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사"(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드러났다고 설명했다. 그 세 사건이 17년 전, 일주일 사이에 일어났다. 우주탐사 역사에서 가장 피해가 큰 사고 세 건이 같은 시기에 발생했다. 그 기이한 동시성을 주목하고 입방아를 찧는 이들은 물론 있었지만, 대개는 초점이 엉뚱했다. 우주식민지 개척 주체들의 조급함과 무분별한 확장주의가 ... ...
- [수학공감] 여행에서 수학을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등을 발견했다. 이후에도 진해역과 수양회관, 진해우체국, 진해탑, 김구선생 친필시비 등 역사가 담겨있는 곳을 둘러보며 그 속에 숨어 있는 수학을 찾았다. 특히 진해탑 같은 경우는 실제 높이를 알 수 있어서 직접 측정한 결과와 비교해 볼 수 있었다. 진해탑의 실제 높이는 28m고, 학생들이 구한 ... ...
- [과학뉴스] ‘세레스’ 지형에 한국 신(神) 이름 붙었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특이하게 분포된 크레이터에 자청비를 제안했다”며 “평소 한국의 풍부한 문화와 오랜 역사에 관심이 많아 문헌을 뒤져 한국에 있는 농업의 신을 직접 찾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눌굽(낟가리를 쌓기 위한 터)의 신인 ‘눌굽지신’도 제안했지만, 영문 자료가 적고 발음이 어려워 일차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대표적인 예가 킬로그램이다. 킬로그램은 인공물의 질량으로 정의돼 왔다. 그 역사는 프랑스 대혁명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사람들은 지구 둘레를 기준으로 미터를 정의한 후, 표준이 되는 기구인 미터 원기와 킬로그램 원기를 제작했다. 이 원기들은 현실에서 사용하는 기준과 동떨어져 ...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이 행성에서는 몹시 중요한 존재다. 46억 년에 달하는 역사에서 지구 전체를 바꾼 최초의 생물이다. 이런 관점을 통해 우리 종, 바로 인류가 하는 이상한 일들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그는 “우리는 이야기의 아주 끝에 등장하지만, 지구를 바꿀 정도의 큰 ... ...
- [매스미디어] 레고 닌자고 무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덕분이기도 하지만. 그런데 사실 우리 닌자는 오래전부터 활동하던 집단이었어. 일본의 역사서 다이코기의 한 구절을 봐. 다음날 새벽에 닌자를 보내어 살펴보니 적은 한 명도 없었는데 명나라 군대는 요새를 청소해놓고 후퇴했다고 한다.(‘다이코기’ 14권 중) 임진왜란 중이던 1593년의 일본 ... ...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선택의 단위는 오직 유전자다. ‘이기적 유전자’라는 은유의 참뜻은 이렇다. 진화의 긴 역사 동안 자연선택에 의해 복제 성공도가 최대화되는, 따라서 ‘이기적’이 되는 단위는 종도, 집단도, 개체도 아니라 유전자이다. 선택의 단위가 유전자라는 명제로부터 유전자나 개체가 정말로 이기적인 ... ...
- [과학뉴스] 여성 바이킹 전사, DNA로 존재 첫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과학자들이 유골의 형태를 분석한 결과 여성으로 추정돼 논란이 있었다. 그간 바이킹 역사에서 여성 전사의 존재는 확인된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골격에서 DNA를 추출해 분석했다. 그 결과 Y염색체가 없고 두 개의 X염색체만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헤든스티에나존슨 교수는 “무덤에서 ...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약 13억km 떨어진 토성 궤도에 도착했다. 1997년 10월 지구를 떠난 지 7년 만이었다. 인류 역사상 첫 토성 궤도 진입 성공이다. 토성에 도착하고 6개월 뒤 호이겐스는 카시니에서 분리됐고, 2005년 1월 14일 토성의 가장 큰 위성인 ‘타이탄(Titan)’에 착륙했다. 인류가 만든 탐사선이 화성 궤도 너머에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세포를 유도만능줄기세포로 만드는 연구들도 발표됐습니다. 발달생물학과 재생생물학 역사에 큰 획을 그은 야마나카 교수는 그 공로를 인정받아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 했습니다. 유도만능줄기세포, 의과학에서 핫한 이유? 앞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장점이 생명윤리 문제로부터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