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optics
기하광학
기하
물리광학
물리
뉴스
"
광학
"(으)로 총 1,098건 검색되었습니다.
광(光) 자극으로 조정하는 ‘가오리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6.07.10
가하는 빛의 주파수를 조절하면 가오리 로봇의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
광학
적 자극을 왼쪽과 오른쪽 2개로 구분해 가오리 로봇의 방향도 조정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두 빛의 주파수를 다르게 하면 가오리는 한쪽으로 방향을 틀게 된다. 연구진은 이런 방식으로 가오리 로봇이 ... ...
술에 비친 그림자만 보면 알코올 도수 안다?
2016.06.28
않고도 알아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김동성 포스텍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비싼
광학
장비 없이 액체 그림자를 이용해 액체 속에 포함된 용질의 양을 알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팀은 투명한 사각기둥 속에 원통형 저장 공간을 만들어 액체를 채운 뒤 사각기둥에 빛을 ... ...
열적 평형 깨진 보손 입자 포착 성공
2016.06.26
기존의 가설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연구진은 레이저광을 활용해 불균일한 2차원
광학
격자를 만들고, 보손 입자들이 열적 평형 상태와 편재된 상태 사이를 오가는 상전이 현상을 직접 관측했다. 연구진은 입자들의 열적 평형이 어떤 과정으로 깨지는지 원자 수준에서 추적한 결과, 일정한 패턴과 ... ...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
과학동아
l
2016.06.02
같은 극한 환경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추정해 볼 수 있다. 김상철 한국천문연구원
광학
천문본부 선임연구원은 “중이온가속기를 이용하면 우주에서 온 천체의 정보와 실험실에서 얻은 결과를 비교하고 검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의 중이온가속기 - Nishina Center for ... ...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16.06.01
수 있어 백신이나 신약을 개발할 때 유리하다. 하지만 지카바이러스는 너무 작아서
광학
현미경으로는 모습을 확인할 수 없다. 가시광선 파장의 절반 거리(약 200nm)보다 크기가 작은 물체에 반사된 가시광선은 현미경 렌즈를 통과하며 보강·상쇄 간섭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구조생물학자는 이런 ... ...
“양자역학은 기초학문이면서도 여기저기 다 쓰이는 실용적인 학문”
2016.05.31
●일상생활부터 국방까지…팔방미인 양자역학 김 교수는 양자역학, 특히 양자
광학
(Quantum Photonics)의 세계적인 대가로 꼽힌다. 호암재단은 김 교수가 이해하기 어려운 양자역학적 성질을 실험을 통해 증명할 수 있도록 이론적 기반을 닦은 공로를 인정해 수상자로 선정했다. 일반인에게 멀게 ... ...
양귀비꽃, 그 붉은 아름다움의 비밀
2016.05.30
흐로닝언대 연구자들은 개양귀비를 포함해 속씨식물 23과 39종을 대상으로 꽃잎의
광학
적 특성을 조사했다. 얼핏 생각하면 꽃잎의 색이라고 특별할 건 없다. 즉 꽃잎의 세포에는 빛에서 특정 파장대를 흡수하는 색소가 분포해 들어온 빛의 일부를 흡수할 것이고 나머지 빛이 반사돼 꽃잎의 색으로 ... ...
“논문 거절할지 말지는 30분 만에 판가름”
2016.05.11
해도 전공 분야가 다양한 만큼 편집장들마다 고유한 영역이 나눠져 있다. 그는 나노
광학
과 에너지저장장치 분야 등에 해당하는 논문을 검토한다. 모스카텔리 편집장은 “네이처에 한국 과학자의 연구 성과가 상대적으로 적게 실리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는 연구자의 수와 연구 규모가 다른 나라에 ... ...
금 나노입자에 ‘팔’ 12개 붙여보니
2016.05.10
반응성을 구조적으로 높인 것이 이번 연구의 의의”라고 설명했다. 연구 성과는
광학
재료분야 학술지 ‘저널 오브 머티리얼스 케미스트리 씨’ 최근호에 게재됐다. ... ...
양자역학 문제, 게임으로 푼다
2016.05.10
한다. 그런데 빨리 하려다보면 우물 속 원자가 크게 출렁거리면서 사방으로 퍼져나가
광학
집게(역시 우물 형태로 표현된다)에 얼마 담지를 못한다. 즉 원자의 일부만(역시 확률적 개념이다) 옮길 수 있기 때문에 실패다. 그렇다고 너무 조심스럽게 접근하면 시간이 무작정 흐른다. 결국 여러 차례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