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사"(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변신 1단계] 남아프리카에서 전세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골라내지 뭐야.귀찮다니! 우리가 얼마나 엄청난 가족인 줄 모르는군. 무려 40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뿌리 깊은 가문 출신이라구!수박은 원래 쓰다?!우리가 흔히 ‘수박’이라 부르는 과일은 모두 ‘시트룰러스 라나투스(Citrullus Lanantus )’라는 종이에요. 본래 남아프리카의 야생종으로 불가리스 ... ...
-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앞으로도 계속 같이할 테니까요. 수학자로서 은퇴하고 나면 국산 장난감과 만화책의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도록을 만드는 게 제 꿈이에요. 한 가지 바람이 있다면 30~40년 이상 오랫동안 사랑받는 국산 캐릭터가 있으면 좋겠어요. 1950년대 나온 아톰은 지금도 큰 사랑을 받고 있어 장난감 ... ...
-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그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이 ‘황금비’다. 이집트의 클레오파트라와 중국의 양귀비 등 역사에 미인으로 기록된 인물은 얼굴에 공통적인 비율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두 눈 사이의 중앙에서 코끝까지의 길이와, 코끝에서 입술까지 길이의 비가 약 1.618대 1, 즉 황금비를 이룬다. 황금비는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능력치를 최대한 과학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구글 딥마인드 팀은 알파고 제로가 역사상 가장 강력한 바둑 플레이어라고 강조했다. 지금까지 개발된 알파고는 총 4가지다. 2015년 판 후이(Fan Hui) 2단을 이기고 2016년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실린 알파고 ‘판(Fan)’, 2016년 3월 이세돌 9단을 4대 1로 ... ...
- [Culture] 세인트 앤서니 폭포 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아름답게 집니다(여름에는 미시시피 강에서 카약을 탈 수 있습니다). 또 연구소 근처에 역사 박물관(Mill City Museum)도 가볼만 합니다. 미시시피 강과 인접한 지리적 조건 때문에 과거에 제분소가 번창했던 것이 박물관으로 탈바꿈했습니다. 금강산도 식후경이겠죠. 미니애폴리스에는 미국에서 가장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구성했다. 과학, 인류학, 사회학 등 학문의 경계를 넘나들며 우주와 지구, 인류의 전체 역사를 살피는 ‘빅히스토리’와 유사한데, 한국 교수들이 자국 내에서 자발적으로 이런 연구회를 구성해 책을 펴내는 데까지 이르렀다는 점이 고무적이다. 그러나 여전히 서구 과학사만 주로 다룬다는 점이 ...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소희의 ‘춘향가’ 판소리 명창의 비법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최동현 군산대학교 국문학과 교수는 김소희 명창에 대해 “우리나라 여창 판소리의 역사이자, 그 높이와 깊이를 가늠할 수 있는 가늠자”라고 평가했습니다. 득음하려면 폭포를 찾아가라?영화나 드라마에서 소리꾼이 판소리 명창이 되기 위해 폭포수 밑에서 소리 내는 훈련을 하는 모습을 본 적 ... ...
- [과학뉴스] ‘세레스’ 지형에 한국 신(神) 이름 붙었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특이하게 분포된 크레이터에 자청비를 제안했다”며 “평소 한국의 풍부한 문화와 오랜 역사에 관심이 많아 문헌을 뒤져 한국에 있는 농업의 신을 직접 찾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눌굽(낟가리를 쌓기 위한 터)의 신인 ‘눌굽지신’도 제안했지만, 영문 자료가 적고 발음이 어려워 일차 ... ...
- [Photo] 위대한 후원자의 이름 딴 스미스소나이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쪽)의 능아연석은 능아연석 중에서도 아주 특이한 생김새를 가졌다. 지구 지질 활동의 긴 역사를 따라 4~5번의 변화 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 구리의 탄산염 광물인 남동석 결정이었다가, 지질 변화 과정에서 남동석은 빈 껍질만 남고 내부는 용해됐다. 이후 알 수 없는 지질 활동으로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드러났다고 설명했다. 그 세 사건이 17년 전, 일주일 사이에 일어났다. 우주탐사 역사에서 가장 피해가 큰 사고 세 건이 같은 시기에 발생했다. 그 기이한 동시성을 주목하고 입방아를 찧는 이들은 물론 있었지만, 대개는 초점이 엉뚱했다. 우주식민지 개척 주체들의 조급함과 무분별한 확장주의가 ... ...
이전8889909192939495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