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이시아
에이시아
아세아
동양
동방
오리엔트
아시아개발은행
d라이브러리
"
아시아
"(으)로 총 1,764건 검색되었습니다.
숲 속에 핀 '나무의 귀' 목이버섯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살며 전 세계에 분포하면서 동양인의 기호에 맞는 버섯 중 하나인 목이. 많은 종이
아시아
에서 발견돼 기록된 예가 많으며, 2005년에는 한국에서도 금강초롱버섯이라는 새로운 종이 보고됐다. 이 버섯의 이름은 죽은 나무의 잔가지에 초롱처럼 매달려 있어 붙은 것이다 ... ...
갈릴레오 시스템용 두 번째 위성 발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상층을 반대방향으로 부는 바람에 주어진 명칭이나 실제로는 명확하지 않다그러나
아시아
계절풍구(區)의 자오면(子午面) 순환은 그 밖의 지역의 자오면 순환보다 활발한 것으로 미루어 모식적으로는 반대계절풍의 흐름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무역풍이 부는 상공(上空)에서 무역풍과 반대방향으로 ... ...
곤충계 스타, 북쪽으로 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마치는 토종나비다. 하지만 여름철에만 어른 나비가 중국 남부와 타이완을 포함한 동남
아시아
에서 날아드는 종류도 10여 종이 있다. 철새처럼 외국에서 태어나 우리나라로 날아들지만, 이들이 우리 땅에서 자신의 삶을 다할 뿐 다음 세대로 이어가지 못한다는 점은 철새와 다르다. 그래서 이런 ... ...
디지털로 되살아난 페르세폴리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인해 페르시아는 로마제국보다 먼저 세계 최초의 대제국이 됐다. 지중해와 이집트에서 서
아시아
를 지나 인더스강 유역까지 페르시아의 영토는 방대했다.당시 페르시아의 황제는 다리우스 1세. 그는 제국을 20개 지역으로 나눠 통치했다. 그가 가장 역점을 둔 사항은 교통과 유통. 전국의 주요 도시를 ... ...
장거리 이동하는 나방, 방향 찾는 법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그 결과를 ‘사이언스’ 4월 3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비녀은무늬밤나방은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 사는 곤충인데, 영국에 사는 종은 겨울이 되면 번식하기 위해 남쪽 지방인 지중해로 날아간다. 이들은 밤 시간을 골라 지상 150m 상공을 날아서 이동한다.채프먼 박사는 수직으로 음파를 쏘는 ... ...
PART1 "우주에서 본 한반도는 하나였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우주에 간다”한국 최초 우주인 이소연 씨가 우주로 향하기 하루 전인 지난 4월 7일 중앙
아시아
카자흐스탄 남부 바이코누르의 날씨는 화창했다. 구름 한 점 없는 코발트 빛 하늘은 마치 다음 날 발사될 로켓의 앞길이 ‘탄탄대로’라고 말해주듯 투명했다.이 씨가 탑승할 소유스FG 로켓이 서 있는 ... ...
전 세계 독감 진원지 동
아시아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한국을 포함한 동
아시아
, 동남
아시아
지역이 전 세계에 독감을 퍼뜨리는 진원지라는 사실이 확인됐다.영국 케임브리지대 데렉 스미스 교수팀은 2 ... 전문가 게이지 후쿠다는 “정말 놀라운 논문”이라며 “독감의 피해를 줄이려면
아시아
에서 조사활동을 강화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 ...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사실과 성도의 관측기준이 고구려의 수도인 평양 부근이었다는 점을 밝혔다.그는 동
아시아
천문학과 성도의 전통을 다룬 수많은 강연과 인터뷰, 그리고 논문을 통해 일본에 영향을 준 고구려 천문학의 전통을 알려왔다. 수년 전 조선시대의 목판본 천상열차분야지도(성도)를 일본에서 발견해 이것을 ... ...
대한민국 최초 우주인 탄생!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18가지 과학실험과 한국을 알리는 퍼포먼스를 할 계획이다. 대한민국 최초 우주인이자
아시아
2번째 여성우주인이 탄생하는 순간의 감동을 느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대한민국 최초 우주인 탄생!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고산 미스터리의 진실part 2 지구 위에 뜬 거대 실험실 ... ...
'경칩'에 움츠러든 개구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일부종이 유럽의 극히 제한된 지역에서만 서식한다고 알려져 왔던 허파없는 도롱뇽류로
아시아
에서는 그 서식이 보고된 바가 없었다. 이끼도롱뇽은 미주도롱뇽과에 속하는 새로운 속(genus)의 신종(species)으로 산림이 비교적 잘 보존된 국립공원이나 도립공원 같은 산악지역에 서식한다.생태,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