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뉴스
"
천문
"(으)로 총 2,242건 검색되었습니다.
21일 저녁 '800년만의 기회' 목성토성 대근접 놓치지 마세요…온라인 생중계
과학동아
l
2020.12.19
X-Space)가 공동으로 진행한다. 첫 날인 20일 오후 5시에는 과학동아
천문
대가 주관하는
천문
강연이 진행되고 이어 오후 6시 10분부터 목성토성 대근접 관측이 진행된다. 관측 뒤 6시 50분부터는 X-스페이스에서 가상현실(VR) 체험이 이뤄진다. 둘째날인 21과 셋째 날인 22일에는 오후 6시부터 대근접 관측을 ... ...
인류가 달에서 가져온 토양 382kg…한국은 '그림의 떡'
동아사이언스
l
2020.12.17
경우에만 시료를 받을 수 있다. 또 연구가 끝난 뒤에는 NASA에 돌려줘야 한다. 정민섭 한국
천문
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연구용 시료를 받은 뒤에도 온도, 습도, 보관 장소 등 시료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매우 자세히 기록해야 한다”며 “이후 NASA에 시료를 돌려줄 때 이 기록도 함께 제출해야 ... ...
[과학자의 언어,대중의 언어]② 과학에서도 우리말 사용을 북돋우는 노력이 절실하다
2020.12.17
우리말 사용을 북돋는 노력이 절실합니다. ※필자소개 최무영 서울대 물리
천문
학부 교수. 1979년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한 뒤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이야기》와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 《과학, 세상을 보는 ... ...
목성과 토성 대근접…397년만에 가장 가깝게 보여
2020.12.17
가능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관측이 가능한 대근접이 발생한 건 800년 만이다.
천문
연구원에 따르면 21일 일몰 예정 시간인 5시 17분 이후 남서쪽의 낮은 하늘에서 두 행성이 약 0.1도 간격을 두고 접근한다. 일몰 직후는 아직 태양이 밝아 어둑해지는 6시가 지나면 더 수월하게 관측할 수 있다. ... ...
2021년 첫 해 독도서 7시 26분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7
일출을 볼 수 있다. 새해 첫 일출을 산에서 볼 계획이라면 발걸음을 재촉해야 한다.
천문
연이 발표한 일출시각은 해발고도 0m를 기준으로 계산됐다. 고도가 높을수록 실제 일출시각 보다 빨리 해를 볼 수 있다. 해발고도 100m에서 발표시각보다 2분 먼저 해를 볼 수 있고, 해발고도 2000m에서는 약 9분 ... ...
[화보]'비눗방울 위 태양전지 떴다' 네이처 선정 올해 과학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0대가 넘는 위성을 발사하며 올해 미국과 캐나다를 중심으로 시범사업도 시작했다. 반면
천문
학자들에게는 고민을 남겼다. 스타링크 위성에 반사된 햇빛이 밤하늘에 궤적을 남기면서 망원경에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알프레드베게너연구소 제공 20여개국 300여 명의 학자들로 구성된 세계 ... ...
13~14일 밤하늘 소행성이 남긴 별똥별 쏟아진다
2020.12.11
북반구에서 2013년 촬영된 쌍둥이자리 유성우 사진이다. 위키피디아 제공 이달 13~14일 밤하늘에서 시간당 50~150개가 넘는 별똥별(유성)이 쏟아지는 장관 ... 측은 넓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해발 1000m 광덕산 정상에 있는 강원도 화천 조경철
천문
대에 초고감도 동영상 카메라를 설치했다 ... ...
가장 가까운 지구형 행성 프록시마 b 생명체 서식 가능성 작아
연합뉴스
l
2020.12.10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됐다. 논문 제1 저자인 '시드니
천문
학 연구소' 박사과정 연구원 앤드루 지크는 "우리가 관측한 항성플레어와 수신된 전파신호가 연관되지 않았을 확률은 12만8천분의 1도 훨씬 안 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는 우리 은하에서 가장 ... ...
우리 은하 항성 약 18억개 정보 담은 카탈로그 공개(종합)
연합뉴스
l
2020.12.04
분석해온 가이아 '데이터 처리·분석 컨소시엄'(DPAC) 프로젝트 책임자인 케임브리지대학
천문
학연구소의 플로어 밴 레이우엔 박사는 "가이아는 수천광년 밖에 있는 항성 수억 개의 거리를 2천㎞ 밖에서 머리카락 굵기를 잴 수 있는 정확도로 측정 중"이라면서 "이 자료들은 천체물리학의 근간으로 ... ...
하늘 위 실험실 성층권 풍선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4
사전 검증하는데 성층권 풍선을 활용하고 있다. 코로나그래프 연구에 참여했던 조경석
천문
연 책임연구원은 “코로나그래프의 성능 검증을 마치는대로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설치될 예정"이라며 "이번 코로나 관측은 장비를 우주로 쏘아 올리기 전 기술 검증 과정에서 거둔 값진 성과"라고 말했다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