병을 의심해봐야 한다.꽃
가루
는 꽃에서 나오는데 양치식물의 포자(胞子)는 어디서 나올까. 포자에 대한 옛이야기 한 토막을 소개한다. 옛날 어느 꽃집에서 관엽식물로 양치식물을 기르고 있었다. 이것을 산 손님이 며칠 후 찾아와서 꽃이 ... ...
노란띠 하늘소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주행성(走行性)으로 낮에 주로 활동한다. 8월부터 10월에 걸쳐 숲속의 야생화에서 꽃
가루
와 꿀을 핥아 먹고 있는 성충(成蟲)을 많이 볼 수 있다. 꽃의 꿀을 먹는 것은 생식기의 발육과 산란을 위하여 필요한 것인데, 이렇게 어른벌게가 된 다음에 먹이를 먹는 것은 후식(後食)이라고 한다. 머리 앞가슴 ... ...
PART1 어떤 민족이 무슨 쌀을 먹나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영양향상을 꾀하고 있는데 이것의 주재료가 쌀
가루
다. 여기에 새우
가루
우유 옥수수
가루
등을 배합하여 만든 식품이다.동남아에서 쌀을 제일 많이 생산하고 주식으로 하는 나라는 태국이다. 태국은 전형적인 열대계절풍 기후에 속하는 사철 더운 날씨에다 넓은 곡창지대를 가지고 있어서 기원전 400 ... ...
쓰레기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종이도 분해되려면 60년이 소요된다(현대에 출간된 책들은 노랗게 변하고 수주 후면
가루
가 되기도 하지만). 또한 쓰레기를 태워서 그렇지 않아도 위험수위에 육박한 공해 심한 대기에 문제를 가중시키는 것도 걱정스러운데 각 지역마다 1억달러가 드는 쓰레기 소각장을 건립하여 하루에 3천t에 ... ...
PART3 날로 다양해지는 쌀가공품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생산되어야 가공식품회사와 소비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쌀을
가루
로 만들기 위한 적정 제분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그리고 현재 보유하고 있는 쌀은 대부분 재고미이므로 고미취를 제거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과실류나 육류를 쌀에 혼합하여 압출성형기로 뽑아낸 새로운 제품을 ... ...
PART2 볍씨 개량 도전 1백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있는 영양미(유아 및 환자용) 등을 개발하고 있다.한편 볍씨개량 방법에 있어서는 꽃
가루
를 배지에서 키워 식물체로 분화시키는 약배양(Anther culture)기술의 개발로 한 볍씨를 개발하는데 4~5년의 기간이 소요될 뿐이다. 이것은 60년대의 12~14년이나 70년대의 6~7년보다 훨씬 단축된 셈이다. 또한 잡종강세 ... ...
지의류 생태계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실제로 지의류인 레타리아(Letharia)는 치명적인 독으로 쓰인다. 스칸디나비아에서는 유리
가루
와 섞어서, 또 먹이에 발라서 늑대를 죽이는 데 사용한다. 캘리포니아의 아코마위(Achomawi)인디언은 이 지의로 독화살을 만든다.지의류는 또한 약으로도 쓰인다. 볼리비아에서는 우스니아(Usnea)라는 지의가 ... ...
은하수를 건너는 배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잊게 된다. 특히 도시에서 벗어난 해변가나 계곡 속에서 바라보는 밤하늘은 마치 은
가루
를 뿌려놓은 듯한 멋진 장관을 연출한다. 이 여름 견우 직녀의 아름답고 애절한 사랑 이야기가 담겨진 은하수 아래에서 어린 시절의 동심으로 돌아가 별을 헤는 낭만을 가져보기 바란다.여름이 깊어 가면서 하늘 ...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아름다움에 자연의 음악이 보태지는 한편의 멋진 드라마다.구름 없는 까만 하늘엔 은
가루
를 뿌려 놓은 듯한 작은 별들이 은하수가 되어 길게 흐르고, 그 사이 사이엔 밝은 별들이 서로의 아름다움을 한껏 자랑하며 환한 미소로 우리를 부르고 있다. 별들 아래에 서면 한 낮의 폭염마저도 까마득한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